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내 주장에 앞서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은 제사장으로서 대속죄일의 과업을 성취하셨다는 주장과 그 근거를 일부 인용한다(인용 표기는 *). 글의 출처는 Gerald O’ Collins and Michael Keenan Jones, Jesus Out Priest: A Christian Approach to the Priesthood of Chris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4–26이다.

*요한복음에서 성전과 제사를 예수의 죽음과 부활로 대체한다. 요한은 성전 청결 사건(2:13-22)을 초반에 배치하고, 예수와 사마리아 여인 사이의 대화를 통해 "영과 진리"로 예배할 때가 다가오고 있다고 선포하신다(4:21-24).

*요한복음에서 예수는 주요 절기의 의의를 성취하신다. 그중에서도 유월절은 예수를 제사장으로 묘사하고 있다.

*요한복음 서두의 세례 요한을 통한 "하나님의 어린 양"(1:29, 36) 선포는 예수께서 제사장의 중재직을 감당한다는 진술이다.

역설적으로, 예수의 제사장직과 대속죄일을 주장하는 이들조차 요한이 예수를 제사장이라고 부르지 않는다고 시인한다. 

요한복음이 묘사하는 예수, 전문용어로 기독론을 이해하려면 로고스 본문의 의미와 의도를 간파해야 한다. 요한은 서두부터 예수를 태초의 말씀, 하나님과 함께 하신 분, 하나님과 동등한 분, 창조 사역, 생명, 사람들의 빛(1:1-5)으로 묘사한다. 이어 세례 요한은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1:34)로 선포한다.

요한복음 기자에게 예수는 하나님과 동등하신 분으로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요한에게 예수를 묘사하는 칭호로 "하나님의 아들"에 견줄 만한 것이 없다. 요한은 예수의 죽음은 하나님의 아들로서, 그것도 자발적인 순종으로 성취된다고 기술한다.

요한복음의 절기는 매우 독특한 기능을 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유월절은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유월절이 예수를 제사장으로 묘사하지는 않는다. 요한은 예수의 죽음이 유월절을 연상하도록 의도하지만, 동시에 유월절과 일치시키지 않도록 유도한다. 만약 예수의 죽음과 유월절과 일치시킨다면, 내 판단에 의하면 그것은 요한의 의도를 오독하는 셈이다. 무엇보다 요한복음은 유대 절기 중 대속죄일을 언급하지 않는다.

세례 요한의 "하나님의 어린 양"(1:29, 36) 칭호는 중재자로서 제사장을 연상시키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 칭호는 예수의 사역을 묘사하고, 하나님의 구속사를 드러내는 장치이지 예수의 제사장직과는 아무 상관이 없다. 오히려 이 칭호는 예수의 왕권과 관련이 있다.

결론은, 요한복음은 예수를 제사장으로 묘사하지도, 대속죄일을 의도하지도 않는다.

,

수많은 해석가들이 예수의 죽음에 관하여 이사야의 고난받는 종을 연결시킨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도전을 받고 있다.

예수와 이사야의 고난받는 종  

역사적으로 이사야가 묘사한 '고난받는 종'은 귀환 공동체의 지도자로 성전 재건에 힘썼던 스룹바벨을 지칭한다. 스룹바벨은 귀환 공동체의 지지와 기대 속에서 성전 재건을 도모하지만, 그래서 여러 선지자들을 통해 선포되었던 새로운 다윗의 등장이라는 약속을 성취할 자로 추앙받지만, 귀환 공동체의 기대와 달리 그는 비참한 죽임을 당하고 만다. 이사야의 진술은 메시아적 사역을 감당하리라고 기대를 받은 지도자의 사망에 대한 절망과 탄식 가운데 나온 고백이다.

더구나 이사야 54-66장에서 새로운 다윗의 등장을 말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스룹바벨의 죽음 이후에도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55:3)을 말하지만, 새로운 다윗의 등장은 말하지 않는다. 반면 '영원한 언약'(55:3; 61:8)이라는 표현은 몇 차례 나온다. 절망에 빠진 귀환 공동체를 위로하시는 이는 하나님이다. 특히 하나님은 귀환 공동체를 향해 '네 남편'(54:5)라는 표현을 사용하신다. 남유다 왕국의 멸망 이후 새로운 다윗의 등장을 선포하는 예언자들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보다는 하나님의 임재와 통치를 선포하는 예언자들의 등장을 주목해야 한다. 많은 해석가들이 새로운 다윗의 등장에 더 주목하고 있으므로, 이 점을 유의해야 한다.

예수께서는 메시아/그리스도로 추앙받았으나, 십자가 위에서 죽임을 당하셨다. 이러한 순서는 스룹바벨을 연상시킨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부활하셔서 자신의 궁극적 지상 사역을 성취하셨다. 따라서 예수는 스룹바벨과 구별되어야 한다.

또한 스룹바벨의 죽음 이후 하나님께서 직접 귀환 공동체를 통치하신다고 하셨고, 하나님께서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 이후 성령을 허락하셨다. 하나님께서는 자신의 뜻을 자신의 방법대로 성취하신다. 다만 우리는 성경을 읽을 때 좀더 세심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 특히 성경 인용에 관해서는 주의에 주의를 더해야 한다.

,

요한복음 1-2장은 예수의 정체성과 사역을 설명한다. 요한은 자신의 독특한 어휘를 사용해 예수의 성육신, 십자가와 부활을 설명하는데, 그 목적은 "예수는 메시야시다"라고 선포하는 데 있다. 3-4장은 유대인 니고데모와 사마리아 여인을 통해 이스라엘 전체를 포괄하려는 의도로 읽을 수 있다.

5장은 갈등 국면으로 접어든다. 예수께서 베데스다에서 행한 이적이 그를 적대하는 무리가 등장하게 된 계기가 된다.

그러므로 안식일에 이러한 일을 행하신다 하여 유대인들이 예수를 박해하게 된지라 (5:16)

더 나아가 예수께서는 자신의 정체성을 과감하게 드러내신다.

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서 이제까지 일하시니 나도 일한다 하시매 (5:17)


예수님의 반응은 유대인에게 극단의 적대감을 느끼게 하는 계기가 된다.

유대인들이 이로 말미암아 더욱 예수를 죽이고자 하니 이는 안식일을 범할 뿐만 아니라 하나님을 자기의 친 아버지라 하여 자기를 하나님과 동등으로 삼으심이러라 (5:18)


분명 유대인은 모세의 율법에 충실하려는 선한 의도가 있다. 그러나 예수께서는 그들의 행위가 모세의 가르침에 부합하지 않다고 말씀하신다. 

내가 너희를 아버지께 고발할까 생각하지 말라 너희를 고발하는 이가 있으니 곧 너희가 바라는 자 모세니라 (5:45)


예수께서는 모세 율법의 수호자를 자처하는 유대인들에게 모세가 너희를 하나님께 고발한다고 말씀하신다. 이러한 선포는 요한복음의 전개, 그리고 예수를 향한 유대인의 적대감만큼이나 극적이다.

또한 예수께서는 유대인들이 진정한 모세의 후계자라면, 예수를 믿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모세를 믿었더라면 또 나를 믿었으리니 이는 그가 내게 대하여 기록하였음이라 (5:46)


요한은 유대인들이 직면한 믿음의 장벽을 서술하고 있다. 요한 공동체와 오늘날 신앙 공동체는 예수의 십자가 사건과 부활을 믿는다. 하지만 예수 생존 당시나 지금이나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거부하는 자들이 있다. 더구나 본문에 등장하는 유대인들은 예수의 구속 사역을 경험하기 전이다. 

청중/독자는 이러한 전개에 당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반전은 필연적이다. 세례 요한과 예수의 선포가 실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이르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1:29)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이 성전을 헐라 내가 사흘 동안에 일으키리라 (2:19)


예수와 유대인의 갈등은 예수의 고난을 위한 필연적인 장치이다. 유대인의 적대감은 예수의 죽음을 가능케 하는 원동력이다. 예수의 십자가 사건은 그의 부활을 위한 필연적인 선행 과정이므로, 요한은 갈등을 자신의 고유한 수사적 기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

저자가 무신론자인 만큼 그녀의 관점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어서 기독교인이 입문서로 읽기에는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이 부분이 왜 중요하냐면, 기독교인은 예수를 그저 역사적 인물로 바라보는 게 아니라 신앙의 대상으로 보기 때문이다. 관점의 차이는 해석의 차이를 만든다. 이 책이 딱 그렇다. 

반면 이 책은 지성적인 무신론자가 알아야 할 예수에 관한 (최소한의) 지식이라 할 수 있겠다. 신앙을 배제한 역사학자가 예수를 연구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중립적인 입문서. 이 책의 위치는 딱 거기다.


개선점 1. 책 부제 위치는 왜 오른쪽 페이지 왼쪽 하단일까? 
        2. 59쪽은 왜 비어 있을까?
        3. 역자 소개는 왜 없을까?

잡담. 에딘버러대학교 신학부 New College는 스코틀랜드 장로교 내 분쟁시 개혁적인 입장에 서 있던 유래 깊은 학교다. 무신론자인 저자가 학장을 할만큼 개방적인 학교인지 궁금하다.

예수
국내도서
저자 : 헬렌 K. 본드 / 이학영역
출판 : (도서출판)학영 2020.07.15
상세보기
,

『예수-생애와 의미』 (리처드 보컴, 김경민 역, 비아)


역사적 연구 이후로 예수에 대한 책이 봇물처럼 쏟아져 나왔다. 저마다 학계에 기여한 바가 있겠지만, 각 관점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정립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이같은 개론서는 입문자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구나 리처드 보컴은 탄탄한 연구를 토대로 자신만의 관점을 제공하는 선구자이며, 폭넓은 지지를 받는 학자이다. 무신론자이지만 예수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거나, 신자로서 예수에 대한 이해를 더하는 출발선에 서고 싶다면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예수 - 생애와 의미
국내도서
저자 : 리처드 보컴(Richard J. Bauckham) / 김경민역
출판 : 비아(타임북스) 2016.07.27
상세보기


'추천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 세상을 위한 구약 윤리  (0) 2017.02.04
요한복음 새롭게 보기  (0) 2016.12.22
예수와 교회  (0) 2016.09.26
에스라·느헤미야 개론  (0) 2016.09.02
사도 바오로  (0) 2016.08.11
,

예수와 교회

추천도서 2016. 9. 26. 16:40

『예수와 교회: 기독교 제1세대 연구』(크레이그 A. 에반스, 김병모 역, CLC)

 

신약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초기기독교역사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문을 읽고 저자의 의도가 다른데 있음을 알게 되었지만, 연구목적이 흥미로워서 구매하게 된 책이다. 에반스가 밝힌대로, 이 책은 초기기독교의 역사를 예수 가문과 안나스 가문의 충돌로 보고자 한다. (엄밀히 말해 예수 가문이라고 해봐야, 예수와 야고보가 전부이다. 오히려 사도들과 제자들이 더 많다.) 그래서 에반스는 예수의 죽음은 성전모독과 긴밀한 관련이 있으며, 이후 예수의 제자들 역시 동일한 죄목으로 순교했다고 주장한다. 독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주장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예수께서는 서기관과 바리새인들을 비판대상으로 삼으셨지만, 성전파괴에 대한 가르침은 대제사장 가문의 심기를 건드릴만 하다. 안나스 가문은 헤롯 가문과 정치적 결탁으로 얽인 관계가 아니던가. 대제사장이 주도하여 예수를 심문한 계기는  성전모독이 갈등의 기폭제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예수의 성전모독이 대제사장 가문과의 갈등의 계기가 될 수는 있어도, 그 이후 사도들과 제자들의 죽음까지 이어진다는 에반스의 주장은 과해 보인다. 비록 여러 유대 기독교인들이 성전모독으로 순교를 당하긴 했지만, 유대인들과의 갈등은 아무래도 이방 기독교인의 율법준수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분명 유대인들이나 유대 기독교인들이나 서로 다른 종교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도들과 제자들이 선포한 복음의 핵심은 성전모독이 아니라 십자가와 부활이었다. 그러므로 오랫 시간 동안 예수 가문과 안나스 가문의 갈등이 지속되었다고 볼 수 없다. 오히려 유대 기독교인들이 이방인들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반감이 더 큰 요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이방인의 율법준수에 대한 이질적인 태도가 갈등을 증폭시켰다. 에반스의 지적대로, 군사적 메시아관에 사로잡힌 유대인들 사회에서 시몬 벤 코시바를 메시아로 보지 않는 유대 기독교인들의 메시아관이 탄압으로 이어지는 결정적 요인이 될 수 있다. 둘 사이에 성전재건에 대한 갈등도 한몫했을터이다. 에반스가 인지하듯이 갈등요인은 여럿이다. 그럼에도 성전모독을 중심으로 예수 가문와 안나스 가문의 갈등을 부각시킨 점은 비약이라고 여겨진다.

 

예수와 교회
국내도서
저자 : 크레이그 A. 에반스(Craig A. Evans) / 김병모역
출판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016.08.10
상세보기

 

'추천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새롭게 보기  (0) 2016.12.22
예수-생애와 의미  (0) 2016.11.03
에스라·느헤미야 개론  (0) 2016.09.02
사도 바오로  (0) 2016.08.11
첫 그리스도인들은 예수를 예배했는가?  (0) 2016.06.29
,

"성전멸망 예언에 대한 이해"

 

크레이크 A. 에반스는 『예수와 교회』에서 초기기독교 역사를 예수 가문과 안나스 가문의 갈등구조로 보려고 한다. "제5장 갈등을 빚는 예루살렘 공동체들"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 에반스는 예수와 사도들, 스데반 등 많은 인물들이 성전모독이 살해 당한 주요동기라고 본다. 신성모독이 결정적인 죄목이라고 여기면서도, 성전모독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제사장의 권력기반인 성전에 대한 예수의 멸망예언이 갈등의 기폭점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당시 대제사장 가문은 권력자와의 관계가 중요했다. 마카비서를 보면 권력자들에게 뇌물로 대제사장직을 사기도 했다. 그래서 정통성이 취약하다. 이런 상황에서 민중의 인기를 얻고 있는 예수가 성전멸망을 말하였으니, 대제사장 가문의 입장에서는 경계의 대상으로 삼을만 하다.

 

더 나아가 에반스는 성전 멸망과 심판이 여전히 사도들과 제자들의 핵심이었고, 그러한 가르침으로 인해 대제사장 가문과 마찰이 지속되었다고 본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성전의 멸망을 통해 십자가와 부활을 예고하셨다. 그리고 실제로 그 사건이 발생했다. 그래서 사도들과 제자들은 예수의 성전 멸망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했다. 성전 중심의 신앙이 십자가와 부활 중심의 신앙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십자가와 부활이 복음이다.

 

에반스와 나는 성전멸망에 대한 이해가 다르다. 에반스의 주장은 대제사장 가문과의 지속적인 마찰에 대해서는 설명이 가능하지만, 과연 사도들과 제자들이 성전멸망을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었을까 하는 의문은 남는다. 분명 복음의 핵심은 십자가와 부활이었다. 남은 부분에서 이 차이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성의 강조  (0) 2017.10.10
신학대학원 졸업을 앞둔 신학생들에게  (0) 2017.06.23
구약, 내러티브로 읽기  (0) 2016.08.31
친제국주의 관점에 대한 내 생각  (0) 2016.08.11
고대언어학 vs 신학  (0) 2016.08.03
,

6월 1일부터 edX에서 노틀담대학교 교수들이 진행하는 "성경과 전승에 나타난 예수"라는 강좌가 공개된다. 신학과 영어를 동시에 공부할 좋은 기회다.


https://www.edx.org/course/jesus-scripture-tradition-notredamex-th120-1x

,

지난 8월 3일 예수원 "희년학교"에서 신현우 교수의 "예수님과 희년" 강의가 있었네요. 

'성서신학 > 신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래리 허타도의 블로그  (0) 2012.10.09
톰 라이트, 바울, 한국교회  (0) 2012.10.02
누가복음 강의안 (신현우 교수)  (0) 2012.02.24
바울의 새 관점  (0) 2011.08.10
New Testament Exegesis Bibliography - 2011  (0) 2011.05.04
,

20120307

말씀묵상 2012. 3. 8. 23:21

[매일성경] 누가복음 14:25-35

"그러므로 이와 같이, 너희 가운데서 누구라도, 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않으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누가복음 14장 33절)

예수의 제자가 되기 위해 지금 당장 자신이 소유를 다 버릴 수 있다면 그에게는 결단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분명 이러한 결단은 쉽지 않다. 하지만 신앙생활을 하면서 점차 자신의 소유를 다 버릴 만한 믿음이 생겨간다면 그 역시 예수의 제자라 할 수 있다. 지금 당장 결단할 수 있는 믿음이 없어도, 그만한 믿음을 간구하며 나아가자.

'말씀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전도자로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0) 2013.04.15
복음은 하나다  (0) 2013.04.15
20111026  (0) 2011.10.26
20110921  (0) 2011.09.21
20110902  (0) 201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