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이성'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5.02.14 필론의 이성과 신비주의
  2. 2025.02.13 필론의 목자-양 유비와 이성의 역할

필론은 하나님의 직관과 인간의 이성적 추론을 구분한다. 필론의 신비주의에 대해서는 송혜경, "필론의 작품에 나타난 신비주의: 그 특징과 배경 연구" 신학논단 174 (2011): 77-112를 보라.

필론의 작품에서 목자-양 유비 용례가 갖는 특징 중 하나는 이성과 윤리의 관계성에서 나타난다. 목자-양 유비의 대표적인 용례인 왕권 사상은 왕과 백성 혹은 지도자와 군중 사이의 집단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필론은 이러한 집단적 유비를 개인에게 적용하여 윤리적인 삶, 그의 용어로는 도덕적 진보라는 또 다른 용례의 범주를 창출한다.

필론은 하나님의 통치 혹은 하나님의 규율에 순종하는 삶을 이상적인 삶으로 규정하고, 이성을 통해 본능을 억제하고 이상을 향해 나아가도록 권면한다.

필론에 의하면 이성이 인간의 능력에서 출발한다면, 직관은 하나님의 능력에서 출발하며, 둘 다 하나님의 백성답게 살아가는 원동력이 된다.

,

대체로 목자-양 유비는 왕과 백성 혹은 지도자와 군중 사이의 관계를 지도력이라는 관점에서 사용한다. 필론은 이 유비를 개인의 도덕에 적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필론은 인간이 mind (마음), soul (영혼), body (신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음 혹은 이성이 개인의 도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필론의 인간론(?)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임.

관련 글: 필론의 선행과 목자-양 은유, 필론의 선행과 목자-양 은유로 묘사된 야곱

가령, 필론은 De Posteritate Caini (On the Posterity of Cain and His Exile)에서 자기통제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지만, 이성은 개인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기술한다.

자신의 본성을 이해할 수 없다는 마음에 얽매여 있는 사람은 비이성적인 능력을 낳아 필연적으로 큰 재앙을 맞이하게 된다. 이 절차를 목자가 없는 양 떼로 설명한다. 필론이 지칭하는 목자와 양 떼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