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Vasilis Politis는 자신의 글에서 새로운 번역을 제시하여 플라톤은 정치가에게 목자 모형이 적합하지 않았다는 선행연구에 반박한다 (자세한 내용은 “Plato, Statesman 275D8–E1, “ The Classical Quarterly (2021) 71.2 575–581를 보라). 그러나 내가 보기에 Politis는 플라톤이 목자 모형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내가 이해하기로는, 플라톤은 목자 모형을 긍정하지만, 그 모형이 갖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며 자신의 견해를 개진한다. 플라톤은 목자의 역할에서 양 떼를 '먹임'(feeding)이 아닌 '돌봄'(care)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돌봄의 기술은 '강제성'(compulsory)과 '자발성'(voluntary)으로 나뉘며, 왕과 정치가는 마땅히 자발성으로 자신의 의무를 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폭군은 목자 모형에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플라톤은 왕을 미화하여 목자 모형을 긍정적으로 그리는 관례에 의문을 제기한다. 결국 플라톤은 이러한 현실적 괴리에서 정치가에게 목자 모형을 적용해야 하는지 의문을 품는다.

이와 비슷한 사고가 신화에 대한 진술에서 발견된다. 신적 목자(divine shepherd)는 이상적인 신으로서 세상을 통치한다. 그러나 인간 세계에 무관심한 신들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계가 어지러워졌다. 플라톤은 인간을 방관하는 신에 대해서는 냉소적이지만, 신적 목자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의 연설문에서 왕과 연관된 목자는 총 네 번 등장한다.

1. 용례

1) 왕권에 관한 첫 번째 담화

호메로스를 비롯한 수많은 인물이 사유했던 왕의 이상이 존재했다. 디온은 호메로스를 따라 이상적인 왕을 기술한다. 목자를 지칭하는 표현은 '백성의 목자'(Shepherd of the people)이다.

2) 왕권에 관한 두 번째 담화

이 담화는 산드로스와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 사이의 대화를 담고 있다. 필리포스는 알렉산드로스가 다양한 시인의 저작을 읽기를 권하지만, 알렉산드로스는 호메로스의 저작을 추앙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알렉산드로스에게 왕을 위한 시는 오직 호메로스의 저작뿐이다.

3) 왕권에 관한 세 번째 담화

소크라테스는 왕의 자질을 선한 목자에 비유하여 설명한다.

4) 왕권에 관한 네 번째 담화

네 번째 사례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에 심취한 알렉산드로스에게 호메로스의 또 다른 작품 미노스에 대해 질문하고 답하는 내용에서 나타난다. 여기에서 이상적인 왕은 호메로스의 '백성의 목자'(Shepherd of the people)에 기반하고 있다.


2. 디온 크리소스토모스의 목자 은유
디온은 호메로스의 '백성의 목자'(Shepherd of the people)를 충실히 따른다. 네 번의 용례 중 두 차례나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연결하고 있다. 소크라테스의 답변은 이상적인 왕에 관한 철학적 권위를 더해주는 역할로 보인다.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에 실린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에 대한 정보이다. 그리스-로마 문헌에 나타난 목자-양 비유에 관한 자료를 찾고 있는데, 서양 철학까지 연결되고 있다.

Michel Foucault
https://plato.stanford.edu/entries/foucault/

,

에스겔 탈굼(The Targum of Ezekiel)은 히브리어 성경의 에스겔서를 아람어로 번역한 책입니다. 34장은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에 대한 예언입니다. 이 구절에서 주님은 지도자들의 백성들에 대한 무관심을 폭로하십니다.

1-10절은 목자-양 비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히브리 성경과 다릅니다. 이 구절은 목자 대신 지도자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아람어 성경이 수사적 장치보다 평이한 언어를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11-16절에서 주님은 목자와 양의 비유를 통해 당신의 백성에 대한 미래의 돌보심을 선포하십니다. 12절은 목자-양 비유에 대한 전형적인 예입니다. 주님은 목자가 양 떼를 찾듯이 그분의 백성을 찾아 구원하실 것입니다. 주님은 목자가 양 떼를 찾듯이 그분의 백성을 찾아 구원하실 것입니다(12절). 주님은 목자와 양의 비유를 통해 그분의 구원을 드러내십니다. 주님은 목자가 안전한 목초지와 물길을 제공하듯이 고향에서 그들을 위한 그분의 공급을 선포하십니다(13-15절). 주님은 목자가 양 떼를 돌보듯이 길 잃은 자들을 찾아서 돌아오게 하시고 그들을 돌보실 것입니다(16절).

17-22절은 비유를 사용하지 않고 공급이라는 앞의 주제를 이어갑니다. 주님은 부적절한 공급에 대해 그분의 백성을 심판하실 것입니다.

23-24절은 내 종 다윗을 부르신 새 지도자에 대한 약속입니다. 주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부양할 지도자를 세우실 것입니다(23절). 주님은 그들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며, 그분의 종 다윗은 그들의 왕이 될 것입니다(24절). 이 구절은 왕권과 신적 왕권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25-31절은 주님과 그분의 백성 사이의 평화 언약을 다룹니다. 25절의 사나운 짐승은 목자와 양의 비유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4장은 목자-양 비유를 통해 백성, 왕, 주님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37:15-28은 이스라엘의 회복, 여호와의 종 다윗의 등장, 평화의 언약 등 34장에서 선포된 약속을 이어갑니다.

'연구주제 > 에스겔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겔서에 나타난 절기와 안식일  (0) 2023.08.31
,

목자-양 비유에서 다윗을 이상적인 왕으로, 그의 후손은 하나님의 심판과 이스라엘의 회복, 즉 종말론적 구원을 실현할 지도자로 등장한다. 또한 다윗의 후손은 그의 종말론적 사명으로 인해 메시아로 등장하는 사례가 많다. 그러나 이 같은 묘사는 일률적이지 않으며 변형들이 나타난다.

왕이란 칭호는 이스라엘과 이방 모두에게 적용된다 (12:20; 13:40; 15:16, 20, 33). 칭호 자체는 중립적이다. 저자는 목자나 다윗에게 왕이란 칭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목자-양 비유는 다윗과 연결되지 않는다. 저자는 목자-양 비유를 통해 목자를 양 떼를 늑대 무리에 넘겼다고 표현하여, 이스라엘의 부패한 왕 혹은 지도자의 실상을 폭로한다 (5:18). 그러나 본서에서 목자와 왕을 동일 선상에서 다루는 구절은 없다.

아들의 등장과 행동에 관한 묘사는 그를 초월적 존재처럼 남다른 면모를 부각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13:32, 37, 52; 14:9; '그 사람'에 관해서는 13:1-13을 참조하라). 그는 하나님의 열국 심판과 이스라엘의 회복을 수행하는 기간에만 지상에 존재한다. 그의 과업은 마치 다윗의 후손을 연상시킨다.

메시아는 하나님의 아들로 묘사된다 (7:28, 29). 본서에서 메시아는 목자-양 비유나 왕, 다윗(의 후손)과 연결되지 않는다.

,

에스라 4서는 3~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서에서 목자-양 비유는 단 한 번(5:18) 등장한다.

5:18 Rise up then, and eat bread, and forsake us not, as the shepherd that leaves his flock in the hands of cruel wolves.

이스라엘이 포로로 잡혀가는 이유는 목자가 자신의 양 떼를 늑대 무리에게 넘겼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목자인 지도자들의 방임은 이방 세력의 침략과 포로기를 가져오게 된다.

이 구절은 늑대가 목자-양 비유에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내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작업 중 하나가 왕과 목자에게 적용되는 어휘군 분류이다. 고대 근동과 고대 이스라엘에서 왕과 목자를 동일시했어도, 이러한 용례를 목자-왕 전승으로 칭하더라도, 실제 어휘 사용에서 구분할 수 있는 사례가 많다. 오늘 살펴볼 규/[쇠]막대/철봉은 왕과 목자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어휘이다. 그래서 이 단어의 대상이 왕인지 목자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솔로몬의 시편 영문판에서 'rod'는 두 번(17:24; 18:7) 사용되었다.

17:24 an iron rod
18:7 the rod of discipline of the Lord’ anointed

이 용례를 목자 은유로 해석한 사례가 있으나, 나는 문자 그대로 왕의 '규'로 간주한다. 솔로몬의 시편에서는 왕권에 관해 말하고 있으며, 직역과 은유를 자유자재로 사용하지만, 대부분 직역으로 해석해야 하는 본문이다. 내가 볼 때 목자 은유가 나타난 구절은 단 한 곳(17:40) 뿐이다.

17:40 He shall be strong in his works and mighty in fear of God, shepherding the flock of the Lord faithfully and righteously, and he shall not let any among them become weak in their pasture.

이 문장에서 세 단어 'shepherding', 'the flock of the Lord', 'their pasture'가 목자 은유에 해당한다.

,

앞서 살펴본 대로, 구약성경에서 '비'는 왕권 사상, 특히 야웨 신앙과 관련이 있다. 제2 성전기 문헌 중 하나인 솔로몬의 시편(The Psalms of Solomon)에도 이 같은 사상이 나타난다.

17:18 They were scattered over the whole earth by lawless men, for heaven withheld the rain from falling on the earth.
17:19 Everlasting springs out of abysses were held back from high mountains, for there was none among them who did righteousness and justice.

17:18 하늘이 땅에 내리는 비를 거두었기 때문에 그들은 무법자들에 의해 온 땅에 흩어졌습니다.
17:19 심연에서 솟아나는 영원한 샘물이 높은 산에서 막혀 있었으니, 그중에는 의와 정의를 행하는 자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위 번역은 DeepL Translate를 이용한 결과이다.

두 구절은 '비'와 '영원한 샘물'이 부재한 이유를 악인에게 돌리고 있다. 반대로 의와 정의를 행한다면 비와 영원한 샘물이 이스라엘 백성과 함께하게 된다.

시편 기자는 의와 정의가 다윗과 같은 왕이 등장해야 가능하다고 믿는다.

17:40 He shall be strong in his works and mighty in fear of God, shepherding the flock of the Lord faithfully and righteously, and he shall not let any among them become weak in their pasture.

다윗 계열의 구원자 사상(Davidic Messianism)과 목자-양 비유의 결합은 다윗 왕권 사상(Davidic Kingship)에서 자주 나타난다.

,

성경의 최종 형태에 관한 다양한 견해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실재를 바탕으로 기록되는 결론이 마땅하다고 본다. 예언자 예레미야는 이스라엘의 멸망과 회복을 선언하면서, 이스라엘의 회복이 자신의 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일방적인 선택이라고 이해하게 된다. 즉 하나님의 언약이 아니고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설명할 길이 없다. 예레미야는 이전에 보지 못한 강대국들이 출현하던 시기였고, 그 제국조차도 멸망의 길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살아남았다. 인간의 상식에서 벗어난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은 언약이라는 신앙의 언어였다.

14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배역한 자식들아 돌아오라 나는 너희 남편임이라 내가 너희를 성읍에서 하나와 족속 중에서 둘을 택하여 너희를 시온으로 데려오겠고
15 내가 또 내 마음에 합한 목자들을 너희에게 주리니 그들이 지식과 명철로 너희를 양육하리라

구약에서 언약과 목자의 출현에 관한 예언은 자주 결합하어 나타난다.

,

선지자 예레미야는 목자-양 비유를 약 17번 정도 사용하였는데, 이 빈도는 성경에서 가장 많은 활용이고, 그 용례는 다양하게 적용된다.

예레미야는 '목자'라는 칭호를 이스라엘 왕 혹은 지도자와 하나님만이 아니라 이방 민족에게도 사용한다. 목자의 '선함'과 '악함'은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 모두에게 적용된다. 심판이란 주제도 이스라엘과 이방 민족 모두에게 적용된다.

하지만 미래에 대한 예언에 있어서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예레미야는 목자-양 비유를 통해 이스라엘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그리지만, 바벨론을 향해서는 철저한 심판을 선포한다. 대표적으로 23:1-8은 전자에 속하고, 50장은 후자에 속한다. 흥미롭게도 목자-양 비유의 빈도는 후자가 더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