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철학에 대해 문외한에 가깝지만, 내 박사 학위 연구과 관련해 플라톤의 저작과 철학에 엮여 버렸다. 플라톤의 저작에서 목자-양 유비는 큰 지분을 차지하지 않지만, 그 자체로 독특한 용례이고, 궁극적으로 파생하는 결과물이 독보적이라서, 내 목적을 위해서라도 목자-양 유비를 중요하게 다룰 수밖에 없다.

플루타르코스(Plutarch)와 필론(Philo)는 플라톤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내 관심사에 한정하면, 이성과 감정에 따른 플라톤의 윤리관을 고스란히 두 후대 저자가 사용한다.

목자-양 유비 사상에서 세 저자는 모두 정통적인 용례를 인정한다. 하지만 셋 사이에 차이점도 존재한다.

플라톤은 자신의 정치철학을 위해 신적 목자(divine shepherd)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인간 목자의 정치적 역량을 강조한다.

플루타르코스는 플라톤의 철학과 고대 그리스-로마 목자-양 유비 전통을 전적으로 수용한다. 플라톤과 달리 신적 목자와 인간 목자 사이에 대한 관찰이 없다. 

필론은 그리스-유대 철학자로 플라톤의 철학을 수용하며, 고대 그리스와 유대 전통의 목자-양 유비 사상을 따른다. 다만 유대 전통에 더 근접한다.

플라톤의 영향은 지대하다. 이 말은 플라톤 철학을 차후라도 내 논문에 더 녹여야 한다는 의미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