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마카비서는 유다 마카비의 그의 후손을 중심으로 기록된 역사 기록이다. 주요 내용은 마카비 가문을 중심으로 한 유대 세력과 셀레우코스 제국 사이의 대결이다. 후에 마카비 가문은 하스몬 왕국 시대를 열게 되고, 그들은 이 기록을 통해 새로운 다윗의 등장을 향한 기대(소위 다윗 메시아사상)가 팽배했던 시대에 마카비 가문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삼는다.

1. 마카비서에 나타난 초막절과 수전절

1) 초막절(Sukkot)
마카비서에서 '초막절'/'그 절기'(the Feast)를 지키는 내용이 몇 차례 나온다.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그들이 지킨 절기는 초막절이 아니라 '수전절'(Hanukkah)을 새로 제정한 셈이다. 

역사적으로 이스라엘 백성은 광야, 정확히는 숙곳(Sukkoth)에서 초막을 지었고, 예루살렘 정복 이후에는 그 지역에서 초막절을 지켰던 유대인들에게 초막과 성전의 연관성은 쉽게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마카비 항쟁을 통해 '성전 정화'가 필요했다. 마카비 가문은 새로운 절기를 제정할 의도가 없었고, 기존 유대 절기 중에서 자신의 시대에 필요한 '성전 정화'에 적합한 절기로 초막절을 택했다. 본래 초막절은 티쉬레이(Tishrei, 태양력 9/10월) 십오일부터 지키지만, 실제로 그들이 절기를 실시한 시기는 기슬레우월(Chislev, 태양력 11/12월) 이십오일이다.

2) 수전절(Hanukkah)
성전 정화 이후 그 절기를 포고령으로 매년 지켜야 할 절기로 선포한다. 이후에도 마카비서에는 '수전절'이란 용어는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마카비서에 등장하는 초막절은 대부분 수전절로 읽어야 한다.

2. 요한복음 10장에 나타난 초막절과 수전절

요한복음에서는 초막절(7:1-10:21)과 수전절(10:22ff)을 구별하여 사용한다. 요한의 예수는 초막절을 배경으로 선한 목자의 죽음을 가르치신다(1-21절). 이후 수전절을 배경으로 선한 목자의 죽음에서 파생된 논쟁에서 예수의 정체에 관한 질문, 즉 그리스도에 관한 질의응답이 이어진다. 요한복음 10장에서는 초막절과 수전절을 예수의 정체성과 연결하는 특징이 있다.

,

1. 희년서와 창세기의 아브라함 언약
희년서(The Book of Jubilees)에서 초막절 본문은 두 구절(16:20–31; 32:4–29)이다. 첫 번째 초막절 본문은 16:20–31으로 이삭의 출생 이후 아브라함이 초막절을 축하하는 내용이다. 두 번째 초막절 본문은 32:4–29(세부적으로는 4–9절과 16–29절로 나눌 수 있다)이고, 라헬의 베냐민 임신 이후 야곱이 초막절을 지키는 내용이다.

1) 아브라함의 초막절 (16:20–31)
앞 10-19절은 이삭의 출생과 할례를 다룬다. 19절은 이삭을 출생한 아브라함과 사라의 크나큰 즐거움(they both rejoiced with exceeding great joy)을 서술하고 있다. 

이어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위한 제단을 짓고 그 앞에서 7일 동안 즐거움의 축제를 연다(20절). 그는 축제 기간 자신과 하인들을 위한 초막을 짓는데, 이로써 그는 지상에서 초막절을 축하한 첫 사례가 된다 (21절). 이 기간에 아브라함의 즐거움이 반복적으로 강조되고, 그는 번제로 하나님께 감사를 표현한다 (22-28절).

28절에서 아브라함이 이 절기를 축하한 이유가 하늘 서판의 증언(the testimony of the heavenly tablet)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한다. 여기서 하늘 서판이 언급되는데, 29절에서도 그 서판이 이스라엘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이스라엘 백성은 초막절을 매년 지켜야 한다고 진술한다. 두 구절은 희년서 저자가 이 단락의 배경으로 아브라함 언약을 설정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2) 야곱의 초막절(32:4–9, 16–29)
앞 2절에서 야곱은 14일에 하나님께 십일조와 헌물을 드린다. 3절은 라헬이 베냐민을 임신했다고 서술한다.

이어 야곱은 15일에 자신의 서원대로 십일조를 드린다(5절). 그리고 그는 번제를 7일 동안 드린다(6절). 여기서 초막절이란 용어는 등장하고 있지 않지만, 본문이 밝히는 시기는 초막절 시간이다.

이 배경이 초막절이라는 사실은 27-29절에서 명확해진다. 야곱은 추가로 하루(another day) 더 번제를 드리는데, 그 추가된 날은 '추가'(Addition)로 불리는데, 그 이유는 앞서 초막절을 지칭하는 '그 절기'(The Feast)에 하루가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밝힌다(27절). 이어 이 그 절기(=초막절)의 칠일에 하루를 더해 절기를 지키라고 명령한다(28절). 다시 그 여덟 번째 날을 '추가'(Addition)라고 부르며, 그 이유는 그 절기 시간 중 기록되었기 때문이라고 밝힌다(29절).

야곱의 초막절(4–9절)과 추가된 하루(27-29절)에 관한 기록 중간에 하늘 서판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초막절에 추가된 하루는 하나님께서 야곱에게 나타나셔서 그의 이름을 이스라엘로 바꾸시고(17절), 하늘 서판에 따른 아브라함의 후손을 향한 축복을 그에게 상기한 날이다. 이런 이유로 추가된 하루는 초막절의 연장선이며, 32장의 초막절 구절은 넓게 4–29절로 볼 수 있다.


3) 창세기 아브라함 언약 (15, 17장)
앞서 아브라함과 야곱의 초막절 모두 자손의 탄생과 일차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더 나아가 하늘 서판과 관련이 있다. 하늘 서판은 하나님의 아브라함의 후손을 향한 축복이 기록되어 있다. 창세기에서는 15, 17장에 관련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흔히 아브라함 언약으로 불린다.


2. 희년서와 사무엘상에 나타난 초막절
희년서에 나타난 초막절은 모두 자녀의 출생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사무엘상 1장 1절-2장 26절과 연결된다. 엘가나와 그의 가족은 매년 실로에 방문해 번제를 드렸다. 본문은 이 절기를 직접 밝히지 않으나, 초막절로 보는 견해가 있다. 희년서와 사무엘상에 나타난 초막절이 모두 자녀의 출생과 관련 있다는 사실이 매우 흥미롭다.

,

많은 연구자가 스가랴가 에스겔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내 연구에서는 스가랴 14장의 초막절 준수 명령과 에스겔 45장의 초막절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중요하다. 이 부분에서 나는 두 가지 기여를 가정했는데, 첫 번째는 에스겔 45장 25절의 초막절에 대한 강조이고, 두 번째는 초막절을 중심으로 에스겔과 스가랴의 관계를 비교하는 작업이다.

초막절 연구에서 에스겔 45장 25절은 충분히 조명하지 못하고 있다. 초막절 연구에 귀중한 업적을 남긴 Jeffery L. Rubenstein은 『The History of Sukkot in the Second Temple and Rabbinic Periods』(Brown Judaic Studies 302; Atlanta: Scholars Press, 2020)에서 에스겔 45장 25절에 등장하는 '명절'이 초막절이라고 밝혔으나 그에 관한 연구는 개진하지 않았다. 그래서 내 박사 학위 논문에서 이 구절에 대한 관찰로 기여를 할 수 있어 보인다.

스가랴가 에스겔로부터 신학적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면, 초막절에서 그 영향이 나타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껏 두 구절을 비교한 연구는 보지 못했다. 비교가 내 주요 관심사는 아니지만, 에스겔이 스가랴에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다. 이 지점에서 새로운 기여를 만들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오늘 에스겔 45장 25절을 다룬 주석을 살펴보고 있다. 그 주석은 에스겔 45장 25절의 '명절'을 초막절로 보고, 그 구절에 관한 상세한 해석을 남겨두었다. 아래 내용은 내 생각을 정리하기 위함이다.

에스겔 45장 17절은 군주의 본분을 말한다.

17 군주의 본분은 번제와 소제와 전제를 명절과 초하루와 안식일과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에 갖추는 것이니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

여기에서 군주는 '이스라엘 족속의 모든 정한 명절'을 지켜야 한다. 그리고 '이스라엘 족속을 속죄하기 위하여 이 속죄제와 소제와 번제와 감사 제물을 갖출지니라'고 선포한다. 예언자는 이스라엘 족속의 속죄를 강조하고 있다. 바벨론 유수를 겪고 있는 예언자는 이스라엘로 귀환한 이후에도 속죄를 지속해야 한다고 여겼다. 예언자는 이스라엘의 모든 명절이라고 말했지만, 실제로 언급한 명절은 유월절(12절)과 초막절(25절)이다.

21 첫째 달 열나흗날에는 유월절을 칠 일 동안 명절로 지키며 누룩 없는 떡을 먹을 것이라

25 일곱째 달 열다섯째 날에 칠 일 동안 명절을 지켜 속죄제와 번제며 그 밀가루와 기름을 드릴지니라

유월절과 초막절은 모두 출애굽과 긴밀한 연관이 있는 절기이다. 예언자가 이스라엘 귀환을 출애굽과 동일시했다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스가랴 14장은 초막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16 예루살렘을 치러 왔던 이방 나라들 중에 남은 자가 해마다 올라와서 그 왕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며 초막절을 지킬 것이라

스가랴는 다른 예언자들과 달리 초막절이 이방 나라들도 지켜야 할 명절로 규정한다. 또한 초막절 준수와 비를 긴밀하게 연결한다는 특징이 있다.

17 땅에 있는 족속들 중에 그 왕 만군의 여호와께 경배하러 예루살렘에 올라오지 아니하는 자들에게는 비를 내리지 아니하실 것인즉

18 만일 애굽 족속이 올라오지 아니할 때에는 비 내림이 있지 아니하리니 여호와께서 초막절을 지키러 올라오지 아니하는 이방 나라들의 사람을 치시는 재앙을 그에게 내리실 것이라

19 애굽 사람이나 이방 나라 사람이나 초막절을 지키러 올라오지 아니하는 자가 받을 벌이 그러하니라

초막절은 추수 이후 감사제 성격이 뚜렷하다. 농경사회에서 비는 그 해 추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고로 비 내림은 여호와의 열방 통치의 증거이며, 초막절은 그의 통치에 대한 인정을 뜻한다.

스가랴는 유월절을 말하지 않는다. 성전 재건 역시 말하지 않는다. 스가랴는 에스겔과 이런 두 가지 차이가 있다.

잠정적인 결론을 내리자면, 초막절에 있어서 스가랴는 에스겔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

* 박사 학위 논문을 위한 자료 조사 과정에서 내 생각을 정리하는 글이므로 차후 검증이 필요하다.

느헤미야 8장은 귀환 공동체의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명령하신 모세의 율법책"에 대한 요청으로 시작한다.

1 이스라엘 자손이 자기들의 성읍에 거주하였더니 일곱째 달에 이르러 모든 백성이 일제히 수문 앞 광장에 모여 학사 에스라에게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명령하신 모세의 율법책을 가져오기를 청하매

느헤미야 8장에 기록된 에스라의 강독은 그의 예루살렘 사역이 종료되는 시점이 아닌  시작으로 봐야 하며, 이 기록은 에스라와 느헤미야의 사역에 관한 절정으로 자리를 잡는다 (Williamson, Ezra, Nehemiah, 285).

에스라는 낭독을 지속하던 중 초막절을 준수하라고 지시한다 (14-17절).

14 율법에 기록된 바를 본즉 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하여 명령하시기를 이스라엘 자손은 일곱째 달 절기에 초막에서 거할지니라 하였고

여기서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여기서 나는 두 가지에 집중하고 싶은데, 첫 번째는 초막절 준수에 관한 근거이고, 다른 하나는 초막절의 기능이다.

에스라가 모세의 율법에 따라 초막절을 준수하라고 백성에게 명령했다면, 그 근거는 레위기 23:33-43과 신명기 16:16-17, 두 구절로 압축된다. 

레 23:34 이스라엘 자손에게 말하여 이르라 일곱째 달 열닷샛날은 초막절이니 여호와를 위하여 이레 동안 지킬 것이라

신 16:16 너의 가운데 모든 남자는 일 년에 세 번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를 뵈옵되 빈손으로 여호와를 뵈옵지 말고

에스라의 지침(15절)을 고려하면, 헌금 이외에 다른 지침이 없는 신명기 16장보다는 레위기 23장의 영향이 더 두드러진다. 여전히 느헤미야 8장과 레위기 23장 사이의 차이점은 존재한다.

느 8:15 또 일렀으되 모든 성읍과 예루살렘에 공포하여 이르기를 너희는 산에 가서 감람나무 가지와 들감람나무 가지와 화석류나무 가지와 종려나무 가지와 기타 무성한 나무 가지를 가져다가 기록한 바를 따라 초막을 지으라 하라 한지라

레 23:40 첫 날에는 너희가 아름다운 나무 실과와 종려나무 가지와 무성한 나무 가지와 시내 버들을 취하여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이레 동안 즐거워할 것이라

그러나 에스라가 레위기 23장에 근거해 초막절 준수를 명했다면, 초막절 이전에 언급된 속죄일(레 23:26-32)이 문제가 된다. 여기서 신명기 16장을 선택하면, 속죄일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만, 에스라의 초막절 지침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에스라의 가르침이 신명기 16장의 영향을 받았으나 레위기 23장에 기반한다는 해석이 현실적인 타협점으로 보인다. 레위기 23장과 신명기 16장 사이의 연관성이 부족하다는 지적 역시 타당하다 (Williamson, Ezra, Nehemiah, 295). 만약 에스라와 느헤미야 시대에 모세의 율법책이 서로 다른 형태로 전승되었다고 하더라도, 에스라가 두 본문을 모두 알고 있었다는 추정은 달라지지 않는다. 이스라엘 역사를 배우지 않은 유대인들이 많아서 몇 가지가 무시되었다는 주장(Batten, Ezra & Nehemiah, 363)이 있으나, 이스라엘 자손이 일곱째 달에 일제히 수문 앞 광장에 모여 에스라에게 모세의 율법책을 낭독하라고 요청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다시 말해, 이스라엘 자손이 모인 시기와 에스라의 초막절 준수 명령이 이스라엘 자손과 에스라 모두 이스라엘 절기에 대해 알고 있다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여전히 속죄일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이 지점에서 이스라엘 귀환 공동체의 정체성을 고려하게 된다. 이스라엘 백성은 바벨론 유수와 귀환을 통해 죄에 대한 심판과 회복을 경험했다. 그러므로, 고대 이스라엘의 영광을 재현하는 귀환 공동체에 속죄일은 당시 불필요하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있었을 수 있다. 이 부분은 차후 연구가 필요하다. 더구나 이들에게는 자신들이 모세의 명령 이후 처음 초막절을 준수했다는 자부심이 있었다.

17 사로잡혔다가 돌아온 회중이 다 초막을 짓고 그 안에서 거하니 눈의 아들 여호수아 때로부터 그 날까지 이스라엘 자손이 이같이 행한 일이 없었으므로 이에 크게 기뻐하며

초막절 준수에 관한 기록을 통해 이런 반응은 정당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당시 회중은 스스로 초막절 규정대로 절기를 지킨 첫 사례라는 자부심이 있었다.

이스라엘 회중의 모세의 율법에 관한 요청은 앞서 성벽 건축(7장)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1 성벽이 건축되매 문짝을 달고 문지기와 노래하는 자들과 레위 사람들을 세운 후에

여전히 보수되어야 할 주요 건축물들이 남아 있어 자신의 터전은 건축조차 못 했으나 그들에게 성벽 건축은 남다른 의미로 작용했다고 보인다.

4 그 성읍은 광대하고 그 주민은 적으며 가옥은 미처 건축하지 못하였음이니라

느헤미야의 감동과 계보 등록 사업이 그 증거이다.

5 내 하나님이 내 마음을 감동하사 귀족들과 민장들과 백성을 모아 그 계보대로 등록하게 하시므로 내가 처음으로 돌아온 자의 계보를 얻었는데 거기에 기록된 것을 보면

초막절 동안 에스라는 하나님의 율법책을 계속 낭독한다 (18절). 따라서 8장에서 가장 강조하고 있는 사건은 에스라의 하나님의 율법책 낭독이라 할 수 있다 (Williamson, Ezra, Nehemiah, 280).

,
초막절은 출애굽 이후 이스라엘 백성이 광야에서 지낸 절기이다. 초막절은 후에 예루살렘 성전 건축 이후 중요성이 덜 강조되다가, 유다 왕국 멸망 이후 포로기를 거치면서 이스라엘의 회복을 선포하는 에스겔과 스가랴와 같은 선지자들에 의해 초막절이 언급된다. 신약에서는 요한복음 만큼 초막절을 강조하는 성경은 딱히 떠오르지 않는다.
 
토세프타(Tosephta)에서 초막절에 관해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기록은 2세기 후기부터 유대 구전 율법을 수집했다고 알려져 있다.
 
요한복음은 성전 파괴 이후 기록되었다고 함의를 보고 있다. 토세프타의 저술 시기 역시 성전 파괴 이후이다. 요한복음과 토세프타의 저술 목적은 다르지만, 저술 시기가 성전 파괴 이후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유월절처럼 성전 중심의 절기는 더이상 지속하기 어렵겠지만, 초막절은 자신의 집 지붕에 초막을 만들어 준수할 수 있다. 요한복음이 성전 되시는 예수 그리스도를 강조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면, 토세프타는 옛 절기를 준수 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길 기대하는 마음을 가지고 기록하지 않았을까 짐작해 본다.
,

Sukkot in Ezra-Nehemiah and the Date of the Torah
https://www.thetorah.com/article/sukkot-in-ezra-nehemiah-and-the-date-of-the-tora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