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수많은 해석가들이 예수의 죽음에 관하여 이사야의 고난받는 종을 연결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도전을 받고 있다.

예수와 이사야의 고난받는 종  

역사적으로 이사야가 묘사한 '고난받는 종'은 귀환 공동체의 지도자로 성전 재건에 힘썼던 스룹바벨을 지칭한다. 스룹바벨은 귀환 공동체의 지지와 기대 속에서 성전 재건을 도모하지만, 그래서 여러 선지자들을 통해 선포되었던 새로운 다윗의 등장이라는 약속을 성취할 자로 추앙받지만, 귀환 공동체의 기대와 달리 그는 비참한 죽임을 당하고 만다. 이사야의 진술은 메시아적 사역을 감당하리라고 기대를 받은 지도자의 사망에 대한 절망과 탄식 가운데 나온 고백이다.

더구나 이사야 54-66장에서 새로운 다윗의 등장을 말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스룹바벨의 죽음 이후에도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55:3)을 말하지만, 새로운 다윗의 등장은 말하지 않는다. 반면 '영원한 언약'(55:3; 61:8)이라는 표현은 몇 차례 나온다. 절망에 빠진 귀환 공동체를 위로하시는 이는 하나님이다. 특히 하나님은 귀환 공동체를 향해 '네 남편'(54:5)라는 표현을 사용하신다. 남유다 왕국의 멸망 이후 새로운 다윗의 등장을 선포하는 예언자들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보다는 하나님의 임재와 통치를 선포하는 예언자들의 등장을 주목해야 한다. 많은 해석가들이 새로운 다윗의 등장에 더 주목하고 있으므로,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수께서는 메시아/그리스도로 추앙받았으나, 십자가 위에서 죽임을 당하셨다. 이러한 순서는 스룹바벨을 연상시킨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부활하셔서 자신의 궁극적 지상 사역을 성취하셨다. 따라서 예수는 스룹바벨과 구별되어야 한다.

또한 스룹바벨의 죽음 이후 하나님께서 직접 귀환 공동체를 통치하신다고 하셨고, 하나님께서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 이후 성령을 허락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뜻을 자신의 방법대로 성취하신다. 다만 우리는 성경을 읽을 때 좀더 세심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 특히 성경 인용에 관해서는 주의에 주의를 더해야 한다.

,

Joseph L. Trafton은 메시아 사상에 관한 구절에서 다윗과 관련된 구절과 연관성 없는 구절로 나뉜다고 지적한다. 그가 근거로 제시했듯이, 다윗 계열의 메시아 사상이 압도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질문을 던져야 한다. (1)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그 다음에는 (2) '하나님이 과연 다윗 계열의 메시아 사상을 말씀하셨는가?'


다윗 계열의 메시아 사상은 유대 메시아 사상 가운데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이념 중 하나이지 절대 진리로 간주되지 않았다는 게 내 가정이다.

 

,

알렉산드리아의 필로는 메시아에 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모세를 이상적인 지도자로 그리는 특징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필로의 저술을 바탕으로 표면적인 해석을 수용하지 않고, 로마 제국의 통치라는 그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노출되지 않은 이면의 의도를 해석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들에 따르면, 필로는 메시아라는 정치적 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하는 대신에 지도자의 덕목을 다루면서 모세를 이상적인 메시아로 제시했다. 만약 이들의 주장이 옳다면, 필로가 다윗을 언급하지 않은 이유가 설명된다.

요한복음에서 모세는 아주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 특히 율법의 수여자로서 유대인이 예수를 정죄하는 결정적인 기준이 된다. 유대인 집단과 갈등이 증폭되지만, 동시에 예수를 선지자이자 메시아로 고백하는 개인과 집단도 커져간다. 메시아사상을 관점으로 요한복음을 보면, 12장은 수많은 이스라엘 백성이 다윗 계열의 구원자 사상(Davidic Messianism)을 믿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10장의 선한 목자 담론에서 목자-왕 전승 역시 그 증거가 된다. 그러나 요한은 끝끝내 다윗을 직접 언급하지 않는다. 나는 이러한 의도가 메시아사상의 반작용을 고려했다고 짐작하고 있으며, 내가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오늘 필로의 메시아 사상에 관한 논증을 통해서, 내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찾은듯싶다.

'연구주제 > 메시아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alm 151에 나타난 다윗과 목자  (0) 2024.05.03
에스라 4서에 나타난 메시아  (0) 2023.10.03
메시아 예수  (0) 2021.01.14
,

기독교인은 구약(Old Testament)이라고 부르는 본문을 유대인(과 구약 전공자 일부)은 히브리 성경(Hebrew Bible)이라고 일컫는다. 기독교는 유대교와 달리 신약(New Testament)를 정경으로 인정한다.

기독교인들은 구약과 신약을 모두 읽는다. 나는 기독교 신자로 성경 전체를 읽어 왔으며 지금은 신약학 전공자로서 신약 본문 해석을 위해 구약을 연구한다. 내가 구약 본문을 공부할 때 자주 참고하는 주석 중 하나는 JPS Bible Commentaries이다. 내가 알기론 오랫동안 업데이트가 안 되고 있지만, 출간된 책은 반드시 참고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유대인과 기독교인 사이의 관점적 차이가 존재할 수 있지만, 혹여나 비유대인이나 비기독교인, 무신론자도 관련 주석을 집필하고 연구를 진행한다 하더라도, 구약과 랍비 해석 전통에서만큼은 유대인이 최고 전문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재는 기독교 진영 학자들이 뛰어난 주석을 많이 내놓고 있어서 유대인 학자의 글을 참고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있기는 하다.

반면 유대인들의 신약 해석에 대해서는 의문점이 있었다. 언제부터인가 유대 전통에서 신약을 해석하는 시도들이 진행되었지만, 최소한 국내에서는 큰 반향을 일으킨 적이 없다. 이번에 『유대배경으로 읽는 복음서』를 읽은 이유는 순전히 이 책이 내 연구 관심사와 연관되어 있어서이다. 나는 요한복음 10장을 본문으로 목자-왕 전승을 중심으로 메시야 사상과 예수의 죽음에 관한 가르침의 기원을 밝혀야 한다. 비록 저자는 복음서에서 마가복음을 중점적으로 다루지만, 그의 연구는 확실히 내 연구에 도움이 될법하다. 

저자가 유대인 학자임에도 웬만한 기독교 신약학자 이상으로 복음서의 핵심 주제를 잘 다루고 있다는 점은 확실히 놀랍다. 표지에 적힌 대로, 저자가 현존하는 최고의 유대 학자 중 하나로 꼽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싶다. 이 책에서 확인한 그의 연구 능력은 과히 놀랍다. 

하지만 기독교 신자로서, 특히나 이 주제에 조금이라도 익숙하다면 그의 논지는 그리 놀랄만한가 싶다. 복음서를 유대배경으로 읽는다는 전제는 나에게 너무나 익숙하고, 그의 진술 역시 나에게는 당연하다고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그가 유대인 학자로서 이런 연구를 진행했다는 사실 하나가 놀라울 뿐이다. 솔직히 말해 내가 이 책에서 가장 재밌게 읽은 부분은 잭 마일스의 서문이다.

물론 이 지점에서 고민해야 할 주제를 던져주긴 한다. 분명 나를 비롯해 수많은 기독교인이 유대계 기독교인에 대해 무관심할 거다. 그들의 존재와 그들의 믿음에 대해 생각할 계기가 없었을 거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가 얼마나 당연하게 유대교와 기독교를 분리하며 살고 있는지 고민해 볼 지점을 마련해 줄 거다. 

저자의 견해에 대한 내 생각은 여기서 다루지 않기로 했다. 저자마다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고, 내 생각은 내 저술에서 펼치면 되니까 말이다.

혹여나 내 후기가 이 책을 혹평한다고 짐작할 거 같아서 말미에 오해를 방지하고 싶다. 이 주제에 관해서는 이 책만큼 명쾌하고 논리정연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고 평가하고 싶다. 기회가 된다면 꼭 읽어보시라.

유대배경으로 읽는 복음서
국내도서
저자 : 다니엘 보야린 / 이학영역
출판 : 감은사 2020.05.27
상세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