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안녕하세요! 목사님, 저는 A 목사라고 합니다.
목사님 4년 전 처음 목사님 유튜브 영상 올라왔을 때 많은 도움을 받았고, 이제는 티스토리에서도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바쁘시면 마지막 단락만 읽으셔도 됩니다. 질문을 정리하면 "박사 과정의 커리큘럼, 진행 과정을 알고자 합니다" 입니다.
먼저 제 소개를 하는 것이 도리인 것 같아서 소개 먼저 올리겠습니다(솔직하게 글 쓰겠습니다).
제 이름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A입니다. 목사로서 풀타임 사역을 하고 있습니다.
B학교에서 박사 3학차까지 진행한 후에 디트리히 본회퍼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윤리학을 전공하고자(B학교에는 윤리학이 없음), C학교 Th.M.에 진학했습니다(윤리학을 공부한 경험이 없어서 박사가 아닌 석사로 진학했습니다).
2022년도 9월에 C대학으로 옮겨 현재는 코스웍을 마치고 영어, 종합고사, 논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마 2026년 8월에 학위를 마무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사님의 영상과 글을 봤을 때, 바로 영미권 지역으로 박사 과정에 입학하는 것보다, 먼저 Th.M.을 영미권에서 마친 후에 박사로 진학하는 것을 추천하셨습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목사님과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 수업듣는 경험, 현지 교수 추천 등의 이유가 있어 보입니다.
저도 그것이 가장 좋은 모습이라고 생각하지만 몇 가지 이유로 인해 바로 박사로 진학하고자 합니다.
1) 나이- 너무 늦은 나이에 박사 학위를 마치는 것보다 하루빨리 마치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2) 석사 학위가 현재 2개이고, 지금 공부하고 있는 과정을 마치게 된다면, 석사 학위가 3개가 됩니다. 여기에 영국 석사를 또 하게 되면 석사만 4개가 되기 때문에 시간과 재정에 큰 걸림돌이 되어 보입니다.
3) 앞서 말씀드린 재정의 문제가 있습니다. 벌써 학자금 대출이 제법 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시간과 재정의 압박으로 영국에서 석사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바로 박사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현재 저는 애버딘(Aberdeen) 대학의 Ph.D.(기독교 윤리학) 과정을 진행하고자 합니다(만약 2년 뒤에 합격하게 되면, 목사님과 같은 스코틀랜드에서 공부하게 되지만, 목사님은 학위를 마치시고 한국으로 돌아가셨겠군요).
사실 질문은 아주 간단합니다. "보통 영국 박사에 진행하면 어떤 과정을 겪게 되나요?"
Probationary Review(PR)를 박사 입학 후에 치루고 2년 차부터 Annual Progress Reviews(APR)를 한다고 목사님 티스토리(2021. 11. 12. 글 "Annual Progress Reviews")를 통해 확인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PR을 통과한 후에 매년 APR을 진행하면서 논문을 쓰는 것인가요?
만약 이것이 맞다면, 히브리어/헬라어 언어 시험, 구슬 테스트, 종합시험과 같은 것은 따로 없나요?
감사합니다. 목사님! 주님 안에서 평안하시길 기도하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A 목사님.
목사님의 사연을 읽어 보니, 내 영상과 글을 잘 이해하고 계시고, 주변 조언을 섭렵하신 듯합니다. 또한 현 사정이 고민이 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먼저 질문에 답해드리자면,
영국 대학교가 대략 비슷한데, 입학 일년 차에는 자격 검증을 위해 Probationary Review(PR)라는 과정을 거칩니다. 지도 교수마다 다르겠으나 보통 Research Proposal을 기반으로 PR을 진행합니다. 학교마다 명칭과 요구 사항은 다를 수 있습니다. PR을 통과하면 정식 박사 과정생이 되고, 매년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Annual Progress Reviews(APR)를 합니다. PR과 APR 모두 학위 논문을 위한 평가입니다. 목사님의 이해가 맞습니다.
간혹 본격적인 논문 작성 전에 구술시험을 보는 곳도 있으나, 목사님이 염두에 두신 애버딘은 바로 논문을 쓰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분과가 달라서 윤리학은 어떤지 모르겠으나, 신약학 전공자들의 말을 들어보면 애버딘은 일년 차 시험 PR을 Literature Review나 논문 일부를 바로 쓴다고 들었습니다.
구약학이나 신약학 전공이라면 히브리어/헬라어 언어 시험은 지도 교수가 면접에서 간단히 테스트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윤리학은 전공 관련성을 고려하면 그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될 듯합니다.
영국은 한국이나 미국과 같은 종합시험이 없습니다. 모든 것은 논문의 개별 챕터로 평가합니다.
논문 제출 후 Oral Viva라고 해서 구술 시험은 치릅니다.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가 존재하지만, 영국 대학은 시작부터 끝까지 논문과 직접 관련이 있는 사항을 평가합니다. 간혹 교수가 학생의 학습을 위해 수업 참여를 요구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그리 좋은 신호는 아닙니다.
애버딘은 Distance Learning 과정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들은 바에 의하면, 교수 채용에서 현지에 몇 년 이상 거주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다고 하는데, 목사님이 교수를 희망하는 것이 아니라면 DL로 공부하실 수 도 있습니다. 학업 집중도나 학습 자료 등에는 불편함이 있지만, 재정이나 현지 적응 등은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교수가 최종 목표라면 재정적인 부담에도 불구하고 현지 유학을 하셔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목사님이 영미권 거주 경험이 없다면, 석박사 학위 보유에도 불구하고 영미권 석사 학위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간혹 박사 과정을 바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긴 합니다. 박사 과정 진학 이전에 영어로 공부할 수 있다는 자격을 증명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미권 3년 이상 체류, 학위가 가장 확실하겠죠. 아니면 영어 성적 제출 후 면접으로 요청하셔도 될 듯합니다. 비대면 면접으로 듣기와 말하기 실력을 보여주면 가산점이 될 수 있겠습니다. 시간이 되신다면 어학원이나 어플 등으로 몇 달 정도 연습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현 상황을 보니 자격은 충분해 보이시는데, 박사 유학으로 바로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서 고민이 많아 보입니다. 그러나 현 상황을 잘 감당하시고 미래를 위한 도전을 잘 감당하시리라 기대합니다.
이광수 목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