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의 절기 사용을 분석하다 보면, 안식일이 제법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특히, 5장에서 '유대인의 명절'(혹은 '익명의 절기', 1절)에 언급된, 베네스다 치유 사건 이후 안식일 논쟁이 이어진다. 이러한 이야기 전개는 다분히 의도적이다.
요한이 유월절을 중심으로 절기 순서를 배열하고, 자신의 신학을 녹여내고 있음을 인정한다면, 이같은 의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로서는 에스겔 45장 17절이 중요한 단서로 보인다.
17 군주의 본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에 갖추는 것이니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
이 구절에서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행하는 날에 명절과 안식일이 같이 언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요한은 이같은 유대 관습에 주목하는 동시에 안식일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지 않았을까 싶다.
'연구주제 > 요한복음의 절기 사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에서 초막절의 기능 (0) | 2024.01.20 |
---|---|
가나 혼인 잔치와 유대 절기 (0) | 2022.08.13 |
요한복음의 유월절과 초막절이 갖는 연관성 (0) | 2022.08.03 |
요한복음 5장의 유대인의 명절과 안식일의 유기적 관계 (0) | 2022.07.23 |
요한복음의 유대인의 명절과 안식일 (0) | 2022.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