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쿰란 공동체는 요일별 기도문을 가지고 있었고, 4Q504는 그 일부로 "천체 이야기"(Words of the Luminaries)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쿰란공동체의 기도문은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를 회고하고, 새로운 공동체 건설에 대한 희망을 하나님께 간구했다고 여겨진다.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에 대한 회고는 반성을 위한 회개의 성격을 갖고 있었을 테지만, 그보다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성취를 고대했다고 봐야 한다. 일례로 4Q504에서 다윗 언약에 대한 언급은, 쿰란 공동체가 다윗 메시아사상을 공동체의 주요 사상으로 간주하지 않았을지라도, 제사장 메시아사상도 쿰란 공동체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므로, 다윗 언약의 실현을 요청하며 이스라엘 왕국의 이상이 재현되기를 고대했을 거라는 가정은 가능하다.

결국 쿰란 공동체는 하나님의 언약에 기대어, 언약의 실현을 고대하며, 이상의 실현을 꿈꾸던 공동체이다.

,

4Q504에 관한 첫 글이 "4Q504에 나타난 다윗 언약의 미래 지향적 해석"이었는데, 후속 글이 견해를 뒤집는 "4Q504에 나타난 다윗 언약의 과거 지향적 해석이다.

4Q504 1-2 frag. Col.Ⅳ를 읽으면, 다소 우세한 입장대로 다윗 언약을 미래 지향적 해석으로 볼 수 있지만, 뒷부분인 Col.Ⅴ를 읽으면 다윗 언약은 과거 사실의 역사적 진술이 된다. Col.Ⅴ는 생명수 샘 (Source of living water)의 파괴를 말하는데, 이곳은 Col.Ⅳ에서는 시온이다.

Col.Ⅳ에서 다윗 언약과 이스라엘 왕국의 건설을 다루었다면, Col.Ⅴ는 이스라엘의 멸망과 포로기를 다룬다. 다윗 언약은 역사적 진술의 일부에 해당하며, 따라서 미래 지향적 해석으로 읽을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다.

내 관점에서 생명수 샘은 목자 은유와 깊은 연관성이 있어서 이 부분을 유심히 읽었는데, 덕분에 다윗 언약에 관한 해석의 기조를 바로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래서 참고 자료는 앞뒤로 잘 살펴봐야 한다.

,

전문이 아닌 파편으로 남아 있는 쿰란 문서 해석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얼마 되지 않은 관련 문서를 살펴보면, 4Q504는 기도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혹자는 4Q504가 기원전 2세기 작품으로는 드물게 패턴화된 기도문이라고 한다. 기도라는 장르는 본문 해석의 방향성에 영향을 준다. 즉 본문은 과거가 아닌 미래지향적인 해석에 열려 있다. 그러므로, 4Q504에 나타난 다윗 언약은 단순히 과거 사실의 반복이 아니라 미래를 위한 희망의 근거로 해석할 수 있다.

본문은 다윗 언약에 근거해 목자, 백성의 왕자가 되어 영원토록 이스라엘을 통치한다고 진술한다. 또한 열방은 그의 영광을 본다.

이 진술만 보면 역사 진술(과거)로 해석할 수 있지만, 기도라는 특성을 고려한다면 다윗 목자의 도래를 간구하는 기도로 해석할 수도 있다. 이 다윗 목자를 왕자라는 단서와 함께 고려하여 에스겔과 연결하는 해석이 대다수인데, 차후에 특이점을 발견한다 하더라도 현재로서는 대세를 따라도 무방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