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내 박사 학위 연구 본문은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이다. 나는 세 가지 질문을 던지는데, 이미 두 질문에 대한 잠정적인 결론은 나온 상황이다. 박사 과정에서는 두 질문에 관한 잠정적인 결론을 보강하고, 나머지 한 질문에 집중해 답하면 된다. 내가 붙들어야 할 질문은 '예수께서 자신의 죽음을 가르쳤을 때, 그가 떠올린 밑그림은 무엇이었을까?'이다. 수많은 선행연구에서는 이사야 53장을 지목한다. 소수는 스가랴 13장 7절이다. 지난 글에서 나는 소수 입장에 무게를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요한복음 10장에 나타난 예수의 죽음에 관한 가르침의 기원, 이사야 53장과 대안

요한복음 10장에 나타난 예수의 죽음에 관한 가르침의 기원, 이사야 53장과 대안

 

 

앞서 논쟁을 풀 방안을 발견한 듯한 감이 돈다고 적었다. 하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그중 하나가 바로 12장에 나오는 예수의 죽음에 관한 가르침이다.

 

이에 무리가 대답하되 우리는 율법에서 그리스도가 영원히 계신다 함을 들었거늘 너는 어찌하여 인자가 들려야 하리라 하느냐 이 인자는 누구냐 (요 12:34)

 

여기에서도 이사야 53장을 지지하는 견해가 압도적이다. 나 역시 예수의 죽음에 관해서는 이사야 53장이 지배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요한복음 10장에서 예수의 죽음을 스가랴 13장 7절로 설명할 수 있다면, 요한복음 12장에서 다시한번 예수께서 자신의 죽음을 설파하셨을 때 스가랴 13장 7절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사야가 이렇게 말한 것은 주의 영광을 보고 주를 가리켜 말한 것이라 (요 12:41)

 

하지만 위 본문은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한다. 이 구절에서 나는 다시 한번 가슴이 막히는 느낌이 든다. 대세를 따라 10장과 12장은 이사야 53장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면 된다. 이 지점에서는 내 기여가 없더라도, 이미 다른 두 질문에 대한 해답에서 학계에 기여하는 부분이 있어서 나로서는 이 부분에서 무리하게 모험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10장에서 스가랴 13장 7절이 배경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싹을 틔우는 중이다. 이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를 제시하려면, 수많은 자료를 분석하고 대세를 압도할 만한 강력한 논증을 내세워야 한다. 사실 이 과제만 해결해도 박사 학위 논문으로 손색이 없다. 어렵게 난관을 헤쳐나가도 12장에서 더 큰 장벽을 만난다. 인용 공식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요한복음에서 선지자 이사야의 말씀을 인용한다고 밝힌다.

 

답이 없지는 않다. 이사야를 대표적인 인물로 해석하면 된다. 간혹 신약 저자가 구약 본문을 인용할 때, 특히 선지자의 경우 동일한 메시지를 선포한 선지자 중 대표적인 인물을 내세우거나 전혀 관련 없는 인물을 내세우는 사례가 있다. 내 연구에 적용한다면, 이사야가 동일한 메시지를 선포한 인물 중 대표로 꼽혔다고 주장하면 된다. 실제로 이 주장이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어차피 이 지점에 대한 답변은 이사야와 스가랴의 관계에서 규명해야 한다.

 

내 앞에 끝을 알 수 없는 장벽이 서 있는 기분이 든다. 박사 과정 시작 이전에 내 연구가 상당히 진척되어 있지만, 앞으로 헤쳐나가야 할 고비가 그만큼 많다. 엄밀히 말해 요한복음 12장은 내가 고민해야 할 본문이 아니다. 그러나 나는 앞으로 요한복음을 계속 연구할 예정이고, 한편으로는 내가 가정하고 있는 신약의 구약 사용에 대한 전제를 시험하고 싶다.

 

신약의 구약 사용에 있어서, 나는 신약 저자가 구약을 구절 단위로 인용하지 않고 특정 본문을 밑그림으로 두고 그 위에 저자의 메시지를 얹힌다고 전제하고 있다. 구약의 밑그림과 신약 저자의 덧칠은 정교한 한 폭의 그림이 된다. 해석자로서 신약 저자의 구약 사용을 분석하다 보면, 구약 본문의 메시지에 저자의 섬세한 각색이 더해져서 글로 표현하기 힘든 벅찬 감동을 준다.

 

요한복음 10장과 12장은 내 전제를 실험하기 좋은 본문이다. 박사 학위를 빨리 끝내고 싶다는 현실적인 고민으로 크나큰 부담으로 느껴지면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연구하는 해석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사명감으로 다가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