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어린 시절부터 창의력이 중요하다는 말을 들어왔다. 국민학생 시절 변신 자동차처럼 어린이가 볼만한 주제를 다룬 과학 잡지를 구독하고, 피아노 학원과 글짓기학원에 다닌 기억이 있다. 분명 내 의지와 상관없이 어머니의 교육열이 작용했다고 본다. 직접 물어 본 적은 없지만, 주위에서 창의력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말을 듣고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 교육 과정에서는 암기력과 임기응변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일반화할 수 없지만, 내 세대는 누가 더 많이 문제집을 풀었느냐로 대학이 결정되고, 선배로부터 족보를 확보했느냐로 학점이 달라지는 현실에서 '창의력'이 자리 잡을 곳은 없었다. 신대원에서 목회학 석사 과정 3년을 거치는 동안 빡빡한 학점 이수로 버거운데, 교회 사역을 병행하노라면 공부와 친해질 기회를 얻기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신대원을 마치고 교회에서 3년 정도 사역하다가 석사 과정에 진학하는 이유는 대부분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서이다. 좀 더 도전해서 유학 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내가 미국 칼빈 신학교에서 석사 과정을 밟고, 영국 박사 과정 진학을 준비한 경험과 3년 동안 한인 유학생들과 교류하면서 독창적 사고란 무엇인가, 직설적으로 말하면, 교수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한 글쓰기가 무엇인지 고민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지금은 박사 과정을 진행하고 있어서, 당장 급한 일은 아니지만, 나에게 당면한 과제이기도 해서 독창적 사고법을 고민하고 있다.

독창적인 사고의 시작, 지식 축적

독창적인 사고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 학습자는 교수의 강의, 논문이나 글, 대화나 사색을 통해서 아이디어를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사람마다 선호하는 방식이 있겠지만, 내 생각에 독서만큼 타인의 지식을 빨리 흡수하는 방법은 없다. 학문의 세계에서 주장과 반박의 근거는 자료인데, 자료 분석이 곧 독서 행위이다. 모순적으로 들리겠지만, 독창적인 사고는 선행 연구 분석, 특히 연구 역사와 현재 논의 파악에서 시작한다.

이런 맥락에서 독창적 사고의 기반은 다독(多讀)이라 할 수 있다. 독서량이 많다고 자연스럽게 독창적인 사고 능력을 갖추게 되지는 않는다. 독서량에 비례해 저장된 정보는 많겠지만, 정작 중요한 해석 능력은 별개의 영역이다. 그래서 이 '많다'는 의미를 독서량으로 한정하지 말고, 폭넓음을 가미되어야 한다. 내 생각에 이것은 기본 중 기본이다. 이 토대 위에 자신의 생각을 추가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앞서 언급한 삼박자가 이뤄지면 적정 시점에 빛을 보는 때가 온다.

내 전공인 신약학(New Testament Studies)에서는 진영과 방법론에 따라 다양한 주석 시리즈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시리즈로는 Anchor Yale Bible (AYB), Hermeneia (HERM),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NIGTC), Pillar New Testament Commentary (PNTC), Word Biblical Commentary (WBC) 등이 있다. 불과 몇십년 전만 해도 어느 주석을 선호하느냐에 따라 신학적 성향을 판가름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보수 진영에서 AYB와 HERM는 자유주의 진영에서나 보는 책으로 여겼다. 지금은 모든 자료를 공평하게 대하는 추세가 확산하고 있어서, 예전과 같은 잣대를 들이대지는 않는다. 내 경우 목회학 석사 시절부터 잡식으로 자료를 접하려고 노력했는데, 예나 지금이나 AYB와 HERM는 종종 까끌까끌한 느낌을 받는다. 둘 다 언어학적 분석과 역사 비평 등 방법론으로 풍부한 배경 자료와 색다른 본문 해석을 제시해 주지만, 가끔 저자의 전제와 주장에 내가 반감을 들게 되곤 한다. 그런데 나는 이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폭넓은 관점을 접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내적 갈등이 증폭되면서 이질감으로 인한 반감이 반강제적으로 내 사고의 폭을 넓히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신학이란 학문과 신앙이 결부된 영역이라 순전히 특정 주장에 동조 혹은 거부하는 차원에 머무르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자료를 분석하려고 노력하다 보면 기존 자료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을 발견하게 된다. 학계 기여도는 기존 연구의 허점을 연구자가 제시하는 주장의 세밀함과 보완의 범위에 따라 결정되므로, 나는 내적 갈등을 글로 표현하여 학계의 빈틈을 메워주면 된다. 만약 내가 불편한 감정으로 인해 그 자료들을 덮어버렸다면, 나는 교수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을 소지가 다분하고, 나만의 논리를 만드는 실력을 배양하지 못한 채 특정 진영에 갇힌 신학자로 성장했을지 모른다. 아, 아직 난 학생이다.

독창적 사고를 위해 필요한 지식량이 얼마나 되는지 답해 줄 수 없다. 상황에 따라 쉽게 발견되기도 하고, 제아무리 깊게 파도 아이디어조차 떠오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설령 아이디어를 발견해도 그 가치를 파악하지 못해 놓쳐 버리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부분에서 아이디어를 검증해 줄 사람을 찾을 필요가 있다. 내 경우 목회학 석사 학위 논문 주제는 지도 교수의 강의에서 포착했고, 신학 석사 학위 논문 주제는 고 그랜트 오스본(Grant Osborne) 박사의 BECNT 요한계시록 주석을 읽다가 발견했다. 내가 여러 선택지를 가지고 교수와 상담을 요청했으나, 나는 각 주제의 가치를 가늠하지 못했으며, 둘 다 지도 교수와 대화를 거쳐 최종 주제가 결정되었다.

독서량에 관한 내 경험을 말하자면, 한때 연간 100권 이상의 책을 읽던 시기가 있었다. 한창 절정일 때 3년 동안 400권에 가까운 책을 읽었는데, 분야는 자기계발, 경영, 경제, 신학 등 다양했다. 글쓰기 연습 겸 생각 정리를 위해 글을 쓰고 여러 경로에 공유하기도 했다. 독자의 반응이 괜찮았는지 몇몇 전문 기관으로부터 기고 요청을 받기도 했다. 이때가 20대 중반이었다. 그 무렵 서평단 활동도 열심히 했었다. 출판사의 요구대로 서평이나 후기를 남기기도 했고, 그와 별개로 기록 차원에서 글로 남긴 것도 많다. 신대원 과정에서 수업 자료 이외에 많은 자료를 읽었으나, 독서량이 성적과 정비례하지는 않는다는 교훈을 얻었다. 어떤 과목은 재치를 발휘해 짧은 시간을 들이고 좋은 평가를 받기도 하고, 어떤 과목은 학기 중 상당 시간을 할애해도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성적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개인은 노력과 성적을 통해 적정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감을 잡아야 한다. 이게 정말 어려운데... 달리 방법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