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요셉'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5.02.16 필론의 목자-양 유비와 목축 사회 이상주의
  2. 2011.01.31 마가복음 6장 29절 주해

필론의 목자-양 유비에 관한 용례를 해설하고 있다. 내가 파악한 주요 특징은 필론이 왕권 사상이라는 전형적인 범주를 계승하면서도, 개인 윤리라는 새로운 범주에 더 빈번하게 사용한다.

또 다른 특징은 목축 환경을 이상향으로 그리는 듯한 그의 인식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목축 사회 이상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향후 적절한 용어를 발견하면 대체할 예정. 

필론은 왕권 사상의 주요 기법의 하나인 목자-양 유비를 통해 목자-왕 사상을 사용하며, 이성에 따른 윤리적인 삶이라는 개인 영역에 목자-양 유비를 사용한다. 개인 윤리와 사회 통치라는 두 영역에 목자-양 유비를 사용하는 흔치 않은 용법이 필론의 저작에서 나타난다. 더 나아가 필론은 목축 자체를 긍정적으로 바라본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요셉이 자기 아버지와 형제들을 바로에게 소개하는 장면이다 (Philo. Agr.14). 형제들은 이집트에서 목자를 경시하는 문화가 있어서 자기 직업을 달리 소개해 달라고 요셉에게 요청하지만, 요셉은 목자직에 대한 부심을 가지고 바로에게 형제의 직업이 목자라고 당당하게 소개한다. 반대로 이집트 사회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필론에 의하면, 야곱과 그 후손이 목자로 사는 이유는 하나님의 통치를 수용하는 자들에게 허락된 참된 부요의 길이지만, 이집트는 거짓된 부요의 길이다. 따라서 야곱과 그 후손은 이집트에 정착하지 않는다 (출애굽을 고려한 해석으로 보인다). 이집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가인 후손의 이름과 규율에 관한 진술에서도 나타난다 (Philo.Post.96).

관련글: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의 De Agricultura에 나타난 목자-양 은유

,

29요한의 제자들이 듣고 와서 시체를 가져다가 장사하니라

 

요한의 제자들은 2:18에서 언급되는데, 이 구절에서는 금식규례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의 발단이 된다.[각주:1] 분명 이들은 요한이 구속 된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고 있었다.[각주:2] 그러나 요한의 구속(1:14)은 죽음으로 끝난다.[각주:3] 그러므로 요한의 시체매장은 그의 사역이 종결을 의미한다.[각주:4] 하지만 예수의 매장(15:42-46)에서 알 수 있듯이 죽음이 끝은 아니다.[각주:5]

사실 세례 요한의 순교 이야기는 다소 어색하게 마무리되는데
, 그 이유는 이 이야기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
.[각주:6] 본문에서 요한은 대부분 헤롯과 헤로디아, 살로메, 심지어 시위병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8절에서만 주체로 등장할 정도로 배역의 비중이 매우 낮다.[각주:7] 무엇보다 다른 순교자들의 기록과는 다르게 요한에게는 박해자들과의 대면과 심판예언에 대한 언급이 없다(18).[각주:8] 요한은 무대 뒤에서 살해 당하고 제자들에 의해 매장된다.[각주:9] 그래서
유대인들은 이 전쟁에 패배한 이유가 헤롯이 세례 요한을 살해했기 때문이라고 여긴다(Josephus, Ant. 18.5.***). 그 이유가 무엇이든 요한의 모욕적인 죽음에 독자들은 당황스러울 터이다.[각주:10]

세례 요한은 사역의 대가로 보복을 당한다
.[각주:11] 요한의 가르침은 간과되고 잔인한 죽음으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전개는 예수의 죽음과 평행이 된다.[각주:12] 우선, 청중들은 두 사람의 가르침을 열심히 들었고(20; 12:37) 그 영향력은 지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정도였다(6:12; cf. 15:9-10, 14-15).[각주:13] 하지만 이 지도자들은 이들을 구해주지 못한다(6:20; cf. 15:4, 9-14).[각주:14] 대적들의 살해모의는 실패로 돌아가지만(6:19; cf. 3:6; 14:1 ), 체포되어(6:17; cf. 14:46; 15:1) 죽음 당하고 매장된다(6:27-29; cf. 15:16-47).[각주:15] 여기서 마가의 의도가 드러난다.[각주:16] 예수는 십자가에서 죽었으나,
하나님께서는 그를 머릿돌로 삼으셨다(12:10).[각주:17] 그러므로 요한의 죽음 역시 헛되지 않다. 실제로 제자들의 매장은 요한이 사람들의 존경과 하나님의 사랑을 받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5:42-46).[각주:18] 사울과 요나단을 매장한 길르앗 야베스 주민들(삼상 31:11-13)과 예수의 시체를 매장한 아리마대 사람 요셉(15:42-47)과 마찬가지로, 요한의 제자들은 적대자들의 보복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만큼 스승 요한을 존경했다.[각주:19] 그래서 예수께서는 사람들이 요한을 함부로 대했다고 가르치셨다(9:12-13).[각주:20] 이러한 경향은 헤로디아와 살로메의 요구에도 반영되어 있다(특히, 27).


결국 이 이야기는 헤롯이 세례 요한과 예수의 유사성을 인식하는 장면에서 시작하여
(6:14-16), 예수의 최후를 암시하는 요한의 죽음으로 마무리 된다
.[각주:21] 그러므로 마가복음에서 요한의 구속은 예수의 사역과 연결하여(1:14), 요한의 순교는 예수의 메시야 사역과 연결하여 해석해야 한다.[각주:22]
  1. Collins, Mark, 31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200 [본문으로]
  2. France, The Gospel of Mark, 259 [본문으로]
  3. Collins, Mark, 314 [본문으로]
  4. France, The Gospel of Mark, 259 [본문으로]
  5. France, The Gospel of Mark, 259 [본문으로]
  6.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7. Marcus, Mark 1-8, 403-404 [본문으로]
  8.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9.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0.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1.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2. Marcus, Mark 1-8, 404. 11:32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요한을 진정한 선지자로 인정한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본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본문으로]
  13.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4.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5.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6. 참조.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7.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8. Edwards,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89;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200 [본문으로]
  19. Edwards,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89 [본문으로]
  20. Guelich, Mark 1-8:26, 333 [본문으로]
  21.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22. France, The Gospel of Mark, 358 [본문으로]

'연구주제 > 실패한 지도자, 헤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6장 28절 주해  (0) 2011.01.24
마가복음 6장 27절 주해  (0) 2011.01.17
마가복음 6장 26절 주해  (0) 2011.01.10
마가복음 6장 25절 주해  (0) 2011.01.03
마가복음 6장 24절 주해  (0) 2010.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