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이 내 관심을 끌 만한 소재로 개인과 단체 포스팅, 광고 등을 막 뿌려대는데, 그중 가장 자주 접하는 주제가 박사 학위 논문에 관한 것이다. 가령 말을 그리는데 꼬리와 뒷다리 등 뒷부분은 섬세하게 그리지만 앞부분은 아기가 그린 듯한 그림으로 완성된다는 식이다.
현재 박사 과정을 진행하면서 느끼지만, 박사 과정은 그런 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많은 박사 과정 학생이 논문 작성으로 고생하고 좌절할 수 있지만, 학위 논문은 그런 식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논문 전체의 질적 균일성을 논하는 거라면, 편차가 존재할 수 없다고 인정하겠으나, 하향곡선에 자리한 지점은 해당 논문의 주요 논지가 아닐 가능성이 높아서 저자의 기여도를 평가절하하는 요소가 되지 못한다. 오히려 상향곡선이야말로 저자의 진정한 관심사이자 기여도의 정점이라 할 수 있다.
박사 과정 학생이 꾸준한 성과를 내지 못하는 이유는, 혹은 학위 논문을 완성하지 못하는 이유는, 논문을 완성할 역량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내가 재학 중인 UStA를 기준으로 석사 졸업 논문이 보통 1만 글자 정도라면 박사 학위 논문은 6-8만 글자를 요구한다. 글자 수로만 비교하면 6~8배 정도 격차가 있다. 석사 과정을 우수한 성적으로 마칠 역량은 있다고 검증되었지만, 박사 과정 진학을 위한 연구 제안서에서 학위 과정을 진행할 만한 역량이 있다고 판단을 받았지만, 결국 학위 논문을 완성할 만큼은 아니라는 의미가 된다.
나는 박사 과정을 시작한 이후 줄곧 지도 교수와 협의하면서 매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중간중간 지도 교수가 여러 의견을 제시하지만, 결국 수용과 반려를 결정하는 건 내 몫이다. 달리 말하면, 당사자가 지도 교수(진)에게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모든 책임은 최종적으로 학생이 짊어지기 때문이다.
학생 자신이 연구 제안서를 토대로 학위 논문을 완성해 낼 수 없다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질문이었다고 결론낼 수밖에 없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 지원금과 소논문 제안서 (0) | 2024.01.25 |
---|---|
잡설: 삼위일체, 그리스 신화, 일신론 vs 다신론 (0) | 2024.01.25 |
그리스-로마 문헌에 나타난 목자-양 유비의 역사 연구 상황 (0) | 2024.01.13 |
해외 송금과 계좌 이체는 레볼루트 (0) | 2024.01.09 |
발표 제안서 작성 중 (0) | 202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