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목자-양 유비의 역사"를 통해 목자-양 유비가 목자-왕 사상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고 증명하고자 한다. 오랫 동안, 이 유비를 다뤄온 입장에서는 굳이 증명이 필요할까 싶기도 하지만, 의외로 낯설게 받아들이는 이들이 적지 않다. 그래서 목자-왕 전승을 설명하려면, 목자-양 유비의 용례를 분석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스가랴서 14장은 껄끄럽다. 목양 어휘군이 사용되지 않아서 목자-양 유비에 해당하지는 않지만, 목자와 왕을 동일시하는 관점에서는 왕권 개념으로 목자-왕 전승에 포함할 수 있는 본문이기 때문이다.
"목자-양 유비의 역사"는 목자-왕 사상을 증명하는 단계이므로, 스가랴서 14장을 범위에서 제외하고,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 연구에서 선한 목자가 왕권 사상이라는 주장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해야 한다.
번거로운 작업이지만, 현재와 미래를 위해서는 선행 작업으로 지금 해둬야 하지 않나 싶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꿀 수 있어 행복하다 (0) | 2025.04.06 |
---|---|
지도 교수 면담 예정 (0) | 2025.04.03 |
플라톤의 유산, 윤리와 정치 (0) | 2025.03.28 |
성경 그리고 유대 문헌과 그리스-로마 문헌 (0) | 2025.03.25 |
The History of Shepherd-Sheep Analogy 원문 분석 완료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