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구약학 책들을 읽다보면 연구방법론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저자와 책이 있으니, 바로 브레바드 차일즈(Brevard S. Childs)의 『성서로서의 구약 입문』(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입니다.

차일즈는 성경의 최종 형태를 인정하는 정경비평(Canonical Criticism)이란 방법론을 적용하여 구약 전체를 개관합니다. 당시 학계의 정설로 여겨졌던 역사비평에 정면대항하는 이 책은 비평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리고 복음주의권의 구약학자들이 가장 많이 적용하는 방법론 중 하나가 됩니다. 구약학을 전공하고 있다면, 꼭 한번 읽어봐야 할 책이 아닐까 싶습니다.

2011년에 재판이 나왔네요. 초판이 1979년이었으니, 32여년 만이군요. 고전은 고전인가 봅니다.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http://www.amazon.com/dp/0800698339/


'추천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권으로 마스터하는 신구약 성경  (0) 2014.05.22
김동건의 신학이야기  (0) 2014.05.19
Remember the Poor  (0) 2013.10.15
주 예수 그리스도  (0) 2012.10.01
고대 이스라엘  (0) 2011.08.09
,

역사적 아담 논쟁에 대한 번 포이트레스(Vern Poythress) 교수와의 인터뷰 내용입니다. 참고로 포이트레스는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교 교수이며, 국민일보에서 선정한 21세기 신학자들에 꼽힌바 있습니다.



Does God use evolution as a process to create living things?

http://www.christianity.com/theology/creation/does-god-use-evolution-as-a-process-to-create-living-things.html

,

안인섭 교수(총신대 역사신학)의 “개혁주의 예배는 참여자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을 정도로 혁신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예배는 ‘개혁주의적인 전통’에 충실해야 한다”한다는 말에 적극 공감한다. 예배에도 혁신이 필요하다. (2014.04.05)



“가장 성경적이고 검증된 것이 바로 개혁주의 예배”

http://www.christiantoday.co.kr/view.htm?id=271265


,

Franz Julius Delitzsch의 <Biblical commentary on the Psalms>를 아키브에서 제공하고 있네요,



Biblical commentary on the Psalms

https://archive.org/details/biblicalcommenta188301deli

,

고든 웬함의 시편 연구는 총 2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 Psalms as Torah: Reading Biblical Song Ethically (Studies in Theological Interpretation) / Baker Academic / 2012


⊙ The Psalter Reclaimed: Praying and Praising with the Psalms / Crossway / 2013

,

S. R. Driver의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를 아키브에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An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the Old Testament

https://archive.org/details/introductiontoli00driv

,

위키피디아의 기록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라틴어로 "더 완전한 의미"를 뜻한다. 성서주해에서 이 용어는 하나님에 의해 더 깊은 의미가 의도되었으나, 인간 저자가 의도한 의미는 아닐 때 사용한다. 이 용어는 앙드레 페르난데즈에 의해 만들어졌고, 레이몬드 브라운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이 용어는 "더욱 충만한 의미", "충만한 뜻", "보다 나은 의미" 등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위 설명을 고려해 보면 "더 완전한 의미"가 적절해 보인다.


sensus plenior

http://en.wikipedia.org/wiki/Sensus_plenior

'성서신학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rkungsgeschichte  (0) 2017.06.28
모순어법(oxymoron)  (0) 2017.03.06
절기 모형론(Festival Typology)  (0) 2014.04.01
hapax-legomenon  (0) 2013.05.08
agon motif  (0) 2013.04.02
,

A. J. Wensinck, Arabic New-Year and the Feast of TabernaclesAmsterdam : Koninklijke Akademie van Wetenschappen, 1925.


http://menadoc.bibliothek.uni-halle.de/ssg/content/pageview/836677

'성서신학 > 고대근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L에서 제공하는 고대근동 논문집  (0) 2014.10.14
,

Joseph Hochman의 <Jerusalem temple festivities>를 아키브에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1910) https://archive.org/details/jerusalemtemplef00hochiala

(1911) https://archive.org/details/jerusalemtemplef00hochrich

,

Norman Hillyer, "First Peter and the Feast of Tabernacles," Tyndale Bulletin 21 (1970): 39-70.

http://www.tyndalehouse.com/TynBul/Library/TynBull_1970_21_02_Hillyer_1PeterFeastTabernacles.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