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벌써 칼빈신학교에서 3학기를 마쳤다. 지난 주 금요일 저녁 이후로 방학을 맞이하고 있지만, 오늘 도서관 개인열람석을 비워줌으로서 진정한 휴식을 맞이하고 있다. 당분간 강제 휴무.


이제 다음 학기를 마지막으로 졸업하게 된다. 이 말은 곧 박사 진학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현재로서는 연말에 OPT를 신청해서 진학 준비에 전념하고, 지금은 성적과 추천서를 위해서 학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매 학기마다 욕심 만큼 공부하지는 못하지만, 다행히 이번 학기에는 자율연구를 통해 소정의 성과를 거두었다. 지도교수인 게리 버지 박사는 내 연구에 만족하는 분위기이고, 지난 학기에 좋은 성적을 받았으니, 나중에 추천서를 요청하면 잘 써주실거 같다. 무엇보다, 내 예상대로 요한복음 10장의 '선한 목자 담화'는 박사과정에서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이번 연구로 샘플페이퍼는 준비된 셈이고 앞으로 연구제안서 준비는 어려움이 없어 보인다. 다음 학기에는 구약에 나타난 목자 모티프를 중점적으로 연구할 계획인데, 일정 수준의 성과를 내면 박사 과정에서 시간을 아낄 수 있겠다는 예상이 든다.


문제는 영어성적이다. 내가 희망하는 학교에서 요구하는 성적은 최소 토플 100/아이엘츠 7.0 혹은 토플 110/아이엘츠 7.5이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박사과정 요구조건으로 최소 토플 100/아이엘츠 7.0을 요구하니, 당연히 그 정도는 충족시켜야겠지만, 토플시험으로 고생을 좀 해본 입장에서는 걱정이 된다. 리딩은 그렇게 오래 공부했는데 고득점이 쉽지 않고, 리스닝은 반복해서 들어도 잘 안 들리기는 마찬가지이고, 스피킹은 예상한 질문이 나와도 버벅거리고, 라이팅은 한두 문장에서 실수하면 바로 아웃 오브 토픽이다. 쩝. 현 상황에서는 영어성적이 박사과정 진학에 가장 큰 걸림돌이다. 작년에 몇몇 학교에 진학 문의를 해봤는데, 담당자들로부터 내가 미국 내 신학교에서 공부하고 있고, 이미 신학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으니 지금이라도 지원하거나 앞으로 영어성적이 웨이브될 가능성이 있지만 확실히 보장할 수는 없다는 답변을 받았었다. 그러니 내가 지도교수로 문의하게 될 교수들이 나에게 영어성적을 요구하지 않는 한, 무조건 점수를 내야 한다. 이번 여름 방학에 영어 시험 공부를 할건데 올해 안이나 내년 초에 성적이 나와주면 환상적인 시나리오이다.


주변에서는 연구제안서와 영어성적으로 고전분투하는 경우가 허다해서 내 경우는 수월한 편이긴 한데, 시험이 나한테는 쥐약이라 걱정이 앞선다. 남들 보기에는 "준비된 신약학자"인데 그들이 내 속을 알랑가 몰라.

,

도서관과 학교 수준

끄적 2018. 5. 18. 10:34

솔직히 웨신대 시절에는 도서관 이용율이 그리 높지 않았다. 우선 내가 연구소에 소속되어 있어서 공부하러 도서관에 갈 일이 없었다. 학교 규모가 작아서 도서관 내 서적 보유량이 많지는 않았지만, M.Div.와 Th.M.까지 공부하는데 큰 불편을 겪지는 않았다. 도서관에 필요한 자료가 없으면 주변에 위치한 대한성서공회 성서학도서관을 이용하면 되었다. 그곳에 가면 국내 성서학자들을 자주 볼 수 있다.


감사하게도 성서학 분야만큼은 교수진이 국내에서 손꼽히는 수준이었다. 세계 정상급 수준의 신진학자들을 통해 최신 경향의 방법론들을 배울 수 있었다. 지금도 본문비평, 내러티브 비평, 텍스트언어학 등 당시에는 생소한 방법론들을 터득한 신진학자들을 통해 성경을 연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던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감사하다. 이 부분은 해외 유학을 나온 지금도 경쟁력이 되고 있으며, 어떤 면에서는 국내 학자들의 역량이 왠만한 영미권 학자들 보다 더 뛰어나다고 생각된다.


칼빈신학교 학생은 칼빈대학 헤크만 도서관을 사용할 수 있다. 관내 지역에서는 나름 규모가 있는 학교로 평가 받고 있고, 시설이 잘 구축되어 있어서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함이 없다. 다만 성서학 박사과정이 없어서 인지 내가 필요한 책들이 없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럴 경우 미시간 내 타 도서관 자료들을 대여하고 있다. 사실 이 부분에서 자주 기분이 나쁜데, 내가 타 도서관에서 대출하는 책들 대부분이 제칠일안식교 학교 도서관 소유이다. 미국에서는 제칠일안식교가 이단 혹은 사이비가 아니라고 하는데, 왠지 모르게 기분 나쁘다.


요새 자주 하는 생각 중 하나가 도서관과 학교 수준의 상관성이다. 내 생각에 도서관 시설이 잘 되어 있을 수록 학교 수준도 높다. 교수진의 역량이 뛰어날 수록 학생에게 요구하는 수준이 높기 마련이고, 교수들의 연구활동과 학생들의 학업을 위해서는 장서 보유량이나 관련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학교가 높은 학문적 수준을 유지하려면 교수 확보와 도서관 관리에 전념해야 하는 구조이다. 신학교는 신학 노선을 최우선 순위에 두기 때문에 도서관 관리에 신경을 못 쓰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


나는 책 구입에 돈을 아끼지 않는 편이지만, 요즘 들어 생각이 조금 바뀌었다. 학생이 교내 도서관에서 확보할 수 있는 자료의 양이 그 학교의 수준이다. 즉 학생들이 책 구입에 돈을 안 쓰게 하는 학교가 좋은 학교이다.

,

내 장점은 "통찰력"이다. 남들보다 뛰어난 기억력이나 암기력, 순발력 등은 갖지 못해서 시험이라는 객관적인 지표에는 강점을 드러내지 못한다. 하지만 의제선정이나 전개방향 설정 등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는다. 신대원 시절 가끔 교수님들이 "이 주제를 어디서 찾으셨죠?" 혹은 "이걸 직접 발견하신 건가요?"라고 묻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잘난 척을 한번 해보자면, IT 분야에서 일하던 시절 퇴근길에 약 30년 경력의 전문가와 대화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 그 분이 내게 물으셨다. "이 분야에 몇 년이나 있었죠?" 내가 답했다. "3년 정도요." 이 말은 그 분이 놀랍다는 듯이 대답하셨다. "3년 정도의 경력으로 이 정도의 사고를 할 수 있군요. 10년 정도의 경력이 있어도, 광수 씨처럼 내다보는 사람들이 별로 없어요. 광수 씨는 통찰력이 굉장히 높네요."


난 학자라면 남들과 다른 생각을 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들과 동일한 지식을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이 습득하느냐의 싸움이 아닌 독창적인 사고를 얼마나 설득력 있게 개진할 수 있느냐의 싸움이다. 이런 맥락에서 박형근 작가의 원칙에 적극 동의한다.


난 박사과정이 나의 신학적 통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훈련의 시간이 되리라 기대한다. 또한, 박사학위 논문은 오랜 시간 내가 쌓아올린 학문적 소양을 평가하는 시험대가 되리라고 기대하고 있다. 그래서 오늘도 봄방학 기간이지만 도서관에 나와 소논문을 읽으며 몇 줄의 글을 쓰고 있다.


박형근 세계문학상 수상자, "소설창작, 글 연습보다 통찰력, 관찰력 높여야"

http://www.news-pap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645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학기를 마무리하며  (0) 2018.05.18
도서관과 학교 수준  (0) 2018.05.18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목자 모티프  (0) 2018.04.03
선지자 이사야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0) 2018.03.09
신학교의 생존  (0) 2018.03.03
,

신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요한계시록의 목자 모티프 - 스가랴 14장, 요한계시록 7:9-17, 21:1-8 상호본문성 연구 -"를 제출한 이후 학업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위해 박사과정에서 요한계시록을 전공하기로 다짐했다.

그러나, 미국 신학교에서 신학석사 과정을 다시 하면서 박사과정을 준비하는 방안이 더 낫다는 조언에 따라 현재 미국 칼빈신학교(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 재학중이다. 이 학교에 온 이후 요한계시록 전공자가 없어서 기존 내 연구를 확장할 방안이 없었다. 그러다가, 게리 버지(Gary M. Burge) 박사가 휘튼대학(Wheaton College)에서 은퇴하고 초빙교수로 이 학교에 온다는 소식을 접하고 내 계획을 수정했다. 당시에는 별 근거 없이 요한복음 10장의 선한 목자 비유를 연구해보면, 요한계시록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겠다는 정도의 추측만 할 수 있었다.

지난 학기에는 요한복음 7:37-39를 연구하면서 이 본문이 스가랴 14장의 초막절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었다. 그리고 이번 학기에는 요한복음 10장의 선한 목자 비유를 연구하고 있는데, 요한계시록의 목자 모티프와 상당한 유사점이 발견된다. 그래서 기존 내 연구의 일부분을 활용하면서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만약 이번 연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 짓는다면, 요한복음과 요한계시록의 목자 모티프에 대한 참신한 해석을 내놓는 기여를 할 수 있을듯 싶다.

그리고 다음 학기에도 요한복음의 목자 모티프로 한번 더 연구할 계획인데, 내 계획대로 잘 진행된다면 박사과정에서는 요한복음을 전공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학문적 기여을 할 수 있을듯 한 자신감이 든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관과 학교 수준  (0) 2018.05.18
내가 성서학자로 존재하려는 이유  (0) 2018.04.05
선지자 이사야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0) 2018.03.09
신학교의 생존  (0) 2018.03.03
지도교수의 중요성  (0) 2018.02.08
,

한국어로 소개된 기사는 짦막해서 영문 기사들을 찾아 보았다. 이번에 발견된 인장이 선지자 이사야의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성서고고학은 성경의 역사성을 검증하는 아주 중요한 분야 중 하나라는 사실을 입증한 사건이다.


Is This the Prophet Isaiah’s Signature?

https://members.bib-arch.org/biblical-archaeology-review/44/2/7


Has Eilat Mazar Discovered Archaeological Evidence of Isaiah the Prophet?

https://www.thetrumpet.com/16947-has-eilat-mazar-discovered-archaeological-evidence-of-isaiah-the-prophet

,

신학교의 생존

끄적 2018. 3. 3. 08:39

내가 유학을 결심했을 때 정말 심각한 고민들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 이유는 경력단절과 자산감소의 부담을 떠안아야 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박사학위를 취득한다 해도 향후 진로에 대한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그런데 한국인이 외국에 나가서 한국어로 공부한다? 영어에 대한 부담 없이 모국어로 해외 신학교에서 박사학위까지 취득한다는 장점 이외에는 다른 대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국내에서 공부하면 되는데 왜 굳이 외국일까? 국내에 실력 있는 한국인 교수가 없어서? 혹은 자신이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국내에서는 미흡해서?


신학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왜 영어권 국가에서 한국어 과정을 만들었을까. 자국내 한국어 사용자들을 위해 만들었을까? 아니면, 해외 유학생들을 고려하여 만들었을까?


풀러신학교의 경우 박사학위 장사에 대한 소문이 자자해서 지금은 예전처럼 이 학교 출신이라고 자랑하는 경우가 드물긴 하지만, 지금도 수요는 여전한듯 하다. 오히려 코리안센터를 개원하면서 한국교회를 향해 더욱더 적극적인 구애를 하는 모양새이다.


나 역시 이러한 움직임이 신학교의 생존과 폭넓은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려는 방안 중 하나라는 점을 알고 있다. 또한, 이 학교의 교수진이 매우 훌륭하다는 사실도 인정한다.


하지만 이 학교 관계자들이 미래지향적인 구조조정 보다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한국교회를 돌파구로 선택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관련기사] 풀러 코리안센터 개원 “한국교회와 깊은 관계 맺길 기대”


* 이 글은 드림투게더에 게재되었습니다. (업데이트 2018. 3. 3 미시간 기준)

http://www.thedreamtogether.com/news/articleView.html?idxno=728

,

지도교수의 중요성

끄적 2018. 2. 8. 17:30

[지도교수의 중요성]

내 신학석사 졸업논문을 지도해 주신 김경식 교수님이 한국성경신학회에서 발표하신다고 해서 야고보서에 대해 공부할 겸 학회에 참석했다. 모처럼 성서학회에 참석하니 앉아 있는 것만으로도 많은 걸 배우는 느낌이었다.

오늘은 김 교수님의 초대로 학교 연구실에서 귀한 조언을 들을 수 있었고, 점심식사도 함께 할 수 있었다. 직접 가르침을 받을 기회를 한동안 갖지 못하다가 졸업논문을 지도 받게 되었는데, 내가 주제선정으로 고민하고 있을 때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셨고, 나와 같은 주장을 하는 기존 연구가 없어서 확신이 서지 않을 때 과감히 진행하라고 격려해주셨다. 덕분에 학계에 기여할만한 연구물을 내놓을 수 있었다.

유학 갈 학교로 고민하고 있을 때에도 영어공부할 겸 미국 칼빈신학교에서 신학석사를 하고 박사는 영국에서 하라는 조언도 해주셨다. 본인이 미국 트리니티신학교에서 석사를 하고 애버딘대학교에서 박사를 하셔서 두 나라의 차이점을 잘 알고 계셨고, 석사는 무리하게 공부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해 주셨다. 덕분에 지금 미국 유학 생활을 비교적 순탄하게 하고 있다.

오늘은 미국 유학 생활과 영국 유학에 대해 주로 대화했다. 아무래도 지금은 내가 미국에 있다보니, 주위에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하려는 유학생들이 많다. 그래서 그들 중 나에게 미국에서 계속 공부하는 게 더 낫지 않냐고 말해 주는 경우가 흔하다. 새로 적응해야 하는 영국 보다 짧지만 2년 정도 적응한 미국이 더 수월하지 않겠냐는 이유를 들면서 말이다. 물가도 그중 하나이다. (내 입장은 명확하지만 가끔 솔깃하기도 하다) 그래서 영국 유학에 대한 조언은 다른 경로를 통해 구해야 한다. 김 교수님은 두 나라를 직접 겪어보신 분이시라 성서학은 영국에서 공부하는게 더 낫고, 한국인은 미국 보다 영국에서 공부하는게 더 수월하다고 하신다. 특히 나처럼 교수의 강의 보다 스스로 연구하는걸 선호한다면 영국이 제격이라고 하신다. 본인도 그래서 영국을 선택하셨단다. 나에게는 앞으로 연구제안서를 잘 준비하는게 제일 중요하다는 말도 해주셨다.

영국유학은 오래 전부터 다짐했었지만, 가끔은 딴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오늘 김 교수님의 조언 덕분에 속이 후련해졌다. 앞으로 딴 생각하지 않고 영국 박사과정을 목표로 준비할거다. 칼빈신학교에서 만난 어느 목사님의 말처럼 나는 "영국 갈 신약학자"이다.


* 이 글은 2월 6일 (화) 오후 4시 40분쯤에 쓴 글이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지자 이사야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0) 2018.03.09
신학교의 생존  (0) 2018.03.03
외래어 표기법 (히브리어와 헬라어)  (0) 2017.12.30
종교개혁 500주년과 총신대학교의 개혁  (0) 2017.12.17
북스캔  (0) 2017.12.11
,

전공이 신약학(New Testament)이다 보니 헬라어와 히브리어를 접할 기회가 많은데, 원어 폰트를 사용한 원고를 편집하는데 수반하는 제약 때문인지 발음으로 표기한 책들을 자주 접한다. 발음 표기는 대체로 영문 폰트에 기울기 효과를 적용한다. 이러한 편집의 경우 정작 어떤 단어를 사용했는지 역추적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독자의 편의성을 위해서는 폰트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고, 다음으로는 통일된 외래어 표기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출판사마다 제각각이라 독자로서 불편하다.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학교의 생존  (0) 2018.03.03
지도교수의 중요성  (0) 2018.02.08
종교개혁 500주년과 총신대학교의 개혁  (0) 2017.12.17
북스캔  (0) 2017.12.11
니가 진짜로 원하는 게 머야  (0) 2017.12.08
,

[종교개혁 500주년과 총신대학교의 개혁]

한국교회가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며 온갖 행사들을 치뤘지만, 한국교회개혁에는 실패했음을 자인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증거로 나열하자면 한도 끝도 없지만, 가장 대표적인 사례를 들자면, 명성교회의 세습과 총신대학교의 사유화를 손꼽을만 합니다.


세습은 교단을 초월하여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고, 노회 중심으로 교회를 운영한다는 원칙은 존재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개교회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개신교의 특성상 세습방지안이 효과를 거두기에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반면, 신학교의 사유화는 한국교회 역사상 유례 없는 사건으로 남을듯 합니다. 지금껏 몇몇 신학교를 특정 교회에서 소유하려는 시도는 여러 차례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성공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사태는 총신만이 아니라 한국교회 차원에서도 불명예스러운 일입니다.


이제 혹독한 겨울이 다가왔습니다.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겠죠. 그리고 최대 피해자는 결국 재학생들의 몫으로 남겠지요. 이미 수업거부는 시작되었고, 앞으로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 지혜가 필요한 순간입니다. 총신대학교와 예장합동 총회를 위해서, 더 나아가 한국교회를 위해서, 학교 정상화를 위한 개혁을 꼭 이루어 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관련기사]

"총회 직영 비상 신학교 운영을!"

http://www.newspower.co.kr/36697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도교수의 중요성  (0) 2018.02.08
외래어 표기법 (히브리어와 헬라어)  (0) 2017.12.30
북스캔  (0) 2017.12.11
니가 진짜로 원하는 게 머야  (0) 2017.12.08
성경과 주석  (0) 2017.11.30
,

북스캔

끄적 2017. 12. 11. 13:24

10년 전과 비교해도 성서학 연구와 관련해서는 아직도 출판물이 대세이다. 그래서 책을 구매하게 되고 소장에 애먹게 된다. 유학을 와보니 국내에 복귀할 때까지 어떻게 보관할지 막막해서 북스캔에 대한 정보를 모아볼까 한다.


[우리시대의 새로운 공간]책을 서재로부터 해방시키는 ‘북스캔 숍’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6121916073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