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seph Klausner는 메시아 칭호에 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그 질문은 유대 문헌에서 셀류키드 제국에 맞서 하스모니안 왕조로 일컬어지는 유대 왕국을 재건한 Judah Maccabee는 메시아로 지칭되지 않지만, 로마 제국에 맞섰으나 실패한 지도자 Shimon bar Kosiba는 메시아로 불리는 이유에 관한 것이다.
Matthew V. Novenson은 이 질문에 답하고자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 선지서부터 랍비 문헌에 언급된 몇몇 인물을 소개한다. 그리고 그는 Morton Smith의 글을 인용해 메시아 칭호는 특정 인물의 업적에 관한 동시대 사람의 반응이라고 결론을 내린다. 메시아의 등장에 관한 예언을 토대로 다윗 계열의 메시야(Davidic Messianism)와 같은 유대 사회 내 일종의 메시아를 선별하는 기준이 있었다. 첫 번째 기준은 다윗 가문의 후손이어야 하고, 두 번째 기준은 업적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동시대 사람들이 특정 인물을 메시아로 인식했느냐 아니냐로 갈린다. Klausner가 의문을 제기한 Judah Maccabee와 Shimon bar Kosiba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메시아의 조건
Marvin A. Sweeney는 『예언서』(대한기독교서회)에서 예언자들이 선포한 회복될 이스라엘의 지도자는 다윗 계열의 메시아라고 주장한다. 메시아의 조건으로 다윗 혈통을 강조한 이유는 다윗 언약(삼하 7:8-16)에서 정당성을 찾을 수 있다. 역사적으로 다윗은 이상적인 왕으로 기억된다. 따라서 종말적인 왕의 등장을 고대하는 유대인에게 이상향은 혈통으로는 다윗 가문이고, 업적과 행실은 다윗과 같은 왕이어야 한다.
견고한 신념과 달리 다윗 계열의 메시아에 관해서는 의구심이 있다. 특히 예언서에서 메시아의 등장에 관한 본문을 분석해 보면, 종말론적 구원을 성취하는 왕에 대한 묘사에서 특이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내 관찰은 목자-왕 전승에 관한 본문 연구를 토대로 하고 있다. 대다수는 다윗 혈통의 메시아를 공표하지만, 몇몇 예언자들은 다윗과 같은 왕이 등장한다고 선포하여 다윗 가문이 아니더라도 하나님의 선택에 의해 영토 회복과 성전 재건을 실현할 수 있다고 믿는다. 더구나 후자의 경우 다윗이라는 특정 인물보다는 종말론적 구원을 가능케 하시는 하나님의 왕되심을 선포하는 경향이 있다.
메시아의 조건에서 업적과 행실에 관한 이견은 없다. 다윗과 같은 목자가 이스라엘 영토 회복과 성전 재건을 이루는 날을 종말론적 구원으로 그린다. 헤롯 대왕이 메시아로 불리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면, 메시아의 조건은 확실히 영토 회복과 성전 재건이다. 영토 회복은 하스모니안 왕조를 적대했다는 측면에서 이견이 있을 수 있고, 헤롯의 혈통적 정당성은 확보하지 못하지만, 자신의 성과를 과시하고자 성전 공사를 강행한 헤롯의 야망은 성공적이었다. 이 부분에서 이스라엘 역사상 두 번째로 독립국가를 이루한 Judah Maccabee가 메시아로 인식되지 못했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
결론적으로 메시아의 조건은 이스라엘 영토 회복과 성전 재건이며, 더 중요한 변수는 동시대 사람들의 평가라고 할 수 있다.
메시아 예수
공관복음에서 예수의 다윗 혈통을 강조한 이유는 예수의 메시아됨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예수께서는 메시아가 다윗 혈통이어야 한다는 신념에 균열을 내신다. 전문 용어로는 Davidssohnfrage("the messiah cannot be the son of David")이라고 한다. 유대인의 관점에서 예수의 업적은 메시아의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다. 특히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역사상 유례가 없을 뿐 아니라 메시아 공식과 동떨어져 있다. 예수께서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했을 때 군중의 반응은 그들이 군사적 메시아를 고대했다는 명백한 증거이다.
요한복음은 예수의 족보에 관심이 없다. 오히려 대뜸 요한은 예수의 기원이 하늘이라고 선포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로고스라는 개념을 통해서 말이다. 또한 2장에 성전 정화 사건을 배치해 성전되시는 예수를 강조한다.
믿음의 고백
유대인들은 이스라엘 역사와 예언자들의 선포를 통해 메시아관을 정립했다. 그들의 기준에 예수는 메시아가 아니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예수를 메시아로 고백한다. 지상적 영토와 성전을 갈망하는 유대인과 달리, 우리 기독교인들은 하나님 나라와 하늘 성전을 고대하기 때문이다.
'연구주제 > 메시아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한복음 기독론과 유대 절기, 그리고 스가랴서의 메시아사상 (0) | 2024.12.06 |
---|---|
Psalm 151에 나타난 다윗과 목자 (0) | 2024.05.03 |
에스라 4서에 나타난 메시아 (0) | 2023.10.03 |
필로와 메시아사상과 요한복음의 모세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