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내 생각에 마가는 당시 이스라엘의 목자-왕 전승을 자신의 복음서에 담을 생각을 못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그 개연성은 마가복음에서 목자 은유가 사용된 빈도로 추정할 수 있다. 마가복음 이전에 Q가 존재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존하는 기록 중 가장 오래된 복음서인 마가복음은 신학적 깊이 보다는 기독교 신앙의 정수를 담는데 집중했을 가능성이 다분하다. 어쩌면 마가의 스승인 베드로의 영향일지도 모른다. 잠시 딴 이야기를 해보자면, 베드로전서의 목자 은유에 대한 연구도 있는데, 베드로 역시 목자 은유를 심도 있는 주제로 다루지는 않는다.

마태복음이 마가복음을 참조했을 가능성은 대단히 높다. 아마도 마태는 마가복음을 기초로 자신의 유대전승에 대한 해박한 이해를 녹아내어 마태복음이라는 새로운 기록을 담겼을 거다. 

수많은 학자들이 간과하고 있지만, 목자-왕 전승은 고대 근동과 고대 이스라엘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레코-로만과 비교해도 꽤 연구 가치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복음서에서, 아니 신약에서 목자 은유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본문이 바로 마태복음이다. 실제로 신약에서 목자 은유로 가장 많이 연구되는 본문이 마태복음이다.

,

최근 마가복음과 스가랴의 목자 은유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책을 읽고 있다. 저자는 "마가복음 13장은 스가랴 13:7과 14:5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사실 난 이 책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 이유는 크게 네 가지이다.

1. 내 관심사는 요한복음이다.
박사 논문에서 목자-왕 전승의 발전사를 다루겠지만, 마가복음에 대해서는 다룰 생각이 없다. 신약 부분은 요한복음의 목자 은유로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2. 마가복음은 목자 은유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없다.
저자와 달리 나는 마가복음을 목자 은유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단어의 유사성'으로 '주제적 일치성'을 주장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나는 단어와 주제의 일대일 대응을 넘어 성경 저자의 이야기 전개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저자 역시 이야기의 흐름을 중요한 기준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내 생각에 마가복음에서 '목자 은유'의 비중은 지극히 낮다. 내가 볼 때 마가복음의 목자 은유는 6:34이 유일하다. 앞으로 내 견해가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마가복음 13장을 '목자 은유'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3. 이 책의 스가랴의 목자 은유 연구가 미흡하다.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저자는 스가랴의 목자 은유를 세밀하게 관찰하지 않았다. 일단 수많은 학자들이 스가랴에서 제일 많이 언급하는 11장을 다루지 않았다. 그리고 논쟁이 되는 14장은 선뜻 목자 본문으로 다루고 있다.

비록 C.H. Dodd, Barnabas Lindars, F.F. Bruce, Douglas Moo, Joel Marcus, Craig A. Evans 등을 언급하며 스가랴 9-14와 마가복음의 관계 연구에 대한 타당성을 주장하지만, 가장 먼저 다뤘어야 할 스가랴 9-14의 목자 은유에 대한 연구 자체가 미흡하다.

4. 내가 A 학교에 합격하면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다.
내가 이 책을 일고 있는 이유는 B 학교에 지원하기 위해서다. 그 학교에 박사지도를 해주겠다는 교수가 있는데, 이 책을 읽은 후 연구제안서를 수정해서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1 순위었던 A에서 불합격 통보를 받았으니, 2 순위인 B에 전력투구해야 한다.

다행이라면 몇 일 동안 읽기가 지루했었는데, 오늘부터 흥미로워지고 있다. 내 차후 연구를 위해서 몇 번 더 언급하고자 한다.

최근 마가복음과 스가랴의 목자 은유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책을 읽고 있다. 저자는 "마가복음 13장은 스가랴 13:7과 14:5를 사용했다"고 주장한다. 

사실 난 이 책에 별로 관심이 없었다. 그 이유는 크게 네 가지이다. 

1. 내 관심사는 요한복음이다. 
박사 논문에서 목자-왕 전승의 발전사를 다루겠지만, 마가복음에 대해서는 다룰 생각이 없다. 신약 부분은 요한복음의 목자 은유로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2. 마가복음은 목자 은유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없다. 
저자와 달리 나는 마가복음을 목자 은유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단어의 유사성'으로 '주제적 일치성'을 주장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해, 나는 단어와 주제의 일대일 대응을 넘어 성경 저자의 이야기 전개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저자 역시 이야기의 흐름을 중요한 기준으로 판단한다. 

하지만, 내 생각에 마가복음에서 '목자 은유'의 비중은 지극히 낮다. 내가 볼 때 마가복음의 목자 은유는 6:34이 유일하다. 앞으로 내 견해가 달라질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마가복음 13장을 '목자 은유'로 읽어야 한다는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 

3. 이 책의 스가랴의 목자 은유 연구가 미흡하다.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저자는 스가랴의 목자 은유를 세밀하게 관찰하지 않았다. 일단 수많은 학자들이 스가랴에서 제일 많이 언급하는 11장을 다루지 않았다. 그리고 논쟁이 되는 14장은 선뜻 목자 본문으로 다루고 있다. 

비록 C.H. Dodd, Barnabas Lindars, F.F. Bruce, Douglas Moo, Joel Marcus, Craig A. Evans 등을 언급하며 스가랴 9-14와 마가복음의 관계 연구에 대한 타당성을 주장하지만, 가장 먼저 다뤘어야 할 스가랴 9-14의 목자 은유에 대한 연구 자체가 미흡하다. 

4. 내가 A 학교에 합격하면 이 책을 읽을 필요가 없다. 
내가 이 책을 일고 있는 이유는 B 학교에 지원하기 위해서다. 그 학교에 박사지도를 해주겠다는 교수가 있는데, 이 책을 읽은 후 연구제안서를 수정해서 보내달라고 요청했다. 1 순위었던 A에서 불합격 통보를 받았으니, 2 순위인 B에 전력투구해야 한다. 

다행이라면 몇 일 동안 읽기가 지루했었는데, 오늘부터 흥미로워지고 있다. 내 차후 연구를 위해서 몇 번 더 언급하고자 한다.

,
Benjamin A. Foreman의 연구에 의하면, 예레미야서에서 목자 은유는 총 6번(3:15; 10:21; 23:1–4; 31:10; 50:6–8, 17–19) 나타난다. 이 중에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본문은 23장이며, 나는 Foreman와 달리 23:1-8을 범위로 설정한다. 지난 주에 이 구절에 대한 본문해석과 목자 은유의 특징을 분석했고, 어제는 다른 본문들을 대충 살펴봤다. 대략 훑어봐서 단정하긴 어렵지만,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에 대한 윤곽이 그려진다.

1. 예레미야서에서 목자 은유의 특징은 23:1-8에서 잘 나타난다.
2.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는 고대 이스라엘 목자-왕 전승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기본에 충실한 형태를 갖고 있다.

박사 과정에서 연구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를 전부 살펴보고자 한다. 한 달 정도면 기본적인 분석은 마칠 수 있을 듯 하다.

Benjamin A. Foreman, Animal Metaphors and the People of Israel in the Book of Jeremiah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1).


,
과거를 냉정하게 평가하면서, 특히 예루살렘의 왕들이 더 이상 살아남지 않았음을 기억하며 예레미야는 소망으로 가득 찬 미래를 상상한다. 이때 그가 소망을 갖도록 결정적 도움을 준 이미지 중 하나가 시편 23편의 선한 목자에 관한 것이다. 다윗의 개인적인 하나님과의 여정은 예레미야에 의해 이스라엘의 여정으로 바뀌고 패배, 파괴, 흩어짐에서의 회복과 귀환의 비전으로 재형성되었다. 선한 목자 서사에서 국가적 이야기로의 이런 개작은 시편을 구성하는 이미지에 몇 가지 극적인 변화와 추가 사항을 도입함으로써 가능했다. - 케네스 E. 베일리, 선한 목자, 95.

요새 미가서의 목자 은유와 예레미야 23편의 목자 은유에 대한 분석하다 보니 여러 발상들이 떠오른다. 그 중 하나는 시편 23편과 예레미야 23편의 관계이다. 현재 내 짐작으로는 베일리의 견해와 다른 주장을 제시할 수 있을듯 하다. 지금 다루고 있는 과제물들을 빨리 완성해야 하는데, 연구주제들이 하나씩 떠오른다.


,
차후 검증이 필요하지만, 혹자는 예레미야가 목자 은유를 대략 여섯번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본문은 23장 1-8절이다.

1-2절에서는 목자들이 심판을 받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1절 보다 2절이 더 긴 내용을 담고 있지만, 사실상 반복이다. 3-4절에서는 양 떼의 회복과 목자 위임이 선포된다. 5-6절은 다윗 계열의 왕이 등장하여 온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언한다. 7-8절은 하나님의 구원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이 갱신된다고 말한다.

22장은 유다 왕들을 향한 심판을 선포하면서 각 왕들의 결말을 언급한다. 반면, 23장의 목자 은유에서는 목자 심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없다. 아마도 은유 자체가 축약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기법이라서 그럴지 모르겠다.


,
최근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스가랴 9-14장의 목자 은유(shepherd methaphor)가 나타나는 본문은 3-4곳 정도이다.

◎Anthony R. Petterson (10:1–11:3; 11:4–17; 13:7–9)
◎Joseph Blenkinsopp (11:4–17; 12:10–14; 13:7–9)
◎Kelly D. Liebengood (9:9–10; 11:4–14; 12:10; 13:7)
◎Mark J. Boda (10:1–3; 11:1–3, 17; 13:7–9)
◎Paul L. Redditt (10:2–3a; 11:3, 4–16[17]; 13:7)
◎Young-Sam Chae (9:9–15; 10:1–6; 11:4–17; 12:6–14; 13:1–9)

학자들마다 목자 은유에 대한 견해는 조금씩 다르지만, 스가랴 9-14장의 주제가 심판과 회복이며, 그 중심에는 목자 은유가 있다는데 다들 동의한다. 특히, 11장의 목자의 두 막대기 상징 행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철저한 심판에 대한 강조에 대해서는 모두 한 목소리를 낸다.

나는 기존 견해 보다 더 나아가서 9-14장 전체에 걸쳐 목자 은유가 나타난다고 주장하는데, 그 단서가 스가랴가 목자 은유를 사용할 때 꼭 목자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데 착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고대근동에서 오랫 동안 목자가 왕을 상징하는 은유로 사용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에도 주목했다.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왕은 목자이고, 목자는 왕이었다. 이를 전문용어로 '목자-왕'(Shepherd-king)이라고 한다. 주변 국가에서는 이 용어를 왕에게 적용했으나, 이스라엘에서는 일차적으로 야웨에게 적용했고, 그 다음으로 왕을 지칭하는데 사용했다. 이러한 의도는 너무나 분명하다. 현세의 왕은 야웨의 대리인이며,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은 하나님 한 분이기 때문이다.

고대근동에서 왕의 주요임무 중 하나는 정의의 실현이었다.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심판이 강조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심판은 정의 실현의 방편이다. 스가랴 9장의 시작은 이방 국가들을 향한 심판으로 시작한다. 하나님의 심판을 여호와의 전쟁(Divine Warrior)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럴 경우 전체의 흐름을 이해하는 큰 그림을 놓치기 쉽다. 대신에 왕의 정의 실현이라는 관점으로 본다면, 스가랴 9장은 처음부터 목자-왕 은유로 시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14장의 야웨의 날 역시 동일하게 목자-왕 은유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9절의 왕의 등극 선언은 14장 전체의 핵심이자 목자-왕 은유의 절정이다. 그리고 이방국가들을 향한 초막절 준수 명령을 통해 하나님의 열방통치를 상징하는 그림으로 스가랴서가 마무리 된다.

이렇듯 고대근동의 목자-왕 은유를 염두에 두고 9-14장을 읽으면, 선지자 스가랴가 꿈꾸었던 그리고 전하고자 했던 심상이 무엇이었는지 깨달을 수 있다.

새벽에 잠에서 깨어나 책 읽다가 스가랴 9장의 도입부부터 목자-왕 은유로 해석할 수 있다는 글을 쓰다니, 아닌 밤 중에 홍두깨인가 신령한 은사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