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은 공동체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정교분리 원칙에 따라 국가법이 유일무이한 효력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고대 사회에서는 종교법 또한 지대한 효력을 가졌다.
고대 이스라엘은 사사 통치 시대에서 왕권 국가로 전환된 이후에도 (형식상으로라도) 율법이 최상위 권위를 가졌다. 신명기 사관으로 집약되는 유대인 사고는 이스라엘 왕국 멸망과 포로 귀환을 거치며 율법 준수에 관한 집착으로 귀결되었다. 에스라서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스모니안 왕조 등장 이후 헬레니즘화된 개혁이 실시되면서도 율법 준수라는 기조는 유지된다.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유대인들이 율법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율법 준수를 강조하는 동시에 언약을 선포한 선지자들이 있다. 이스라엘 국가의 멸망과 유대 사상의 종말이라는 위기에서 이스라엘 회복과 갱신은 율법 준수가 아닌 언약으로 가능하다고 선포한다.
인간의 책임으로써 율법 준수는 매우 중요한 행동 강령이지만, 인간은 필연적으로 부패하고 그 결과 심판을 받는다. 그러나 끝이 아니다. 하나님의 언약이 새로운 시작을 가능케 한다.
예수 생애 당시 유대인들은 율법과 언약 사이에 존재하는 하나님의 계획을 깨닫지 못했다. 그들은 율법 준수를 통한 거룩한 이스라엘을 꿈꾸었고, 그러한 이유에서 규례를 어기는 자들을 정죄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대인들은 안식일 규범을 어기고 신성모독을 한 예수는 살해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cf. 요 5:18).
오늘날 교회에서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오늘날 종교중독이라고 부르는 율법주의적 열심이나 신앙적 해이에 빠지는 이유가 바로 율법과 언약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감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율법은 모세로 말미암아 주어진 것이요 은혜와 진리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온 것이라 (요 1:17)
'연구주제 > 모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세푸스의 기록으로 보는 모세 (0) | 2021.01.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