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The Remnant Motif in the Context of Judgment and Salvation in the Book of Jeremiah by Dr. Kenneth D. Mulzac

https://digitalcommons.andrews.edu/dissertations/100/

,
차후 검증이 필요하지만, 혹자는 예레미야가 목자 은유를 대략 여섯번 사용한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가장 잘 알고 있는 본문은 23장 1-8절이다.

1-2절에서는 목자들이 심판을 받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1절 보다 2절이 더 긴 내용을 담고 있지만, 사실상 반복이다. 3-4절에서는 양 떼의 회복과 목자 위임이 선포된다. 5-6절은 다윗 계열의 왕이 등장하여 온 이스라엘의 회복을 예언한다. 7-8절은 하나님의 구원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이 갱신된다고 말한다.

22장은 유다 왕들을 향한 심판을 선포하면서 각 왕들의 결말을 언급한다. 반면, 23장의 목자 은유에서는 목자 심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없다. 아마도 은유 자체가 축약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기법이라서 그럴지 모르겠다.


,

수많은 선지자들 가운데 예레미야가 유독 두드러지는 이유는 그의 독특한 은유 사용법에 있다. 예레미야와 은유 사이의 관계에 대해 잘 정리된 글을 소개해 본다.


Jeremiah’s Use of Metaphors

https://claudemariottini.com/2017/07/31/jeremiahs-use-of-metaphors/

,

수많은 학자들이 에스겔 34장의 목자 은유는 예레미야 23장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두 선지자 모두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지만, 연대적으로 예레미야가 에스겔 보다 앞서기 때문이다. 하지만, 혹자는 후대 편집을 이유로 예레미야서와 에스겔서 사이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견해에 따르면, 기존 학설대로 에스겔이 예레미야의 영향을 받았을 거나, 아니면 두 선지서가 동일한 자료를 사용했을 여지도 있다.


케네스 E. 베일리는 시편 23편을 선한 목자 은유의 출발점으로 본다. 시편 23편의 개인 신앙 고백이 예레미야 23장에서 국가적인 차원의 적용으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에스겔은 예레미야의 견해를 수용했다고 본다.


현재 내 연구는 베일리의 주장을 전제로 각 본문들을 비교하는데 있다. 지금은 예레미야와 에스겔을 비교하고 있으며, 시편 23편은 차후에 진행할 예정이다. 하지만, 예레미야서와 에스겔서의 상호 영향을 염두에 둔다면 머리가 복잡해진다. 두 선지서가 시편 23편을 공통자료로 사용했을까? 만약 그렇다면 차후 연구에 별 지장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두 선지서가 시편 23편이 아닌 다른 자료를 공통자료로 사용했다면, 내 연구방향은 어떻게 수정되어야 하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