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신약학계에서는 E. P. 샌더스의 영향인지, 역사적 예수 연구 영향인지, 바울의 새 관점 파급효과인지 모르겠지만, 유대주의를 율법적 공로주의로 단정 짓지 않고 다양한 노선이 존재했다는 전제하에 연구를 진행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요한복음에 국한하면, 이 복음서는 오랫동안 헬레니즘의 영향이 지대하다는 전제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유대주의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추세 가운데, 헬레니즘의 영향보다 유대주의의 영향이 더 크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근래에는 요한복음을 유대주의로 분석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사설이 길었는데, 나 자신부터가 요한복음을 읽으면 읽을수록 헬레니즘의 그늘보다는 유대주의의 웅장한 배경이 보인다. 요한복음의 사상적 모태가 헬레니즘이냐 유대주의냐를 밝혀야 하는 이유는 청중을 가늠하는 주요 척도이기 때문이다. 나는 요한복음이 유대주의의 웅장한 배경 아래 있다고 생각하므로, 청중 역시 유대인이나 유대계 기독교인으로 상정한다는 의미가 된다. 

모세 기독론과 다윗 기독론은 요한복음의 청중이 이스라엘 역사에 해박하다는 증거일 수 있다. 며칠 전에 작성한 "요한복음에 나타난 모세 기독론과 다윗 기록론"에서 더 나아가, 나는 요한의 모세 기독론과 다윗 기독론에 의도가 있다고 생각한다. 모세 기독론은 교회 내부에서 모세의 율법을 강조하는 유대계 기독교인들을 향해 예수가 모세보다 위대한 메시아(the better than Moses Christology)로 가르치고, 다윗 기독론에서는 다윗 계통의 구원자 사상(Davidic Messianism)을 추종하는 유대인이나 유대계 기독교인이 많았을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역으로 다윗을 강조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요한의 다윗 기독론에 대한 태도는 이스라엘 회복을 열망했던 열광주의자로 인해 성전 파괴가 이루어진 후 분위기를 반영했을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