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Vasilis Politis는 자신의 글에서 새로운 번역을 제시하여 플라톤은 정치가에게 목자 모형이 적합하지 않았다는 선행연구에 반박한다 (자세한 내용은 “Plato, Statesman 275D8–E1, “ The Classical Quarterly (2021) 71.2 575–581를 보라). 그러나 내가 보기에 Politis는 플라톤이 목자 모형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플라톤은 목자 모형을 긍정하지만, 그 모형이 갖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며 자신의 견해를 개진한다. 플라톤은 목자의 역할에서 양 떼를 '먹임'(feeding)이 아닌 '돌봄'(care)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돌봄의 기술은 '강제성'(compulsory)과 '자발성'(voluntary)으로 나뉘며, 왕과 정치가는 마땅히 자발성으로 자신의 의무를 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폭군은 목자 모형에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플라톤은 왕을 미화하여 목자 모형을 긍정적으로 그리는 관례에 의문을 제기한다. 결국 플라톤은 이러한 현실적 괴리에서 정치가에게 목자 모형을 적용해야 하는지 의문을 품는다.

이와 비슷한 사고가 신화에 대한 진술에서 발견된다. 신적 목자(divine shepherd)는 이상적인 신으로서 세상을 통치한다. 그러나 인간 세계에 무관심한 신들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계가 어지러워졌다. 플라톤은 인간을 방관하는 신에 대해서는 냉소적이지만, 신적 목자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

플라톤의 『국가론』에서 소크라테스와 정의에 관해 토론하는 인물이다. 둘 사이에 정의를 논하면서, 목자에 빗대어 지도자상을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내가 분석하고 있는 본문이다. 둘 사이에 상반된 입장을 갖고 있는데, 소크라테스는 전형적인 목자상을 지지하고, 트라시마코스는 권력의 속성에 비추어 목자의 실리적인 측면을 직시한다. 목자-왕 전승이 고대 근동과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왕권을 위해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트라시마코스의 입장이 더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목자로 비유된 지도자들은 자신의 안위와 권력에 관심을 두었고, 백성의 현실에는 무관심했다. 하지만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심판과 약속은 모두 전형적인 목자상에 근거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러한 대비로 인해 트라시마코스의 목자론은 내 연구에 흥미를 더해줄 자료가 된다.

트라시마코스 (Thrasymachu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2028&cid=40942&categoryId=31501

,

플라톤의 『국가』 영역본
Translated by Benjamin Jowett

The Internet Classics Archive
https://classics.mit.edu/Plato/republic.2.i.html


The Project Gutenberg eBook
https://www.gutenberg.org/files/1497/1497-h/1497-h.htm

단락 구분이 필요한 경우 아래 링크를 이용하라.

Perseus Digital Library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1.0168

 

'성서신학 > 관련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History of Herodotus  (0) 2010.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