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마스쿠스 문헌(Damascus Document)의 약어는 CD이다. Cairo Genizah에서 발견되어서 지역명과 문헌 내용의 특징을 결합해 CD로 부르는 모양이다. 이 문헌의 본문을 표기 방식은 크게 두 가지 사례로 나눠진다.
첫 번째는 A와 B를 삽입 여부이다. 간혹 CD-A 혹은 CD-B로 표기하여, 사본 A와 B를 구별한다. 그러나 사본 A는 1-16, B는 19-20으로 나뉘어 있으므로 굳이 A와 B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숫자만으로 A와 B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CD-A XIII이나 CD-B XⅨ는 과잉이다. CD XIII이나 CD XⅨ로 충분하다.
두 번째는 로마 숫자 혹은 아라비아 숫자 사용 여부이다. 사해 사본은 fragment-column-line 순서로 표기한다. 여기서 column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는 사례가 더 잦다. 예를 들어 4Q270 7 2:1–21 라는 식으로 말이다. 아라비아 숫자는 사용자의 편의성이 그 원인으로 판단된다. The SBL Handbook of Style은 로마 숫자를 사용하라고 안내하고 있음(자세한 내용은 8.3.5 Dead Sea Scrolls and Related Texts를 보라).
앞서 예로든 문서는 다음과 같이 표기해야 한다.
CD XIII, 7–12; CD XⅨ, 7–13; 4Q270 7 Ⅱ, 1–21
혹시나 틀린 내용이 있다면 수정할 것.
--추가--
MS A: 7:4-8:2와 MS B: 19:1-14로 표기하는 사례. Menahem Kister,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Recensions of the Damascus Document,” DSD 14/1 (2007): 61–76.
'논문작성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어 자료를 인용할 때 현지 언어와 병기하는 방법 (0) | 2023.04.12 |
---|---|
핵심 파악과 요약의 중요성 (0) | 2022.12.26 |
인용 표기와 풀어 쓰기(paraphrasing) 2 (0) | 2022.12.02 |
인용 표기와 풀어 쓰기(paraphrasing) (0) | 2022.11.25 |
성경 구절 오류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