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신상과 민감한 내용은 임의로 삭제 및 수정되었습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목사님. 저는 유튜브를 통해 목사님을 알게 된 A라고 합니다.
저는 B대학교에서 학부과정을 마쳤습니다. 학부 시절부터 신학에 대해 관심이 있었고, 졸업후 직장을 다니면서 짬을 내어 공부를 해오던 중 여러가지 한계를 느껴 현재 대학원 입학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부 및 진학과 관련하여 여러 고민이 있는 상황인데요. 목사님께 상담을 부탁드리고 싶어 메일을 드립니다.
현재 학위 논문 작성을 위해 유학 중이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매우 바쁘시겠지만 아주 짧은 답변이라도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보다 가독성있게 번호를 붙여 질문 드리겠습니다.
1. 목회자 소명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M.Div 과정 입학을 하는 것이 맞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저는 최종적으로 신학 석사(Th.M), 박사(Ph.D) 과정까지 완료 후(유학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제도권 신학 연구자가 되고 싶은 열망이 있습니다.
하지만 '목회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신학으로 학부전공을 하지 않았기에 신학 전반을 공부하는 측면에서 M.Div 과정이 적합해 보입니다만, 엄연히 목회자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인지라 주저되는 측면도 있습니다.
지원서나 면접 과정에서 목회 소명에 대한 확신이 없는 모습을 보였을 경우 불합격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구요.
한편으로 추후 목회 소명이 확실해질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일반신학 석사(MTS, MA 등) 보다는 M.Div를 마치는 편이 안전하다고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제 상황을 미루어 보았을 때 M.Div 입학을 하는 편이 옳은 선택일지 여쭙고 싶습니다.
2. 저와 같은 성향, 목표를 가진 사람에게 적합한 신학대학원이 있을까요?
말씀드렸듯 저는 신학 박사 취득이 최종 목표이고 유학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물론 향후 진로 방향성이 어떻게 될지 함부로 예측하긴 어렵습니다만, 이러한 전제 하에 입학하면 좋을 신학대학원이 있을까요?
아신대, 횃불트리니티 -> 두 신학대학원의 경우 영어 M.Div. 과정을 운영하고 있기에 유학을 준비하기에 적합하다 판단됩니다.
이 학교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쭐 수 있을까요?
또한 신약학 및 원어(헬라어) 관련 커리큘럼이 탄탄한 국내 신학교가 있을지도 여쭙고 싶습니다. (현재 신약학이 가장 관심있는 분야입니다.)
3. 신학대학원 입학 전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지 여쭙고 싶습니다.
그동안 나름대로 신학 공부를 하였으나 무작위성 독서를 해 왔습니다. 관심이 가는 제목의 책이 보이면 닥치는대로 읽는 방식의 공부였네요.
일단 '마운스 헬라어 문법'이라는 책을 추천받아 헬라어 기초를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추가로 신학 전반의 기초를 다질만 한 개론서가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전문 신학자 분께 추천을 받는 편이 좋을 것 같아 여쭙고 싶습니다.
최대한 간략하게 질문드리려 했는데 생각보다 길어졌습니다. 시간을 너무 뺏는 것 같아 송구스럽네요.
단답형으로 답해주셔도 정말 괜찮으니 시간 되실 때 메일 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현재도 유학 중이신지 잘 모르겠지만 혹 그러시다면 부디 건강하게, 성공적으로 마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 올림.
--답변--
안녕하세요. A 형제님.
(혹시나 자매라면 죄송합니다)
제 유튜브를 꼼꼼히 보신 흔적이 보여서 바로 대답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제도권 신학 연구자가 되시려면 학교에서 선호하는 교수 요원 희망자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제가 교단 신학 목회학 석사(MDiv)를 추천하는 이유와 맞닿아 있는데, 학교에서는 본 교단의 신학에 부합한 교수 요원을 선발하려고 합니다. 보통 교단 신학교는 본교 목회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본 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은 해외 박사 소지자를 최우선 순위로 둡니다. 차선으로 목회학 석사를 타 교단에서 마치고 편목 과정을 거쳐 교단 신학교에 진입하기도 합니다. 제도권 신학 연구자가 되고 싶으시면 목회학 석사 과정을 하시는 쪽이 현실적으로 낫습니다.
현재 목회자 소명이 없더라고 공부하면서 혹은 공부를 마치고 나서 생각이 바뀔 수도 있으니 일단 목회학 석사 과정을 해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목회학 석사 과정이 맞지 않으면 나중에 다른 석사 과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목회학 석사 과정을 하지 않고, 교수가 되고 싶다면, 박사 학위 취득 이후 희망하는 교단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 과정을 하거나 해당 학위를 요구하지 않는 학교로 가시면 됩니다. 만약 목회학 석사 학위 없이 교수가 되고 싶으시다면, 초교파 학교를 목표로 하셔야 하며, 학교는 옥스퍼드대학교와 케임브리지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정도여야 가능합니다.
유학 준비 과정으로 아신대와 횃불트리니티 목회학 석사 영어 과정은 추천합니다. 지금은 한국이 아닌 타국에서 사역하고 계시지만, 횃불트리니티 목회학 석사 영어 과정을 거쳐 영국에서 신약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으신 분이 있습니다. 두 학교 모두 신약학 교수진이 좋기 때문에 공부를 제대로 배울 수 있어 보이고, 차후 유학 상담에도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신학대학원 입학시험이 있어서 지원을 희망하는 학교에서 관련 자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성경 시험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입학처에 문의하시면 관련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헬라어와 히브리어는 신대원 입학 후 먼저 배우는 과목 중 하나입니다. 지금부터 준비하신다면 외국어를 처음 배울 때 느끼는 막막함은 낮출 수 있을 테니 책 전체를 훑어보며 단어에 익숙해지실 것을 권해 드립니다.
신학 전반에 대해 알고 싶으시면 조직 신학 개론서를 읽어야 합니다. 조직 신학이야말로 학교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방향이 좌지우지되지만, 둘 중 하나를 택하시면 무난할 듯합니다. 참고로 저는 목회학 석사 시절 그레츠 책으로 공부했습니다.
웨인 그루뎀 조직신학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43712058
스탠리 그레츠 조직신학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8865895
사담이지만, 제 경우 2006년에 목회학 석사 과정에 입학했고, 올해 박사 학위 논문 제출 후 내년 7월 졸업식에 참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신대원 입학후 박사 학위 취득까지 20년이 걸리겠네요. 유학을 결심한 지는 12년 정도 된 거 같고요. 요점은 신학 박사는 기나긴 여정이라 심지 깊은 결단과 학문성 등 다양한 조건이 요구됩니다. 고민이 많으실 텐데 제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광수 목사 드림.
'유학정보 > 유학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 신학교 관련 문의드립니다! (0) | 2025.01.25 |
---|---|
사모로서 신학 공부 (0) | 2025.01.25 |
미국 M.Div 과정 (0) | 2024.12.26 |
연구제안서 접근 방식 (0) | 2024.07.02 |
에든버러대학교와 세인트앤드루스 성서학 석사 과정에 합격했습니다. 향후 전략에 대한 조언이 필요합니다. (2) (0) | 202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