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솔로몬 성전이 건축 되기 이전, 여호수아의 통치 이래 실로는 이스라엘의 종교적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높다,

사무엘상 1:3 이 사람이 매년 자기 성읍에서 나와서 실로에 올라가서 만군의 여호와께 예배하며 제사를 드렸는데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가 여호와의 제사장으로 거기에 있었더라

이 구절은 '여호와의 제사장'이 '거기에' 즉 '실로'에 있었다고 기록한다. 만약 실로가 종교적 중심지였다면, 사사기에 기록된 실로에서 시행된 '매년 여호와의 명절'은 단순히 지역 축제가 아닌 이스라엘 전체를 위한 축제라고 봐야 한다.

사사기 21:19 또 이르되 보라 벧엘 북쪽 르보나 남쪽 벧엘에서 세겜으로 올라가는 큰 길 동쪽 실로에 매년 여호와의 명절이 있도다 하고


FOOTSTEPS: Three Things in Shiloh Samuel Likely Saw
https://biblearchaeologyreport.com/2023/07/20/footsteps-three-things-in-shiloh-samuel-likely-saw/

,

요한복음 기자는 자신의 목적의식을 명확하게 밝힌다.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 (20:31)

그러나 이 구절만으로는 요한복음의 저술 시기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하는 데 제약이 따른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J. 루이스 마틴(J. Louis Martyn)의 『요한복음의 역사와 신학』(류호성 역, CLC)이 탁월하다. 우리는 여전히 요한복음의 저술 시기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회당 축출 사건과 성전 파괴(AD 70)가 주요 저술 동기라는 사실은 명확해 보인다. 

유대인에게 성전은 민족적 정체성과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공관복음서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성전 파괴 이후 새로운 복음서를 기술할 필요성을 느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러한 전제에 동의한다면, 요한복음이 성전을 강조하는 이유가 설명된다. 이러한 의도가 1~2장에서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1장에 등장하는 로고스(1-18절)는 성육신을 위한 소재일 뿐 요한이 헬레니즘에 더 익숙하다는 증거는 아니다. 세례 요한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1:29)는 말은 예수의 사역을 선포하는 기능을 하며, 속죄제에 익숙한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2장의 성전 파괴에 관한 말씀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의미한다. 요한이 1~2장에서 사용하는 개념은 오늘날 신자에게 덜 익숙하지만, 유대인에게는 매우 익숙한 개념을 사용하여 예수의 사역을 설명한다. 이것을 우리가 통용하는 단어로 말하면, 성육신과 십자가, 부활이다. 더 나아가 요한은 이 세 개념을 모두 성전과 연결짓고 있다. 이러한 독법은 성전 파괴(AD 70)라는 시대적 상황과 잘 맞아떨어진다.

'연구주제 > 성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로의 종교적 기능  (0) 2023.07.24
스가랴와 요한복음의 성전  (0) 2020.05.10
,

1. 에스겔 40-48장은 재건될 성전을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구약에서 성전 신학의 정수는 스가랴 14장에 나타난다고 봐야 한다.
2. 요한복음은 예수를 성전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자의식을 스가랴 14장이 아닌 에스겔 40-48장으로 연결짓는 해석이 압도적으로 많다.
3. 스가랴와 요한복음을 성전으로 연결하는 시도가 가능하다는 근거는 피터 R. 아크로이드, 이스라엘의 포로와 회복, 321-322에서 유추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