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구약에서 국가 차원의 위기가 역동적으로 그려진 본문은 대표적으로 예레미야서와 이사야서를 꼽을 수 있겠다. 예레미야서는 남유다의 멸망 전후를 예언자 예레미야의 관점에서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예레미야서의 진술은 서사적이며 역사 기술에 가깝다. 이사야서는 남유다의 멸망과 이방 왕의 통치 등 격변기의 시대를 토대로 이사야의 이해와 해석을 담고 있다. 이사야는 자신의 발화를 “계시”(1:1)라고 말한다. 이사야서가 이스라엘 역사에서 가장 격동적인 시기를 포괄하는 만큼 세계관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이원론, 이방 왕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이 그러하다. 여기에 이 글의 주제인 “야웨의 종”도 포함된다.

이사야서에 등장하는 고레스와 야웨의 종

이방 왕 고레스에 대한 칭호는 이스라엘 역사에서 매우 드문 사례이지만, 그가 오랫동안 예언되어 온 “포로 귀환과 성전 재건”을 현실화시킨 왕이라는 사실은, 그가 비록 다윗과 같은 왕 혹은 다윗 계열의 왕(Davidic King)이 아니더라도, “내 목자”와 “그의 기름 부음 받은 고레스”라는 서술(44:28; 45:1)에 타당성을 부여한다. 고레스 이후에는 전통적인 용례에 따라 Davidic Messianism으로 회귀 되는 경향이 있다(유대 메시아사상에 관해서는 복잡한 설명이 필요하지만, 현 단계에서는 이 단어를 사용한다).

이사야의 네 번째 노래에 포함된 “야웨의 종”의 실체에 대해서는 더욱 복잡하다. 정체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방향으로 나뉜다. 하나는 ‘이스라엘’이란 국가로 보는 견해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으로 간주하는 해석이다. 각 진영에서도 해석이 분분한데, 그만큼 정체 규명이 어려운 작업임을 보여 준다.

우선, 나는 ‘이스라엘’이란 집단으로 해석하는 경향은 배제한다. 이 진영에 속한 학자들도 ‘이상적인 이스라엘’이란 개념을 사용할 만큼, “야웨의 종”을 집단으로 해석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나는’이상적인 이스라엘’이란 개념부터 성립되지 않으며, 가장 근접한 시기라면 다윗 왕 초중반과 솔로몬 초반을 상정했을 테고 실제로 다윗 왕국의 부활을 꿈꾸는 유대인들이 많았겠지만, 그런데도 이스라엘 왕국의 멸망과 포로기는 염연히 조상들과 그들의 죄로 인한 심판이기에 이스라엘이 이방을 위해 속죄한다는 개념은 성립할 수 없다. 이상적인 이스라엘이라도 이방 국가들을 속죄한다는 개념은 존립하지 않는다.

물론, ‘개인’으로 해석해도 여전히 그 인물이 누구인지 규명할 수 없다. 그런데도 이사야가 뒤늦게 그 “야웨의 종”의 가치와 기여를 깨달았듯이, 대중들이 진가를 알아보지 못한 인물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 이 인물의 정체에 대해서는 그가 왕실 혹은 장차 왕으로 봉립될 인물(royal figure)인가 메시아(messianic figure)인지 다뤄야 한다. 이 부분에서 내 견해가 가장 많이 바뀌었는데, 나는 왕이나 메시아와 거리가 멀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현재로서는 ‘예언자’에 가깝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에 대한 무관심과 고난 등은 정치적 군사적인 영역으로는 해석이 되지 않는다. 내가 주목하는 구절 중 하나는 “나의 의로운 종이 자기 지식으로 많은 사람을 의롭게 하며”(53:11)라는 구절인데, 그는 발화를 통해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고자 했던 사람이다. 이런 활동은 예언자의 영역에 가깝다고 여겨진다.

중요한 사실은, 이사야가 그 “야웨의 종”에 대한 뒤늦은 깨달음을 통해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속죄”라는 개념을 흔든다.

This was a new and revolutionary concept that a human sufferer would have the power to be a substitute and atone for human sin (Westermann, Isaiah 40-66, 263).

Westermann의 표현대로, 이렇게 “새롭고 혁명적인 개념은” 변혁의 시대에 발현된다. 포로 귀환 이후 속죄 개념의 발전을 들여다보면, 이사야가 얼마나 변혁적인 예언자인지 드러나지 않을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