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시편 109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부분은 저자의 저주이다. 시편 저자는 자신의 대적을 저주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심판을 기대한다.

저주의 내용을 보면, 대적자 한 개인만이 아니라 그의 가족은 물론 후손까지 도말시켜달라고 한다. 그야말로 저주 중의 저주이다.

시편 기자는 왜 이토록 심각한 저주를 퍼붓는가?

"저가 긍휼히 여길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가난하고 궁핍한 자와 마음이 상한 자를 핍박하여 죽이려 한 연고니아다" (시 109:16)

대적자들의 횡포는 2-5절에 기록되어 있는데, 그의 태도는 후안무치의 전형이다.

시편 저자는 대적자의 죄악을 고발하고, 그를 향해 저주를 쏟아붓는다. 그의 입장에서 대적자는 심판 받아 마땅하다. 반면, 자신은 대적자를 저주해도 복을 달라고 기도한다.

"저희는 저주하여도 주는 내게 복을주소서 저희는 일어날 때에 수치를 당할찌라도 주의 종은 즐거거워하리이다" (시 109:28)

어떤 면에서는 참으로 이기적으로 들린다. 시편 저자나 대적자나 둘다 저주를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잘못을 하고 있다고 보이는데, 어떻게 시편 저자는 하나님께 자신의 대적은 처참하게 심판하시고, 자신에게는 복을 달라는 기도할 수 있을까. 어떤 면에서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기복주의 신앙의 전형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여 중심이 상함이니이다" (시 109:22)

이 구절이 바로 대적자를 향한 저자의 저주와 저자를 향한 하나님의 구원이 정당화되는 구절이다.

여기서 가난과 궁핍, 마음(중심)이 상함은 가시적인 상태가 아닌 영혼의 상태와 하나님을 향한 신앙을 의미한다. 즉, 시편 저자의 대적은 개인적인 대적자인 동시에 하나님의 대적자이다. 따라서 저자의 저주와 구원 요청은 정당성을 얻는다.

나는 이 시를 통해 오늘날에도 대적을 저주해도 된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통치자 다윗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 시는 정치적으로 해석되어야 마땅하다고 보고, 불의를 행하는 자들을 향한 심판의 정당성과 정의실현을 믿음의 행실로 행해야 한다고 말하는 바이다. 요새 심란한 시대를 살아가는 중에 시편을 읽으니 "시편과 정치"란 주제로 연구해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나날이 이어진다. 아... 난 신약학 전공자란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