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내가 볼 때 예레미야서는 시대 상황을 가장 현실적으로 묘사한 역사서의 면모를 갖춘 예언서이다. 또한 은유(metaphor)와 같은 언어적 기법을 꽤 많이 사용한 예언서이다. 내 관심사인 목자-양 비유와 관련해 참고할 만한 예레미야의 은유 분석에 관한 책은 Benjamin A. Foreman, Animal Metaphors and the People of Israel in the Book of Jeremiah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011)이 있다. 비록 내 관심사에 한정해서 Chapter 2: Pastoral Metaphors를 중점적으로 읽고 있으나 이만한 자료는 없다고 여겨진다.

내 판단에 의하면, 그의 책은 최소한 두 가지 제약이 있다. 하나는 목자-양 비유, 그의 언어로는 Pastoral Metaphors의 범위이다. 그가 연구한 범위는 6구절(3:15; 10:21; 23:1-4; 31:10; 50:6-8; 50:17-19)이다. 나는 최소 15구절을 범위로 설정한다. 다른 하나는, Foreman은 제목에 반영되어 있듯이 은유를 중심으로 본문을 분석하지만, 나는 은유를 넘어 문맥 내 기능에 초점을 맞춘다.

Foreman은 구절마다 은유의 진위를 가리고 주변 구절과 인과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작업에 열중한다. 이러한 작업은 의미가 있다. 아래 인용은 그 예시이다.

The metaphor, which begins in the first line of verse 17, is comprised of two images: a sheep and several lions. … In verse 18 the leaders of Babylon and Assyria are no longer lions, but regular kings. … The imagery of verse 17, therefore, is not carried over into verse 18 since there are no terms relating to the semantic fields “shepherding” or “lions” in that verse.
- Foreman, Animal Metaphors and the People of Israel in the Book of Jeremiah, 82.

이러한 연구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내가 Foreman의 분석에 빚지는 부분도 적지 않다. 가령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인 '목자-양 유비'의 어휘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어서, '사자'라는 단어도 때에 따라 유비의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거나, 목자와 왕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다는 사실 등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내 기준에 언어학적 연구가 대체로 그러하듯이, 저자가 인유를 사용하는 목적과 방식을 미세하게 놓치게 된다. Foreman의 책을 다시 읽으면서 그의 한계가 느껴지는데, 아직 한창 예레미야서의 목자-양 비유를 분석 중이라, 그 한계는 나중에 정리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오늘은 이 책에 대한 간단한 평가를 남기는 선에서 그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