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론』에서 소크라테스와 정의에 관해 토론하는 인물이다. 둘 사이에 정의를 논하면서, 목자에 빗대어 지도자상을 언급하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내가 분석하고 있는 본문이다. 둘 사이에 상반된 입장을 갖고 있는데, 소크라테스는 전형적인 목자상을 지지하고, 트라시마코스는 권력의 속성에 비추어 목자의 실리적인 측면을 직시한다. 목자-왕 전승이 고대 근동과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왕권을 위해 사용되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면, 트라시마코스의 입장이 더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목자로 비유된 지도자들은 자신의 안위와 권력에 관심을 두었고, 백성의 현실에는 무관심했다. 하지만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심판과 약속은 모두 전형적인 목자상에 근거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러한 대비로 인해 트라시마코스의 목자론은 내 연구에 흥미를 더해줄 자료가 된다.
트라시마코스 (Thrasymachus)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52028&cid=40942&categoryId=31501
'연구주제 > 그리스-로마 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스-로마 문헌에 나타난 목자-양 비유에 관한 저자 목록 (0) | 2023.10.10 |
---|---|
그리스-로마 문헌에 나타난 목자-양 비유 자료 선정 기준 (0) | 2023.10.08 |
플루타르코스 (Plutarchos) (0) | 2023.10.08 |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 (Lucius Apuleius) (0) | 2023.10.08 |
소포클레스 (Sophocles) (0) | 2023.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