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34에 나타난 언약을 언급하는 박사 학위 논문
Abstract
The majority opinion in scholarship holds that the Essene use of the term ברית חדש ה (‘new covenant’) in the DSS was intended as an appropriation of the ‘new covenant’ prophecy of Jer 31:31–34, as this is the only passage in the entire HB to contain this term. This study seeks to question the validity of this assumption, and, in light of the contribution of the (relatively) recently published 4QD Fragments, will argue that despite the presence of the term ברית חדש ה in Jer 31:31 and the DSS, there are solid grounds to suggest that the Essenes did not in fact conceive of their ‘new covenant (in the land of Damascus)’ as an appropriation and/or fulfillment of Jer 31:31–34. Rather, the Essene use of the term ברית חדש ה is more adequately explained on other grounds. The present study is divided into four chapters. Chapter 1 serves as an introduction wherein th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context (historical review of scholarship), course of analysis, and methodology will be discussed. Chapter 2 is devoted to an exegesis of the text of Jer 31:31–34, wherein the LXX and MT versions of this passage (and their relation to one another) will be evaluated. The conclusions reached in this chapter will serve to inform our discussion in Chapter 3, which is itself devoted to four separate but related tasks: (1) an in-depth study of the Essene concept of the ‘new covenant’ in the two DSS texts in which this term appears: the Damascus Document (D) and Pesher Habakkuk (1QpHab); (2) a synthesis of key Essene ‘new covenant’ concept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udy; (3) a comparison of these Essene ‘new covenant’ concepts with the concepts of the Jeremian ‘new covenant’ obtained from Chapter 2; (4) an examin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in light of our findings. Chapter 4 serves to conclude this study by summarizing key points from each chapter and exploring additional questions of interest promp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take on the New Covenant: a reconsideration of the 'New Covenant' and Jeremiah 31:31-34 in the Masoretic Text, Septuagint, and Dead Sea Scrolls
https://era.ed.ac.uk/handle/1842/42216
'예레미야'에 해당되는 글 16건
|
||
|
||
월터 브루그만은 예레미야서가 예루살렘의 권력 구조를 향한 하나님의 진노를 담고 있다고 진술한다. 그중에서도 왕과 선지자를 향한 강렬한 비판을 표출한다. '연구주제 >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성경의 최종 형태에 관한 다양한 견해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실재를 바탕으로 기록되는 결론이 마땅하다고 본다. 예언자 예레미야는 이스라엘의 멸망과 회복을 선언하면서, 이스라엘의 회복이 자신의 의가 아니라 하나님의 일방적인 선택이라고 이해하게 된다. 즉 하나님의 언약이 아니고는 이스라엘의 회복을 설명할 길이 없다. 예레미야는 이전에 보지 못한 강대국들이 출현하던 시기였고, 그 제국조차도 멸망의 길을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살아남았다. 인간의 상식에서 벗어난 현실을 설명할 수 있는 관점은 언약이라는 신앙의 언어였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선지자 예레미야는 목자-양 비유를 약 17번 정도 사용하였는데, 이 빈도는 성경에서 가장 많은 활용이고, 그 용례는 다양하게 적용된다. '연구주제 >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예레미야는 이스라엘 왕과 이방 왕에게 동일하게 '목자'라는 칭호를 사용한다. 이방 왕을 '목자'로 지칭하는 사례는 모두 이스라엘 심판과 관련이 있다(6:3; 12:10). 6:3 목자들이 그 양 떼를 몰고 와서 주위에 자기 장막을 치고 각기 그 처소에서 먹이리로다
25:9 보라 내가 북쪽 모든 종족과 내 종 바벨론의 왕 느부갓네살을 불러다가 이 땅과 그 주민과 사방 모든 나라를 쳐서 진멸하여 그들을 놀램과 비웃음 거리가 되게 하며 땅으로 영원한 폐허가 되게 할 것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연구주제 >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예레미야의 목자-양 비유를 살펴보면, 이 비유가 다양한 용례를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중 하나는 자신의 직분과 위기를 표현할 때 목자-양 비유를 사용하는 사례이다. 16 나는 목자의 직분에서 물러가지 아니하고 주를 따랐사오며 재앙의 날도 내가 원하지 아니하였음을 주께서 아시는 바라 내 입술에서 나온 것이 주의 목전에 있나이다
11:19 나는 끌려서 도살 당하러 가는 순한 어린 양과 같으므로 그들이 나를 해하려고 꾀하기를 우리가 그 나무와 열매를 함께 박멸하자 그를 살아 있는 자의 땅에서 끊어서 그의 이름이 다시 기억되지 못하게 하자 함을 내가 알지 못하였나이다
'연구주제 >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이 글은 내 생각을 정리하는 성격을 갖고 있어서 순전히 내 사고에 의존하고 있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예언자들 사이에서도 계파라고 할 수 없지만, 개인에게 좀 더 영향을 많이 준 선대 예언자가 있었던 모양이다. 일례로, 스가랴는 에스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주장하는 학자가 많이 있다. 예레미야의 경우는 아마도 미가가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연구주제 >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대선지서에서 다니엘서를 제외하고, 이사야서는 후대에 등장하는 예레미야서와 에스겔서와 차별화된 특징이 있다. 다윗의 자손들 특히, 왕 같은 메시야가 이방인들의 압제에서 이스라엘을 구원하는 하나님이 정하신 왕으로 묘사되는데 반하여, 하나님의 고난받는 종은 이스라엘 뿐만 아니라 이방인들도 구원하여 다스리시는 온 열방의 왕이 될 것이라는 예언이다. 이는 창조주 하나님이 이스라엘만의 하나님이 아니요, 그가 친히 창조하신 온 세상의 주인이시라는 사실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
'연구주제 > 요한복음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
Benjamin A. Foreman의 연구에 의하면, 예레미야서에서 목자 은유는 총 6번(3:15; 10:21; 23:1–4; 31:10; 50:6–8, 17–19) 나타난다. 이 중에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본문은 23장이며, 나는 Foreman와 달리 23:1-8을 범위로 설정한다. 지난 주에 이 구절에 대한 본문해석과 목자 은유의 특징을 분석했고, 어제는 다른 본문들을 대충 살펴봤다. 대략 훑어봐서 단정하긴 어렵지만,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에 대한 윤곽이 그려진다. 1. 예레미야서에서 목자 은유의 특징은 23:1-8에서 잘 나타난다. 2.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는 고대 이스라엘 목자-왕 전승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기본에 충실한 형태를 갖고 있다. 박사 과정에서 연구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를 전부 살펴보고자 한다. 한 달 정도면 기본적인 분석은 마칠 수 있을 듯 하다. Benjamin A. Foreman, Animal Metaphors and the People of Israel in the Book of Jeremiah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1). '연구주제 > 예레미야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