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Zechariah 14 as common background of John 7:37–39; 10:1–18 and Revelation 7:9–17; 21:1–8]

::Resources
Lee, Gwangsoo. “Reading John 7:37–39 in light of Zechariah 14.” In Stromata 60 no. 1 (2019): 41–52.
__________. "Reading John 10:1–18 in Light of Zechariah 9–14." Unpublished, 2018.
__________. “A Study on the Shepherd Motif in the Book of Revelation: An Intertextual Analysis of Zechariah 14, Revelation 7:9–17 and 21:1–8.” Th.M. diss., Westminster Graduate School of Theology, 2014.

1. My research history
The shepherd imagery in Revelation 7 is the starting point of my current concerns. I have been exploring the shepherd-king tradition of the Gospel of John since the Calvin Theological Seminary.

The provisional title of the doctoral dissertation is "Jesus the Good Shepherd in John 10: A Comparative Study between Jewish Tradition and Johannine Community of Messianism."

2. Zecahriah 14

According to my observation, Zechariah 14 uses the shepherd-king tradition and specifies the compliance with the Sukkot (= the Feast of Tabernacles).

8 On that day living water will flow out from Jerusalem, half to the eastern sea and half to the western sea, in summer and in winter.
9 The LORD will be king over the whole earth. On that day there will be one LORD, and his name the only name.

16 Then the survivors from all the nations that have attacked Jerusalem will go up year after year to worship the King, the LORD Almighty, and to celebrate the Feast of Tabernacles.

3. John 7:37–39 and 10:1–18
John 7:37–39 does not use the shepherd-king tradition or shepherd imagery, but it has a close thematic resemblance with 10:1–18. As you can infer from each title, I argue that both texts use Zechariah 14 as common background.

John 7:37–39 refers to the Sukkot, and heralds Jesus' death. Note the word "the living river" below.

37 On the last and greatest day of the Feast, Jesus stood and said in a loud voice, "If anyone is thirsty, let him come to me and drink.
38 Whoever believes in me, as the Scripture has said, streams of living water will flow from within him."

John 10 uses the shepherd-king tradition to predict Jesus' death. The good shepherd discourse is in the background of the Sukkot.

10 I have come that they may have life, and have it to the full.
17 The reason my Father loves me is that I lay down my life--only to take it up again.

4. Revelation 7:9–17 and 21:1–8

According to my observation, Revelation 7:9–17 implies the Sukkot and uses the shepherd-king tradition. Note the words "palm branches" (v. 9), "tent" (v. 10), "springs of living water" (v. 17) below.

9 After this I looked and there before me was a great multitude that no one could count, from every nation, tribe, people and language, standing before the throne and in front of the Lamb. They were wearing white robes and were holding palm branches in their hands.
15 Therefore, "they are before the throne of God and serve him day and night in his temple; and he who sits on the throne will spread his tent over them.

17 For the Lamb at the center of the throne will be their shepherd; he will lead them to springs of living water. And God will wipe away every tear from their ey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Lamb and the shepherd is dim in the Gospel of John; here is the difficulty of my research. However, Revelation combines these two terms and applies them to Jesus. I assume the ideas of ​​the Lamb and shepherd in the Gospel of John make progress in the Revelation of John.

I argue 21:1–8 is a parallel with 7:9–17. Note the word "springs of living water" below.

8 He said to me: "It is done. I am the Alpha and the Omega, the Beginning and the End. To him who is thirsty I will give to drink without cost from the spring of the water of life.

We can imagine this passage link with John 7:37–39.

5. Conclusion
After these discussions, we can draw two conclusions: first, the similarity between the Gospel of John and the Revelation of John; second, the town authors use Zechariah 14 as background.

,

스가랴 13장

1. 그 날에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다윗의 족속과 예루살렘 주민을 위하여 열리리라

2.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 내가 우상의 이름을 이 땅에서 끊어서 기억도 되지 못하게 할 것이며 거짓 선지자와 더러운 귀신을 이 땅에서 떠나게 할 것이라

3. 사람이 아직도 예언할 것 같으면 그 낳은 부모가 그에게 이르기를 네가 여호와의 이름을 빙자하여 거짓말을 하니 살지 못하리라 하고 낳은 부모가 그가 예언할 때에 칼로 그를 찌르리라

4. 그 날에 선지자들이 예언할 때에 그 환상을 각기 부끄러워할 것이며 사람을 속이려고 털옷도 입지 아니할 것이며

5. 말하기를 나는 선지자가 아니요 나는 농부라 내가 어려서부터 사람의 종이 되었노라 할 것이요

6. 어떤 사람이 그에게 묻기를 네 두 팔 사이에 있는 상처는 어찌 됨이냐 하면 대답하기를 이는 나의 친구의 집에서 받은 상처라 하리라

7.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칼아 깨어서 내 목자, 내 짝 된 자를 치라 목자를 치면 양이 흩어지려니와 작은 자들 위에는 내가 내 손을 드리우리라

8. 여호와가 말하노라 이 온 땅에서 삼분의 이는 멸망하고 삼분의 일은 거기 남으리니

9. 내가 그 삼분의 일을 불 가운데에 던져 은 같이 연단하며 금 같이 시험할 것이라 그들이 내 이름을 부르리니 내가 들을 것이며 나는 말하기를 이는 내 백성이라 할 것이요 그들은 말하기를 여호와는 내 하나님이시라 하리라


스라갸 13장은 두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vv.1–6; 7–9). 각 단락의 주제는 서로 달라 보인다. 1–6절은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에 대해 말하고, 7–9절은 목자를 향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하고 있다. 하지만 두 단락 사이에는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공통적인 주제가 담겨 있다. 즉 거짓 선지자들을 향한 심판(vv. 1–6), 그리고 목자들을 향한 심판(vv. 7–9).


1–6절은 이스라엘의 정결에 대해서 다룬다. 하나님께서는 "그 날에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다윗의 족속과 예루살렘 주민을 위하여 열리리라" (v. 1)고 말씀하셨다. 하나님께서 정결케 하실 죄와 더러움은 우상의 이름과 거짓 선지자, 더러운 귀신 (v. 2)이다. 샘의 등장으로 인해 사람들은 예언에 대한 거부감이 생기게 된다 (vv. 3–6).


7–9절은 목자를 향한 하나님의 심판을 선포한다.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칼아 깨어서 내 목자, 내 짝 된자를 치라" (v. 7). 검을 통한 심판은 11장 17절의 주제이기도 하다. 여호와의 관심은 목자들을 향한 심판이 아니라 흩어진 양에게 있다. 목자를 향한 하나님의 심판은 처참한 결과를 가져온다 (v. 8). 하지만 하나님께서는 "그 삼분의 일을 불 가운데에 던져 은같이 연단하여 금같이 시험할 것이라"고 말씀하신다 (v. 9). 이곳에서는 고통받는 자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는 나타나지 않는다. 처절한 심판 이후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부른다. 하나님께서는 그 음성을 들으시고 언약을 갱신하신다.


스가랴 13장은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심판을 다룬다. 본문에서 심판의 대상은 우상숭배, 거짓선지자, 더러운 귀신 (vv.1–6), 그리고 목자 (vv. 7–9)이다. 특히. 1–6절에서 거짓 선지자를 향한 심판 예언과 그 이후의 백성들의 예언에 대한 반응, 그리고 선지자들의 태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한국 교회에 우상숭배가 가득하고, 거짓 선지자들을 넘쳐나며, 더러운 귀신들이 득실하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한국 교회를 위한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열리는 날이 다가오고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
최근 연구결과들에 의하면, 스가랴 9-14장의 목자 은유(shepherd methaphor)가 나타나는 본문은 3-4곳 정도이다.

◎Anthony R. Petterson (10:1–11:3; 11:4–17; 13:7–9)
◎Joseph Blenkinsopp (11:4–17; 12:10–14; 13:7–9)
◎Kelly D. Liebengood (9:9–10; 11:4–14; 12:10; 13:7)
◎Mark J. Boda (10:1–3; 11:1–3, 17; 13:7–9)
◎Paul L. Redditt (10:2–3a; 11:3, 4–16[17]; 13:7)
◎Young-Sam Chae (9:9–15; 10:1–6; 11:4–17; 12:6–14; 13:1–9)

학자들마다 목자 은유에 대한 견해는 조금씩 다르지만, 스가랴 9-14장의 주제가 심판과 회복이며, 그 중심에는 목자 은유가 있다는데 다들 동의한다. 특히, 11장의 목자의 두 막대기 상징 행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철저한 심판에 대한 강조에 대해서는 모두 한 목소리를 낸다.

나는 기존 견해 보다 더 나아가서 9-14장 전체에 걸쳐 목자 은유가 나타난다고 주장하는데, 그 단서가 스가랴가 목자 은유를 사용할 때 꼭 목자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데 착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고대근동에서 오랫 동안 목자가 왕을 상징하는 은유로 사용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에도 주목했다.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왕은 목자이고, 목자는 왕이었다. 이를 전문용어로 '목자-왕'(Shepherd-king)이라고 한다. 주변 국가에서는 이 용어를 왕에게 적용했으나, 이스라엘에서는 일차적으로 야웨에게 적용했고, 그 다음으로 왕을 지칭하는데 사용했다. 이러한 의도는 너무나 분명하다. 현세의 왕은 야웨의 대리인이며, 이스라엘의 진정한 왕은 하나님 한 분이기 때문이다.

고대근동에서 왕의 주요임무 중 하나는 정의의 실현이었다. 구약성경에서 하나님의 심판이 강조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심판은 정의 실현의 방편이다. 스가랴 9장의 시작은 이방 국가들을 향한 심판으로 시작한다. 하나님의 심판을 여호와의 전쟁(Divine Warrior)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럴 경우 전체의 흐름을 이해하는 큰 그림을 놓치기 쉽다. 대신에 왕의 정의 실현이라는 관점으로 본다면, 스가랴 9장은 처음부터 목자-왕 은유로 시작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14장의 야웨의 날 역시 동일하게 목자-왕 은유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9절의 왕의 등극 선언은 14장 전체의 핵심이자 목자-왕 은유의 절정이다. 그리고 이방국가들을 향한 초막절 준수 명령을 통해 하나님의 열방통치를 상징하는 그림으로 스가랴서가 마무리 된다.

이렇듯 고대근동의 목자-왕 은유를 염두에 두고 9-14장을 읽으면, 선지자 스가랴가 꿈꾸었던 그리고 전하고자 했던 심상이 무엇이었는지 깨달을 수 있다.

새벽에 잠에서 깨어나 책 읽다가 스가랴 9장의 도입부부터 목자-왕 은유로 해석할 수 있다는 글을 쓰다니, 아닌 밤 중에 홍두깨인가 신령한 은사인가.


,

[제목] <The shepherd imagery in Zechariah 9-14>

[저자] D. F. O’Kennedy (University of Stellenbosch)

[출처] http://www.scielo.org.za/pdf/ote/v22n2/10.pdf

,

스가랴가 다윗 왕조의 멸망을 경험한 세대들에게 목자 모티프를 사용한 이유에 대해 생각하다가, 절망의 시대에 희망을 선포하는 이유를 고민해 보게 된다. 스가랴의 목자 모티프를 통해 절망 속에 한 줄기의 희망을 바라보는 예언자의 절규를 느끼게 된다.

,

에스겔은 목자 모티프를 사용하여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을 선포했다. 더나아가 스가랴는 에스겔의 의도에 초막절 모티프를 더하여, 그 의미를 강화하는 동시에 성전 신학을 굳건하게 다졌다. Crag R. Koester의 『The Dwelling of God』이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거 같다.

,

The book presents an account of the visions of Zechariah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and it looks forward to the time when YHWH will remove the corrupt “shepherd” or leaders of the people, here understood as a reference to the Persian monarchs, in order to manifest divine sovereignty over the cosmos and nations at large from Zion. - Marvin A. Sweeney, The Twelve Prophets Vol. 2: Micah, Nahum, Habakkuk, Zephaniah, Haggai, Zechariah, Malachi, Berit Olam: Studies in Hebrew Narrative & Poetry (Collegeville, MN: Liturgical Press, 2000) 561.

,

본 논문은 스가랴서와 에스겔 40-48장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물이다. 

https://biblicalstudies.org.uk/pdf/eq/1968-4_197.pdf


1968-4_197.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