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에스겔서에서 절기/명절은 총  네번 사용되었다(36:38; 45:17–25; 46:9, 11). 첫 번째 사례인 36:38은 이스라엘 백성의 번영을 표현하는 비유이므로 실질적으로는 절기에 관한 구절이 아니다. 두 번째 사례인 45:17–25에서는 ‘명절’에 포함되는 실례로 유월절(21–24절)과 초막절(25절)에 관한 규정을 선포한다. 여기서 ‘초막절’이란 단어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절기의 시기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세 번째 사례인 46:9는 절기에 백성이 출입해야 할 문에 관한 규정을 선포한다. 네 번째 사례인 46:11에서는 ‘명절’이란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소제에 관한 규정이 진술되어 있다. 에스겔서 40-48장에서 새 예루살렘에 관한 예언에서 절기에 관한 에스겔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은 차지하고 있다.

반면 에스겔은 안식일에 더 관심을 둔다(20:13, 20, 21; 22:26; 23:38; 45:17; 46:1, 4–5). 에스겔은 회복된 이스라엘이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을 군주의 주도로 준수되어야 하며(45:17), 관련된 지침을 제시한다(45:18–25; 46:1–15).

,

요한의 절기 사용을 분석하다 보면, 안식일이 제법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5장에서 '유대인의 명절'(혹은 '익명의 절기', 1절)에 언급된, 베네스다 치유 사건 이후 안식일 논쟁이 이어진다. 이러한 이야기 전개는 다분히 의도적이다.

요한이 유월절을 중심으로 절기 순서를 배열하고, 자신의 신학을 녹여내고 있음을 인정한다면, 이같은 의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는 에스겔 45장 17절이 중요한 단서로 보인다.

17 군주의 본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에 갖추는 것이니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

이 구절에서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행하는 날에 명절과 안식일이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요한은 이같은 유대 관습에 주목하는 동시에 안식일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지 않았을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