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요한복음에서 이름을 적시하지 않은 절기는 '유대인의 명절'(5:1)이 유일하다. 난 부림절의 유래와 요한의 절기 사용이 동떨어져 있으므로, 요한이 의도적으로 절기의 이름을 명시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관련 글: 요한복음 5장의 유대인의 명절과 안식일의 유기적 관계)

그러나 유대인의 정체에 관한 Ruben Zimmermann의 “The Jews”: Unreliable Figures or Unreliable Narration?을 읽으면서, '유대인의 명절'이 '부림절'이라는 해석이 옳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부림절은 하만의 유대인 말살 음모에서 벗어난 기쁨을 기념한 잔치에서 유래한다 (에 9:17-22).

그러나 요한복음 5장은 예수와 유대인 사이의 갈등이 시작된다. 갈등의 시작은 예수께서 안식일에 병자를 치유하셨다는 이유이며 유대인들은 박해로 반응한다 (5:16). 이후 유대인은 예수의 대적자로 묘사되고, 둘 사이의 갈등은 심화하며, 결국 예수의 죽음까지 이르게 된다.

부림절이 유대 민족 구원이라는 측면에서 예수의 구속사와 맞닿아 있지만, 에스더 시대의 유대인이 "스스로 생명을 보호하여 대적들에게서 벗어"났던 것과 달리 예수님의 사역을 목격했던 유대인들은 영생을 베푸시는 예수를 대적한다.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내 말을 듣고 또 나 보내신 이를 믿는 자는 영생을 얻었고 심판에 이르지 아니하나니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겼느니라 (5:24)

요한이 부림절을 적시하지 않은 이유는 익명성으로 청중과 독자의 호기심을 북돋우고, 절기의 기원과 예수의 사역에 대적한 유대인의 역설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겠다.

,

요한복음을 에스겔 환상의 네 동물 중 독수리로 규정하는데, 그 이유는 영적인 복음서라는 특징 때문이다.

요한복음은 그 시작부터 심오하다. 예수를 태초의 하나님과 존재했던 로고스로 규정하고 그의 성육신을 선포한다. 이 외에도 요한복음은 고기독론(the high christology)으로 분류되는 남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혹자는 요한의 고기독론에 최상급 the highest를 사용하기도 한다.

요한복음 기독론은 독특하다. 내 연구 주제인 선한 목자 담론만 하더라도, 예수는 제 죽음과 부활을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공관복음서에서 예수의 죽음을 수동적으로 그린다면, 요한복음은 그것을 예수의 자발적인 선택으로 묘사한다.

요한의 고기독론은 요한 공동체를 구별하는 신학이기도 하다. 혹자는 요한복음에 등장하는 유대인이 요한의 고기독론을 수용하지 못하는 기독교인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런 해석은 반셈족주의(=반유대주의)에 대한 또 하나의 극단적인 반항으로 보인다. 확실한 것은 요한의 고기독론이 요한 공동체와 유대인을 가르는 지표로서, 유대주의와 기독교의 분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요한복음에서 헬라인의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용어 헬라인은 두 구절에 등장합니다. 첫 구절은 유대인들이 예수를 찾지 못할 장소로 헬라인들이 흩어져 사는 자들이 있는 곳으로 짐작합니다 (7:35). 두 번째 구절은 명절에 예배하러 올라온 사람 중 헬라인 몇 명에 주목합니다 (12:20).

요한복음의 주요 청중은 헬라인이 아니라 유대인입니다.특히 10장에서 예수의 선한 목자의 죽음에 대한 가르침에 반응하는 무리는 유대인입니다. 먼저 분쟁은 유대인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19절).예수를 향한 질문은 유대인들의 그리스도에 대한 관심사를 보여줍니다 (24절). 다시 말해 선한 목자 담론에 대한 분쟁은 유대인들의 목자-양 은유에 대한 이해가 달랐다는 암시입니다. 다른 기회에 다루겠지만, 이스라엘 역사에서 목자-양 은유는 대체로 왕권 사상과 긴밀한 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유대인의 정체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지만, 여기에서는 청중의 구성원을 파악하기 위해 헬라인과 유대인를 살펴보는 선에서 머물겠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요한복음이 헬라인을 간과하지는 않습니다. 헬라인은 단 두 구절에 등장하지만, 그 위치가 중요합니다. 첫 번째 구절에서 유대인들은 예수가 흩어져 사는 헬라인들에게 전도하려는가라는 반응을 보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뒤이어 예수의 죽음과 성령의 임재를 예고하는 7:37-39과 연결해 해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구절의 기원으로 여러 구절이 언급되지만, 저는 스가랴서 14장을 배경으로 봅니다. 하나님의 종말론적 통치가 이뤄지는 시대에 헬라인도 함께 성전에서 예배합니다.

두 번째 구절은 예수께서 죽음을 맞이할 때가 다가올 때 헬라인 몇 명이 예배를 위해 예루살렘으로 올라왔다가 예수를 만나고자 청합니다. 이때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인자가 영광을 얻을 때가 왔도다"(12:23)라고 말씀하십니다. 헬라인도 예수의 영광을 누릴 자들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