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비판과 책임

성찰 2017. 12. 30. 15:15

[비판과 책임]

난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이다. 교수의 강의를 통해 특정 주제에 대해 배우면서 동시에 토론과 소논문 등을 통해 비판해야 한다. 비판은 단순한 공격이 아니라 더 나은 견해를 제시하기 위한 하나의 관문이다.


서론 부분에서 기존 연구들에 대한 평가를 서술하는 이유는 연구자가 앞선 연구들의 공헌과 문제점을 명확히 파악하는데 있다. 뒤이어 자신의 연구가 학계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분명히 밝힌다. 이것이 바로 학자의, 그리고 학자가 되기 위한 훈련을 받고 있는 학생의 책임이다.


특히, 소논문이나 졸업논문처럼 공식적으로 제출해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아야 하는 글의 경우 비판과 대안제시는 매우 엄격한 심사를 거친다. 소논문이라면 교수의 평점으로, 졸업논문이라면 심사관들 앞에서 구술시험을 거쳐야 한다.


내가 학문의 세계에서 배운 교훈이 있다면, 대안 없는 비판은 가치가 없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 비판은 공허한 메아리로 취급 받는다. 대학이란 비판의식과 함께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학자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지, 비평가나 평론가를 배출하는 기관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훈련 덕분에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다면, 남에 대한 비판을 함부로 못하게 된다. 더구나 대안을 제시하지 못한다면 더욱 그렇다.


인터넷의 확산과 SNS의 발달로 누구나 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시대이다. 특히, 언론의 지형이 많이 바뀌었다. 게다가 흔히 말하는 진보적 성향의 정권이 들어섰다. 예전 보다 비판의 목소리는 많아졌는데, 그와 비례하여 책임은 지지 않으니, 어떻게 그들을 향한 시선이 부드러울 수 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