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리처드 헤이스의 사도 바울과 이사야 53장에 대한 관찰은 나에게 유익한 참고자료를 하나 알려준다.

신약성경의 기독교 해석자들은 때때로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에 대한 묘사를 바울 기독론을 이해하는 실마리로 보고 그것에 관심을 집중하였습니다(비록 이러한 접근 방식이 40여 년 전 후커[Morna Hooker]의 논문, Jesus and the Servant에 의하여 심각한 타격을 받았음에도 말입니다).각주4 바울이 이사야 53장을 그리스도의 대속적 고난에 대한 예언으로 읽었을 수 있지만, 이런 주장을 입증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저는 바울이 이사야서를 명시적으로 사용한 것이 그가 더 일반적으로 구약을 사용한 것처럼 이론의 여지없이 "교회 중심적(ecclesiocentric)"이라고 믿습니다. 그의 이사야서 읽기는 본질적으로 이방인들이 포함되는 하나님의 종말론적인 백성이 만들어지는 것을 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그는 이사야서에서 이방인을 향한 그의 사도적 사역에 관한 근거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그것에 대한 선지자적 예언을 찾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쿰란의 서약자들(Qumran covenanters)이 성경 본문을 그들 자신의 공동체 생활과 소명에 대한 예언으로 읽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였습니다. 

각주4. "초대교회의 신학자들이 쓴 저서에서, 우리는 예수와 그 종의 동일시가 사도 바울, 사도 요한, 또는 히브리서 저자의 사고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는 것에 대한 증거를 거의 찾을 수 없고, 그들에게 이것이 알려졌다는 증거도 전혀 찾을 수 없다"(M. Hooker, Jesus and the Servant: The Influence of the Servant Concept of Deutero-Isaiah in the New Testament [London: SPCK, 1959], 127). 

[출처] 리처드 B. 헤이스, 상상력의 전환, 68-69.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에서 예수의 '내어줌'(lay down)의 가르침이 이사야 53장의 '고난받는 종'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주장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나는 박사 과정에서 이 주장을 검토할 예정으로, 내 연구 제안서의 두 번째 과제로 선정되어 있다. 현재 내 예상으로는 이사야 53장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사실 대안을 갖고 있지만 차후 연구를 통해 검증해야 한다. 현 상황에서 말할 수 있는 건, 지도교수가 동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모나 후커의 책을 읽어보면 또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헤이스가 인용한 후커의 글에는 동의하는 바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