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동물묵시록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들의 인생을 동물의 특징에 빗대어 묘사한다. 연대기의 시대를 구분하는 방법은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동물의 종류와 시대 구분 사이의 관련성에 주목하되, 특별히 황소(bull)와 숫양(ram)에 초점을 맞추었다.

 

황소와 숫양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다. 황소로 묘사된 대표적인 인물은 아담(85:3), 노아(89:1), 아브라함(89:10), 이삭(89:11)이다. 또한, 그들은 흰 황소라고 묘사된다. 흰색은 그들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거룩함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아담의 후손으로서 갖는 정당성을 의미하는 듯하다. 황소로 묘사된 인물들이 활동한 시기는 천지창조부터 족장 시대이다. 가부장 중심으로 군락을 이루던 시대적 특징을 황소라는 동물로 표현한 듯하다.

 

숫양으로 묘사된 첫 인물은 야곱(89:12)이다. 흥미롭게도 야곱의 아버지인 이삭은 흰 황소(89:11)인데, 정작 그는 흰 숫양이다(89:12). 야곱의 열두 아들은 열 두 마리의 양으로 묘사된다(89:12). 야곱의 아들 중 요셉은 흰 숫양으로 일컬어지고, 나머지 형제들은 열한 마리 양으로 묘사된다(89:14). 여기서 숫양은 우두머리를 가리키는 상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셉은 자신의 형제들이 이집트에 거주하도록 해주며, 야곱의 후손들은 그 땅에서 번영한다 (89:14). 숫양의 출현은 족장 시대의 종말과 이스라엘 민족의 출발을 의미한다. 이후 숫양은 이스라엘의 지도자를 지칭한다. 이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인물로는 사울(89:42), 다윗(89:46), 솔로몬(89:48b), 유다 마카비(90:13, 16. cf. 90:9)가 있다. 미세하지만 각 인물에 대한 묘사에서 차이가 발견된다. 첫 번째로, 사울은 처음부터 숫양으로 묘사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두 번째, 다윗과 솔로몬은 양에서 숫양이 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세 번째, 유다 마카비는 양(90:9)으로 등장한 이후 숫양(90:13, 16)으로 묘사된다. 숫양은 양의 성별을 구분하는 용도가 아니라 무리의 지도력을 상징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또 다른 차이점은 뿔에 대한 언급이다. 사울과 유다 마카비의 행적을 기록하면서 “뿔”의 존재를 부각한 반면, 다윗과 솔로몬은 그것을 언급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도 숫양이 뿔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본문에서 뿔의 기능/존재를 언급하는 의도가 있음도 기억해야 한다. 특이하게도, 출애굽 공동체를 이끌었던 모세는 숫양이 아닌 양으로 묘사된다. 더 놀라운 건, 모세가 양에서 사람이 되는 유일한 인물이라는 사실이다(노아는 황소에서 사람이 됨).

 

황소와 숫양은 지도력을 상징한다. 황소는 가부장 중심의 일족을 대표한다면, 숫양은 이스라엘 민족으로 지도력의 범위가 확대된다. 이러한 변화는 성경에서 양을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환유를 반영하려는 의도가 있다(Nickelsburg, 1 Enoch, 378). 야곱은 이스라엘 민족의 새로운 출발점(창 35:10–11)이므로, 그를 숫양으로 묘사한 것은 타당하다.

 

덧붙여, 하나님의 등장과 이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경에서 창조 기사는 하나님의 출현과 동시에 시작한다(창 1:1). 하지만 동물묵시록에는 하나님의 창조를 말하지 않는다. 그 대신 한 마리의 황소가 땅에서 나온다고 진술한다(85:3). 흥미롭게도 황소가 등장하는 본문에는 하나님이 언급되지 않는다. 반면 숫양의 등장 이후, 정확히는 늑대로부터 억압당하는 양의 부르짖음으로 인해 “양의 주인”(the Lord of sheep)이 언급되기 시작한다(89:15).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칭호에서 둘 사이의 관계가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관계 정의는 목자-왕 전승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관계는 종말론적 구원이 실현되는 순간까지 지속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