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에스겔 45장에서 이스라엘의 군주가 주도하는 속죄는 이스라엘 족속을 위해서 드린다 (17절). 에스겔의 주요 관심사는 성소와 성전 정화이며(18-20절), 군주가 의무적으로 지켜야 할 명절에 대속죄일은 포함되지 않는다. 앞서 "이스라엘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본 대속죄일과 초막절"에서 "에스겔 45장에서 대속죄일은 성전 정화와 관련이 있으며,"라는 문구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에스겔이 군주가 지켜야 할 명절로는 유월절과 초막절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신학이 요한복음에 흐른다(고 보인다). 요한복음에서 예수의 첫 사역은 유대인의 유월절이 가까울 때에 예루살렘 성전 안에서 노끈으로 장사꾼과 환전상을 내쫓은 일이다 (2:13-22). 가나의 혼례는 첫 표적이며, 내가 매번 강조하듯이 예수의 의지에 반하는 사건이다 (2:1-12). 예수의 구속사를 예수의 대제사장직과 대속죄일로 해석하는 경향과 다르게, 요한이 이야기 전개에서 유대 절기를 중요한 장치로 사용하지만, 그가 대속죄일을 전혀 언급하지 않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한은 이 사건 이후 유월절에 예수께서 예루살렘에서 많은 표적을 행했다는 기록(23-25절)으로 자신의 전개를 이어간다. 또한 요한은 유월절은 세 번 배치하고, 7:1-10:21은 초막절로, 10:22부터는 수전절로 자신의 복음서를 기록한다.

요지는 에스겔의 성소와 성전 정화, 그리고 유월절과 초막절 준수 명령이 요한복음에서 예수를 통해 성취되었다는 사실이다. 에스겔에서 대속죄일을 강조하지 않는 이유는 아마도 반복적인 속죄제를 통해 정화하기 때문일 수 있고, 아니면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에 포함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떤 이유에서 간에, 에스겔과 요한복음이 대속죄일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에스겔 탈굼(The Targum of Ezekiel)은 히브리어 성경의 에스겔서를 아람어로 번역한 책입니다. 34장은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에 대한 예언입니다. 이 구절에서 주님은 지도자들의 백성들에 대한 무관심을 폭로하십니다.

1-10절은 목자-양 비유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히브리 성경과 다릅니다. 이 구절은 목자 대신 지도자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것은 아람어 성경이 수사적 장치보다 평이한 언어를 선호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11-16절에서 주님은 목자와 양의 비유를 통해 당신의 백성에 대한 미래의 돌보심을 선포하십니다. 12절은 목자-양 비유에 대한 전형적인 예입니다. 주님은 목자가 양 떼를 찾듯이 그분의 백성을 찾아 구원하실 것입니다. 주님은 목자가 양 떼를 찾듯이 그분의 백성을 찾아 구원하실 것입니다(12절). 주님은 목자와 양의 비유를 통해 그분의 구원을 드러내십니다. 주님은 목자가 안전한 목초지와 물길을 제공하듯이 고향에서 그들을 위한 그분의 공급을 선포하십니다(13-15절). 주님은 목자가 양 떼를 돌보듯이 길 잃은 자들을 찾아서 돌아오게 하시고 그들을 돌보실 것입니다(16절).

17-22절은 비유를 사용하지 않고 공급이라는 앞의 주제를 이어갑니다. 주님은 부적절한 공급에 대해 그분의 백성을 심판하실 것입니다.

23-24절은 내 종 다윗을 부르신 새 지도자에 대한 약속입니다. 주님께서 당신의 백성을 부양할 지도자를 세우실 것입니다(23절). 주님은 그들의 하나님이 되실 것이며, 그분의 종 다윗은 그들의 왕이 될 것입니다(24절). 이 구절은 왕권과 신적 왕권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25-31절은 주님과 그분의 백성 사이의 평화 언약을 다룹니다. 25절의 사나운 짐승은 목자와 양의 비유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34장은 목자-양 비유를 통해 백성, 왕, 주님 사이의 역동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좋은 예입니다.

37:15-28은 이스라엘의 회복, 여호와의 종 다윗의 등장, 평화의 언약 등 34장에서 선포된 약속을 이어갑니다.

'연구주제 > 에스겔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겔서에 나타난 절기와 안식일  (0) 2023.08.31
,

이사야 (44:28; 45:1)와 예레미야(25:9; 43:10)와 달리 에스겔은 느부갓네살 왕에게 ‘내 목자’나 ‘내 종’이란 칭호를 적용하지 않는다. 그저 ‘바벨론 왕’ 혹은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라고 부른다 (21:21; 26:7; 29:18, 19; 30:10, 24, 25; 32:11).

에스겔은 앞서 거짓된 점괘와 허탄한 묵시에 관한 비판하였다(13:6-10). 따라서 바벨론 왕이 희생제물의 간으로 우상에게 점괘를 얻는 행위 (21:21-25)는 그에게 용납될 수 없다. 에스겔은 느부갓네살 왕에게 어떤 찬사도 돌리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할례에 대한 관심(32:18–32)과 일맥상통한다고 여겨진다.

,

에스겔서에서 절기/명절은 총  네번 사용되었다(36:38; 45:17–25; 46:9, 11). 첫 번째 사례인 36:38은 이스라엘 백성의 번영을 표현하는 비유이므로 실질적으로는 절기에 관한 구절이 아니다. 두 번째 사례인 45:17–25에서는 ‘명절’에 포함되는 실례로 유월절(21–24절)과 초막절(25절)에 관한 규정을 선포한다. 여기서 ‘초막절’이란 단어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절기의 시기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 세 번째 사례인 46:9는 절기에 백성이 출입해야 할 문에 관한 규정을 선포한다. 네 번째 사례인 46:11에서는 ‘명절’이란 단어가 사용되었으며 소제에 관한 규정이 진술되어 있다. 에스겔서 40-48장에서 새 예루살렘에 관한 예언에서 절기에 관한 에스겔의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은 차지하고 있다.

반면 에스겔은 안식일에 더 관심을 둔다(20:13, 20, 21; 22:26; 23:38; 45:17; 46:1, 4–5). 에스겔은 회복된 이스라엘이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을 군주의 주도로 준수되어야 하며(45:17), 관련된 지침을 제시한다(45:18–25; 46:1–15).

,

이사야는 이스라엘에 팽배한 우상숭배가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심판 원인이라고 지목한다. 또한 우상숭배는 공의의 부재를 낳는다. 역설적이지만 우상숭배가 팽배하고 부정이 만연한 시대에 하나님을 향한 제사와 절기, 기도는 그치지 않았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이 같은 행위를 역겨워하셨다 (1:11–15).

11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너희의 무수한 제물이 내게 무엇이 유익하뇨 나는 숫양의 번제와 살진 짐승의 기름에 배불렀고 나는 수송아지나 어린 양이나 숫염소의 피를 기뻐하지 아니하노라
12 너희가 내 앞에 보이러 오니 이것을 누가 너희에게 요구하였느냐 내 마당만 밟을 뿐이니라
13 헛된 제물을 다시 가져오지 말라 분향은 내가 가증히 여기는 바요 월삭과 안식일과 대회로 모이는 것도 그러하니 성회와 아울러 악을 행하는 것을 내가 견디지 못하겠노라
14 내 마음이 너희의 월삭과 정한 절기를 싫어하나니 그것이 내게 무거운 짐이라 내가 지기에 곤비하였느니라
15 너희가 손을 펼 때에 내가 내 눈을 너희에게서 가리고 너희가 많이 기도할지라도 내가 듣지 아니하리니 이는 너희의 손에 피가 가득함이라


이사야는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이 정의라고 외친다 (1:16–17).

17 선행을 배우며 정의를 구하며 학대 받는 자를 도와 주며 고아를 위하여 신원하며 과부를 위하여 변호하라 하셨느니라


정의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삶에서 출발하며 의로운 행실을 가져오며 사회의 정의를 실현한다.

에스겔은 이사야의 관점을 그대로 수용한다. 그는 악인과 의인의 대가가 생명/영혼과 관련이 있다고 선포한다 (2:18–21 등). 또한 회복된 이스라엘의 통치자들은 정의와 공의를 행해야 한다 (45:9).

,

에스겔서 40-48장은 에스겔의 환상으로 성전에 관한 하나님의 이상(visions of God, 40:2)을 담고 있다. 45장은 '거룩한 땅' (1-8절)에서 정의와 공의의 예시로 저울과 에바, 밧의 표준을 제정하고(9-12절), 예물(13-16절)로 화제가 전환된다. 이 예물은 제사 의례로 이어진다 (17절 이하).

독특하게도 백성은 예물을 이스라엘의 군주(prince)에게 드려야 하고 (16절), 군주의 본분은 초하루와 안식일, 이스라엘 명절에 수반되는 제사에 필요한 제물을 갖춰야 한다 (17절). 에스겔이 제시하는 명절은 첫째 달 초하룻날과 그 달 칠일, 열나흗날 곧 유월절, 일곱째 달 열다섯째 날(=초막절)이 있다 (18-25절).

첫째 달 초하룻날은 성소 정화가 목적이다 (18-19절). 첫째 달 칠일은 성전 정화가 목적이다 (20절). 이 두 명절을 통해 에스겔의 주요 관심사가 성전과 관련있음을 보여준다.

첫째 달 열나흗날은 유월절이다 (21-24절). 유대 명절에서 유월절은 반드시 포함된다. 일곱째 달 열다섯째 날은 초막절이다 (25절). 유대인들은 초막절을 '(그) 명절'(the Feast)로 불렀을 만큼 대표적인 절기이다.

군주가 명절을 집례한 사례는 솔로몬이 있다. 역대하 7장에 의하면, 솔로몬은 '하나님의 전의 낙성식' (5절)을 드리고 초막절 (8-9절)을 지켰다. 이후 솔로몬은 "모세의 명령을 따라 매일의 일과대로 안식일과 초하루와 정한 절기 곧 일년의 세 절기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드렸"다(8:13). 포로 귀환 이후 에스라와 느헤미야를 중심으로 초막절을 준수하지만, 그 둘은 군주가 아니다.

에스겔은 연례 절기 중에서 칠칠절을 제외하고 유월절과 초막절을 꼭 짚어 지시 사항을 전달한다. 에스겔이 제시한 절기 규정을 보면, 그가 민수기 28장을 수정했다는 견해는 타당해 보인다. 다만 에스겔이 칠칠절을 배제한 이유는 불확실하다. 

에스겔은 성회, 명절, 절기에 큰 관심이 없다. 위 구절 이외에는 단순히 '모든 정한 절기' (46:9-10)와 '명절과 성회' (46:11-15)로 다뤄질 뿐이다.

,

많은 연구자가 스가랴가 에스겔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내 연구에서는 스가랴 14장의 초막절 준수 명령과 에스겔 45장의 초막절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중요하다. 이 부분에서 나는 두 가지 기여를 가정했는데, 첫 번째는 에스겔 45장 25절의 초막절에 대한 강조이고, 두 번째는 초막절을 중심으로 에스겔과 스가랴의 관계를 비교하는 작업이다.

초막절 연구에서 에스겔 45장 25절은 충분히 조명하지 못하고 있다. 초막절 연구에 귀중한 업적을 남긴 Jeffery L. Rubenstein은 『The History of Sukkot in the Second Temple and Rabbinic Periods』(Brown Judaic Studies 302; Atlanta: Scholars Press, 2020)에서 에스겔 45장 25절에 등장하는 '명절'이 초막절이라고 밝혔으나 그에 관한 연구는 개진하지 않았다. 그래서 내 박사 학위 논문에서 이 구절에 대한 관찰로 기여를 할 수 있어 보인다.

스가랴가 에스겔로부터 신학적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면, 초막절에서 그 영향이 나타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껏 두 구절을 비교한 연구는 보지 못했다. 비교가 내 주요 관심사는 아니지만, 에스겔이 스가랴에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다. 이 지점에서 새로운 기여를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오늘 에스겔 45장 25절을 다룬 주석을 살펴보고 있다. 그 주석은 에스겔 45장 25절의 '명절'을 초막절로 보고, 그 구절에 관한 상세한 해석을 남겨두었다. 아래 내용은 내 생각을 정리하기 위함이다.

에스겔 45장 17절은 군주의 본분을 말한다.

17 군주의 본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에 갖추는 것이니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

여기에서 군주는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을 지켜야 한다. 그리고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고 선포한다. 예언자는 이스라엘 족속의 속죄를 강조하고 있다. 바벨론 유수를 겪고 있는 예언자는 이스라엘로 귀환한 이후에도 속죄를 지속해야 한다고 여겼다. 예언자는 이스라엘의 모든 명절이라고 말했지만, 실제로 언급한 명절은 유월절(12절)과 초막절(25절)이다.

21 첫째 달 열나흗날에는 유월절을 칠 일 동안 명절로 지키며 누룩 없는 떡을 먹을 것이라

25 일곱째 달 열다섯째 날에 칠 일 동안 명절을 지켜 속죄제와 번제며 그 밀가루와 기름을 드릴지니라

유월절과 초막절은 모두 출애굽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절기이다. 예언자가 이스라엘 귀환을 출애굽과 동일시했다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스가랴 14장은 초막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16 예루살렘을 치러 왔던 이방 나라들 중에 남은 자가 해마다 올라와서 그 왕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며 초막절을 지킬 것이라

스가랴는 다른 예언자들과 달리 초막절이 이방 나라들도 지켜야 할 명절로 규정한다. 또한 초막절 준수와 비를 긴밀하게 연결한다는 특징이 있다.

17 땅에 있는 족속들 중에 그 왕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러 예루살렘에 올라오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는 비를 내리지 아니하실 것인즉

18 만일 애굽 족속이 올라오지 아니할 때에는 비 내림이 있지 아니하리니 여호와께서 초막절을 지키러 올라오지 아니하는 이방 나라들의 사람을 치시는 재앙을 그에게 내리실 것이라

19 애굽 사람이나 이방 나라 사람이나 초막절을 지키러 올라오지 아니하는 자가 받을 벌이 그러하니라

초막절은 추수 이후 감사제 성격이 뚜렷하다. 농경사회에서 비는 그 해 추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고로 비 내림은 여호와의 열방 통치의 증거이며, 초막절은 그의 통치에 대한 인정을 뜻한다.

스가랴는 유월절을 말하지 않는다. 성전 재건 역시 말하지 않는다. 스가랴는 에스겔과 이런 두 가지 차이가 있다.

잠정적인 결론을 내리자면, 초막절에 있어서 스가랴는 에스겔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

요한의 절기 사용을 분석하다 보면, 안식일이 제법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5장에서 '유대인의 명절'(혹은 '익명의 절기', 1절)에 언급된, 베네스다 치유 사건 이후 안식일 논쟁이 이어진다. 이러한 이야기 전개는 다분히 의도적이다.

요한이 유월절을 중심으로 절기 순서를 배열하고, 자신의 신학을 녹여내고 있음을 인정한다면, 이같은 의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는 에스겔 45장 17절이 중요한 단서로 보인다.

17 군주의 본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에 갖추는 것이니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

이 구절에서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행하는 날에 명절과 안식일이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요한은 이같은 유대 관습에 주목하는 동시에 안식일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지 않았을까 싶다.

,

목자 되신 하나님의 백성 -에스겔 34장의 신학적인 담화 / 박영복(백석대신학대학원, 구약학) / Canon &* Culture 9권 1호 2015 봄

http://www.itheology.kr/canon/cc_read.php?menu=&search=&searchtxt=&mode=list2&mode=view&idx=220

,

에스겔의 계약신학 / 김선종(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 Canon & Culture 9권 1호 2015 봄

http://www.itheology.kr/canon/cc_read.php?menu=&search=&searchtxt=&mode=list2&mode=view&idx=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