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자료를 검토하다 보면 저자의 주장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동일 주제 내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만약 복수의 자료를 검토한 후에도 차별점을 갖는 저자나 주장을 찾지 못했다면, 본인의 자료 수집과 수용력을 의심해봐야 한다. 특정 집단의 자료만 검토하지 않는 이상 단일 견해로 수렴될 가능성은 전무하다. 아니면 본인의 독해력이 문제일 수도...
특정 주제에 관해 여러 주장이 존재하더라도 통용되는 견해는 2~3가지 정도로 정리된다. 당연히 그 이상일 수도 있다. 연구 방향성을 빨리 잡으려면 자료 검토 단계에서 학계의 주장을 잘 정리한 자료를 최대한 빨리 찾아서 반복적으로 읽어서 틀을 잡아둘 필요가 있다. 일차적으로는 주장 별 근거를 숙지하고, 다음에는 반복적으로 읽어서 견해 별로 진술하는 방식을 습득해야 한다.
만약 세부적인 자료를 찾기 쉽지 않다면, 독자 스스로 비교 분석을 해야 한다. 당사자에게는 힘겨운 작업이겠지만, 달리 말하면 학계에서 연구가 덜 진행되어 앞으로 집중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의미가 될 가능성이 있다.
기존 견해를 잘 다룬 자료라 하더라도 독자 스스로 선행 연구를 정리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능력이 바로 '핵심파악'이다. 저자별 핵심 주장을 정리하면, 쉽게 '비교 분석'을 할 수 있다. 비교 분석을 하고 나면, 특정 주장에 손을 들어주거나 본인이 새로운 주장을 개척할 수 있게 된다.
교수가 학생에게 가장 많이 요구하는 과제 중 하나가 바로 비교 분석일 거다. 칼빈 재학 시절 한인유학생의 사례를 참고해 보면, 학생이 교수에게 연구 주제를 문의하면 교수는 A와 B를 비교해보라는 말을 해준다고 한다. 가령 조직신학 전공으로 <성령론> 수업에서 소논문 주제를 찾고 있다면, "A와 B의 성령론 비교 연구"가 연구 주제로 잡으면 된다. 내 경우 "Reading John 7:37-39 in light of Zechariah 14"란 주제로 쓴 페이퍼를 게리 버지 교수의 <요한복음> 수업 과제로 제출했다. 이 글은 요한복음 7:37-39의 구약 본문으로 제시되는 각 구절을 비교하고, 스가랴 14장이 그 배경이라고 주장한 글이다. 이런 식으로 비교 분석은 가장 흔하면서 가장 효과적인 연구 방법이다. 때로는 쉬운 작업으로 과소평가될 수 있지만, 비교는 각 주장의 독특성을 분별하는 수단이 된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를 다니는 이유: 강제 학습? (0) | 2021.09.12 |
---|---|
정경과 외경 (0) | 2021.03.29 |
독창적 사고를 위하여 4. 핵심 파악 (0) | 2021.01.21 |
역사적 사실과 상상력 (0) | 2021.01.06 |
독창적 사고를 위하여 3. 독창적 사고의 시작 (0) | 2020.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