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부시대 A.D. 100-451) 이 시기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두 번째 문제점은 종말론에 관한 작품들의 내용 자체에 내재해 있다. 거의 예외 없이, 그 저술들은 특별한 일관성이 없는데, 심지어 동일한 한 저자의 작품들 속에서도 일관성이 없는 경우들이 많았다. 이런 현상은 부분적으로는 대부분의 종말론적 언급이 폭넓은 관점들의 상황 속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즉, 이러한 기독교인들은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애쓰지만 조직신학적이 되려고 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그들 자신들의 목회적인 상황들로부터 찾아오는 문제들에 답하기 위하여 성경의 사상이 지닌 다양한 요소들을 종합해서 이해하려 했기 때문이다. 그들이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어떤 주제들은 후대의 신학이 그 위에 놓이게 되는 기초들로 역할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 Robert C. Doyle, 교리 속 종말론, 99.
현장을 떠나 조직적인 일관성을 추구하지 않고 목회현장에서 총체적인 사고를 했던 교부시대의 정신을 지금 한국교회 역시 실천해야 한다. 상아탑에 갇힌 신학은 가라!
현장을 떠나 조직적인 일관성을 추구하지 않고 목회현장에서 총체적인 사고를 했던 교부시대의 정신을 지금 한국교회 역시 실천해야 한다. 상아탑에 갇힌 신학은 가라!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외된 신학자 (0) | 2012.03.29 |
---|---|
신학생과 경건훈련 (0) | 2012.03.08 |
산상수훈을 실천하는 삶을 살자 (0) | 2011.11.14 |
페르디난트 한의 종말론과 묵시문학의 관계에 대한 고찰 (0) | 2011.10.13 |
열광주의자들의 착각 (0) | 201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