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오늘도 마찬가지지만 정보 전달자의 존재를 망각하는 실수를 자주 범한다. 사건의 본질은 그 자체가 아닌 그에 관한 해석이 규정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가장 근접한 예로는 언론사를 들 수 있겠다.

오늘날 수많은 독자가 성경을 읽을 때 기록자 혹은 편집자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는다. 성경은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믿음으로 인해, 원저자(혹은 발화자)로부터 현 성경의 형태를 갖추기까지 편집 과정이 있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나 역시 후대 편집 이론에 호의적이지는 않지만, 그 과정 자체를 부정할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아마도 성경 편집자는 서기관이란 집단으로 추정되는 모양이다. 편집자의 역할은 현대 독자가 상상하는 역할을 넘어서는 모양이다. 고대 편집자들은 해석자의 역할을 담당했었고, 차후에는 창작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학계에서 신명기사관은 일종의 암묵적 동의로 전제하고 있는 가설로 보인다. 토마스 C. 뢰머(Thomas c. Römer)는 『신명기역사서 연구』에서 신명기사가로 서기관을 지목한다. 왕궁 역사 기록자라는 신분과 글과 작문이 가능한 신분을 고려한 추론이다. 성경에서 중요한 장르 중 하나인 묵시문학의 창시자에 관한 논쟁이 있다. 리처드 호슬리(Richard A. Horsley)는 『서기관들의 반란』의 기원으로 서기관을 지목한다. 이 글에서는 두 저자의 주장이 무엇인지 그 근거가 타당한지 따질 의향이 없다. 다만 둘 다 서기관을 배후로 주목했다는 점에서 내 관심을 끌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도 독서를 통한 지식 습득과 간접 경험 축적이라는 효과를 볼 수 있는데, 구전이 보편적 소통 기술이던 사회에서 독서와 작문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그 자체로 특수 계층으로 분류될 능력이다. 오늘날에도 지식인에게 요구하는 사회적 무게를 고려한다면, 고대 지식인들은 더욱 막중한 책임감과 그에 비례하는 부심을 가질 만 하다. 그러나 신명기사가로 추정되는 개인 혹은 집단에 내재한 한계점은 분명하다.

흔히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고 말한다. 달리 말하면 기록자의 승리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신약에서 사도 바울의 지분이 큰 이유 중 하나는 상당 부분 편지 덕분이라고 본다. 역사에 '만약'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역사는 기록과 증거로 당시 사회를 복원하는 학문이다. 구약에는 구전으로 전해지던 각종 발화를 기억하고 두루마기를 읽을 수 있었으며 글로 기록을 남길 수 있었던 개인 혹은 집단의 영향이 지대하게 남아 있다. 특히 '심판'과 '회복' 그리고 '언약'이란 주제로 선지서를 읽을 때 이질감이라고 해야 할까 말로 쉽게 표현할 수 없는 묘한 감정이 드는데, 현재로서는 학자들이 내 머릿 속에 심어준 '신명기사관'의 영향인지 모르겠으나, 후대 편집을 추정하게 만드는 파편들이 느껴진다. 확실한 건, 다윗 메시아사상(Davidic messianism)과 같은 특정 이념에 경도된 개인/집단이 후대 편집을 했다고 볼만한 단서들이 있다.

또한, 계시의 우월성이 느껴진다. 후대 편집의 가능성을 열어둔다고 하더라도 원작 자체에서 위대함을 느낀다. 이사야서는 복수저자설로 워낙 유명한 본문이다. 오늘날 시리즈로 확장되는 영화를 보면 애초에 시리즈로 기획이 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원작의 시나리오가 기본적으로 탄탄하고 확장성을 갖고 있다. 나는 이사야가 이런 시리즈물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이사야가 이사야서 전체를 기록할 수 있다고 믿지만, 설령 후대 편집자가 존재한다고 치더라도 선지자 이사야 본연의 메시지는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후대 편집자가 누구였든 간에 그 역시 특정 이념에 좌우되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가 하나님을 향한 신실함, 아니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신실함에 사로잡힌 사람이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