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논문작성 교수법을 바꿔야 한다]

학부 시절에 논문작성법을 배웠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확실히 기억나는건, 졸업필수자격이었던 논문이 시험으로 대체되었다는 사실이다. 신대원 시절에 배운 기록만 따지면, 총 3번 수강했다. 목회학 석사(M.Div.) 과정에서 1번, 신학 석사(Th.M.) 과정에서 각 1번씩, 이렇게 총 3번이다. 그렇다. 난 신학석사 과정을 두 번째하고 있다.


보통 입학과 동시에 첫 수강과목으로 논문작성법이 배정되어 있다. 교수마다 학생들을 평가하는 방식은 저마다 다르지만, 소논문(essay)은 공통적인 요구사항이다. 소논문은 작성자의 지식과 논리적 사고를 평가하는데 최적의 평가방식 중 하나이다. 언어적 감각에 대한 평가는 덤으로 이루어진다. 여러 평가방식들 가운데 소논문만큼 짧은 시간에 비평가자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별로 없다. 그래서 상위교과과정일수록 글쓰기를 매우 중요하게 간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경험상 논문작성법을 성실하게 지도하는 교수를 만나본 적이 없다. 신대원 목회학 석사 과정에서는 불성실한 태도를 반복적으로 지적 받는 교수를 배정 받았고, 학생들이 반복적으로 불만을 토로해서 졸업필수였던 논문이 선택과목으로 바뀌었다. 신학 석사 과정 때는 일대일 수업을 진행했는데, 연구주제를 찾기 어려워서 수업진행이 잘 안되었다. 현 칼빈신학교에서는 불성실한 강의로 몇 년째 지적을 받다가 계약종료를 앞둔 교수에게 마지막 수업을 배웠다. 역설적이게도, 불성실한 태도를 지적 받았던 두 교수들 모두 글쓰기에 있어서는 나름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었다. 다른 한 분은 나와 관련성이 별로 없는 분야에 계신 분이라 잘 모르겠다.


내 논문작성 실력은 목회학 석사 시절 수강한 주해방법론 시간을 통해 기초를 다듬었고, 목회학 석사 졸업논문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했다. 이후 주해는 자심감은 생겼다. 물론, 글쓰기는 여전히 어렵다.


내 경험에 의하면, 그리고 주위 학생들의 경험을 들어 보면, 논문작성법 시간에 담당교수들은 학생들에게 연구주제를 찾아오라고 말한다. 그리고 논문작성법 책들을 몇 권 소개해주고, 그 중 몇 가지를 다룬다. 그리고는 학생들이 선택한 주제들을 최종결과물로 발전 시킬 수 있도록 지도해준다. 문제는 바로 여기서 발생한다.


첫번째, 학생들은 무엇을 연구해야 할지 모른다. 나도 마찬가지지만 학교에 입학하는 이유는 뭔가를 배우고 싶다는 욕구 때문이지 연구할 주제를 갖고 있는 건 아니다. 내 경우만 해도 글쓰기 보다 연구주제를 찾는게 더 어렵다. 이번 학기에 고생한 이유 중 하나가 데살로니가전후서의 과제물로 어떤 주제를 선택해야 할지 몰라서 헤매서 그렇다. 주제와 범위를 선정한 이후에는 비교적 금방 끝냈다. 촉박한 일정이었지만 Rhetoric Center의 교정까지 반영해서 말이다. 요한복음은 '초막절'이냐 '목자기독론'이냐를 두고 고민해서 그렇지, 방향을 선정한 이후 실제로 작성을 시작하고는 열흘도 걸리지 않았다.


학생의 연구주제선정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분명 논문작성법과 동시에 훈련되어야 할 능력이어야 한다. 그러나 연구주제를 찾다가 정작 논문작성법에 대해서는 제대로 배우지 못한다는 함정이 있다. 다행히 웨신대는 논문작성규정이 명확했고, 그 규칙에 따르면 되었다. 물론, 칼빈신학교는 튜라비안 메소드라고 해서 『A Manual for Writers of Research Papers, Theses, and Dissertations, Eighth Edition: Chicago Style for Students and Researchers』를 표준으로 삼고 있다. 그런데 이 규정대로 배운 적은 없다.


두번째, 교수들은 학생의 연구주제에 대해 잘 모른다. 지금껏 논문작성법을 지도해준 교수들의 전공은 조직신학, 기독교교육, 역사신학이었다. 설령 자신의 분과라도 해도 전공분야가 아니면, 잘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니 내 경우 전공과 관련된 글쓰기를 배우길 포기해야 했다. 그리고 지도교수들은 학생들의 연구주제에 대해 평가하는게 아니고, 결과물이 얼마나 '틀'을 갖추었는지만 본다.


담당교수와 학생의 전공이 불일치하면, 학생들은 연구주제를 선별하는 능력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한다. 내 경우 졸업논문을 통해 비약적인 성장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지도교수들의 안목 덕분이었다. 주제선정을 두고 상담할 때 가지치기를 잘해주신 덕분에 내 안목 역시 자랄 수 있었다.


내가 생각해본 대안은 이렇다.


첫번째, 담당교수와 학생의 전공이 일치해야 한다. 이 부분은 학생의 주제선별 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 가령 성서학의 경우 담당교수의 전공이 구약이든 신약이든 상관 없이 주해를 중심으로 연구하도록 하면 된다. 어떤 본문이든 간에 실질적인 연구방법을 배울 수 있다.


두번째, 실습위주의 수업이어야 한다. 학생들이 주제선정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교수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이 "주제를 좁히세요"이다. 그래서 주제를 찾다가 제출기한이 다가오면 닥치는대로 쓴다. 그러면 교수들이 학생들의 글을 지도해 줄 시간은 없다. 주제선정에 진을 쏟다가 논문작성법이란 수업의 목적은 어디로 가버린다. 


이런 반복적인 실수를 피하려면, 실습 위주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요새는 시청각 시설이 잘 갖추어서 있으므로 이 시설을 잘 이용하면 된다. 교수가 실제 글 한편을 화면에 띄우고, 오늘 가르쳐 줄 내용을 실제로 보여주면 된다. 가령, 각주처리에 대해서 가르쳐 주고 싶으면, 여러 사례들을 나열해 두고, 실제로 교정하면서 모범사례를 보여주면 된다. 너무 쉽다.


그리고 학생이 논문작성법에 익숙하다고 판단이 되면, 해당 과목을 제외 시켜주고 다른 과목을 수강하도록 해야 한다. 내 경우 영문으로 글을 써 본적이 없어서 기존 졸업논문을 번역하는데 시간을 보냈다만, 정말 하나도 배운게 없어서 열 받았었다. 혹시나 박사과정에서도 논문작성법을 수강하라고 하면... 아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인 중심의 신학계는 재편되고 있다  (0) 2017.12.25
백인 복음주의의 쇠퇴  (0) 2017.12.25
신학교와 교단의 관계  (0) 2017.12.17
학업성과와 차후 개선사항  (0) 2017.12.15
설교자와 신학자의 책무  (0) 2017.12.08
,

[신학교와 교단의 관계]

제기 현재 재학 중인 칼빈신학교(Calvin Theological Seminary)는 CRC(Christian Reformed Church) 교단 산하에서 운영중인 직영신학교입니다. 교단 자체는 그리 큰 규모는 아니지만, 교단 본부와 칼빈신학교가 위치한 그래드래피즈를 중심으로 미국 중북부와 캐나다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 교단에 대해 잘 알지는 못하지만, 1년 동안 목회학 석사(M. Div.) 과정 재학생들과 노회 활동 내역을 보면서 여러모로 배울 점이 많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그 중 한가지가 바로 신학교와 교단 간이 유기적 관계입니다.


신학교의 존재가치는 교단을 위한 사역자들을 배출하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신학교는 목회학 석사 과정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과정을 어디에서 마쳤느냐에 따라 출신을 선별하게 됩니다. 한국의 경우 재수, 삼수를 하면서도 통합이나 합동에 들어가려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출신 때문이겠죠.


칼빈신학교는 올해 가을학기 목회학 석사 과정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멘토링(mentoring)'이라는 제도를 실행했습니다. 이 제도는 모든 신입생들마다 멘토를 지정해서, 그 멘토의 교회에서 실질적인 사역을 배우도록 하고 있습니다. 제 룸메이트가 이 제도에 따라 주일마다 교회봉사를 하고 있고, 토요일에는 심방을 따라가기도 합니다. 신입생인지라 신학을 처음 접해서 어려움도 겪고 있고, 빡빡한 학사일정에 밤새우는 날도 종종 있지만, 교회봉사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본인은 다소 힘들지만 사역자로서 훈련 받는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여기며 감사한 마음으로 제 할 일을 묵묵히 감당하고 있습니다.


제가 칼빈신학교와 CRC 교단을 보며 감탄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학교와 교단 모두 외형을 키우는데는 별 관심이 없어 보입니다. 자신의 역할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그에 따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는 모습이 보일 뿐입니다. 즉, 본질에 초점을 맞추려고 노력합니다. 신학교와 교단이 서로 사역자들을 배출하는데 협력하는 이상적인 모습을 지켜보고 있습니다.


한국교회의 현실은 참 암담합니다. 신학교와 교단 어디에서도 재학생들을 책임지지 않습니다. 대형교단이나 소형교단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저 역시 스스로 생존법을 찾아야했고 지금도 찾고 있습니다.


현 총신대학교 사태로 인해 한국신학교들이 변하길 소망해 봅니다. 말로만 '선지동산'이니 '우리의 목표는 목회자 배출'이니 떠들지 말고, 본질에 충실하는 신학교를 보고 싶습니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인 복음주의의 쇠퇴  (0) 2017.12.25
논문작성 교수법을 바꿔야 한다  (0) 2017.12.17
학업성과와 차후 개선사항  (0) 2017.12.15
설교자와 신학자의 책무  (0) 2017.12.08
구약학과 제2성전기의 중요성  (0) 2017.11.24
,

[종교개혁 500주년과 총신대학교의 개혁]

한국교회가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며 온갖 행사들을 치뤘지만, 한국교회개혁에는 실패했음을 자인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증거로 나열하자면 한도 끝도 없지만, 가장 대표적인 사례를 들자면, 명성교회의 세습과 총신대학교의 사유화를 손꼽을만 합니다.


세습은 교단을 초월하여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고, 노회 중심으로 교회를 운영한다는 원칙은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개교회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개신교의 특성상 세습방지안이 효과를 거두기에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반면, 신학교의 사유화는 한국교회 역사상 유례 없는 사건으로 남을듯 합니다. 지금껏 몇몇 신학교를 특정 교회에서 소유하려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성공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사태는 총신만이 아니라 한국교회 차원에서도 불명예스러운 일입니다.


이제 혹독한 겨울이 다가왔습니다.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겠죠. 그리고 최대 피해자는 결국 재학생들의 몫으로 남겠지요. 이미 수업거부는 시작되었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 지혜가 필요한 순간입니다. 총신대학교와 예장합동 총회를 위해서, 더 나아가 한국교회를 위해서, 학교 정상화를 위한 개혁을 꼭 이루어 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관련기사]

"총회 직영 비상 신학교 운영을!"

http://www.newspower.co.kr/36697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도교수의 중요성  (0) 2018.02.08
외래어 표기법 (히브리어와 헬라어)  (0) 2017.12.30
북스캔  (0) 2017.12.11
니가 진짜로 원하는 게 머야  (0) 2017.12.08
성경과 주석  (0) 2017.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