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사무엘상 1장에서 한나의 행동을 유심히 살펴보면, 사사 시대에는 기혼 여성의 자율성이 상당히 보장되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한나는 자의로 여호와의 전에 나아가 기도하며 서원했고, 사무엘을 낳은 후 매년제와 서원제에 참여하지 않고 집에서 아이를 양육하였다. 젖을 뗀 후에는 사무엘을 엘리에게 의탁한다. 반면 엘가나의 매년제는 이스라엘 남성이 짊어진 의무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Mayer I. Gruber, The Woman of Israel by Grace Aguilar, Judaism in Context 15 (Piscataway, NJ: Gorgias, 2023), 438–40를 보라.

나는 매년제가 연례 순례 절기 중 하나로 간주하는 입장보다는 엘가나의 종교적 열심에 의한 가족 의례라는 해석을 지지한다. 사무엘상 1-2장은 매년제의 대규모 축제라는 단서를 제공하지 않는다. 오히려 엘가나 가족의 개인성을 강조한다. 엘가나의 종교적 열심은 그의 자발성에서 비롯되었고, 그의 가족을 향한 사랑도 그의 자발성에서 비롯되었다. 한나의 자율성에 대한 엘가나의 태도는 그의 포용력을 보여준다. 비록 한나에 대한 기울어진 애정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해석자들이 지적하듯이, 사무엘상 1-3장은 엘가나 가족과 엘리 가족을 대조한다. 매년제는 엘가나와 그 가족의 종교적 열심을 보여주지만, 엘리의 자녀들은 여호와의 제사를 멸시한다 (2:12-17). 사무엘은 자라면서 여호와와 사람들에게 은총을 더욱 받지만 (2:26), 엘리와 그의 두 자녀는 비참한 말로를 맞이한다 (4장).

저자 혹은 편집자의 관심은 매년제를 통한 두 가족의 대조이다. 만약 매년제가 연례 순례 절기 중 하나라면, 한나의 불임은 하나님의 약속을 스스로 저버리는 모순에 부딪히게 된다. 출애굽기 23장 14-26절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14 너는 매년 세 번 내게 절기를 지킬지니라
17 네 모든 남자는 매년 세 번씩 주 여호와께 보일지니라 

25 네 하나님 여호와를 섬기라 그리하면 여호와가 너희의 양식과 물에 복을 내리고 너희 중에서 병을 제하리니 
26 네 나라에 낙태하는 자가 없고 임신하지 못하는 자가 없을 것이라 내가 너의 날 수를 채우리라 

매년제가 연례 순례 절기가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설령 맞다고 하면 그 자체로 난관에 봉착한다. 본문은 분명히 말한다. 한나의 불임은 하나님의 의지라고 말이다. 

사무엘상 1장
5 한나에게는 갑절을 주니 이는 그를 사랑함이라 그러나 여호와께서 그에게 임신하지 못하게 하시니
6 여호와께서 그에게 임신하지 못하게 하시므로 그의 적수인 브닌나가 그를 심히 격분하게 하여 괴롭게 하더라

본문은 매년제와 한나의 고통을 통해 엘가나 가족의 열심과 한나의 기도를 강조한다. 결국 한나의 기도는 하나님의 마음을 돌이킨다.

19 그들이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여호와 앞에 경배하고 돌아가 라마의 자기 집에 이르니라 엘가나가 그의 아내 한나와 동침하매 여호와께서 그를 생각하신지라

결론적으로, 엘가나 가족의 매년제는 남성과 여성 모두의 자율성을 그리고 있다.

,

인간적으로 보면, 엘가나의 한나를 향한 사랑은 자식을 낳지 못한 아내에 대한 위로이며 (1:5), 한나를 향한 브닌나의 시샘은 자신은 자식을 낳고도 남편의 사랑을 독차지하기는커녕 한나에게 제물의 분깃이 두 배나 돌아가는 질투이며 (1:6-7), 자신의 역할을 하지 못한 자신을 아껴주는 남편 엘가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브닌나의 시샘을 못 이겨 서원제를 드렸다 (1:7-11). 한나의 기도는 브닌나의 시샘에 대한 피난처이며, 자기 삶이 아닌 자녀의 인생을 담보로 기도를 드렸다.

하나님은 한나의 기도를 들으시고 (1:19), 사무엘이 제사장 엘리 앞에서 여호와를 섬기도록 하셨다 (2:12). 더 나아가 엘리 자녀들의 악행을 계기로 사무엘이 새로운 제사장이 일으키시겠다고 하나님의 사람을 통해 선포하셨다(2:35).

엘가나의 종교적 열심은 엘리 가족과 대조된다. 엘가나는 매년 자신의 가족을 동행하고 실로에서 예배와 제사를 드렸다. 비록 브닌나의 시샘은 엘가나의 열심을 경감시키지만, 궁극적으로 한나의 기도를 통해 사무엘이라는 시대적 인물을 낳는 계기가 되었다. 반면 "엘리의 아들들은 행실이 나빠 여호와리 알지 못하"였다 (2:12).

비록 인간의 감정에서 시작되었으나 한나의 기도가 사무엘의 탄생으로 이어지고, 한나의 서원 덕분에 제사장 가문 혹은 성전 봉사과 아무런 관계가 없던 사무엘이 제사장 엘리 앞에서 여호와를 섬길 수 있었다 (2:12).

내 관심사는 매년제(the annual sacrifice)의 정체이다. 나보다 앞서 여러 학자가 이 제사의 정체를 탐구했고, 그 견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견해는 초막절이다. 엘가나와 그의 가족이 매년 자기 거주지를 떠나 실로에서 제사를 드렸다는 구절에서, '매년이라는 주기'와 '순례'라는 특징을 가진 초막절이 매년제의 정체라고 주장한다. 두 번째 견해는 가족 제의이다. 이스라엘 전체 혹은 지파 단위로 드렸던 절기가 아니라 엘가나 가족이 자발적으로 매년 드렸던 제사라는 주장이다. 사무엘상 1-2장의 초점을 철저하게 엘가나와 그의 가족, 엘리 제사장에게 맞춰져 있다. 따라서 이 제사는 가족 단위로 드렸던 제의로 본다.

나는 이 절기가 초막절일 수 있지만, 본문의 의도에 비추어 가족 제의라는 견해에 무게를 더 두고 있다. 사무엘상 1-2장을 읽을수록, 본문 구조가 엘가나 가족과 엘리 가문 사이의 대조적인 모습을 부각하고 있다고 느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