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웨신 시절 조교 자격으로 연구소에서 공부하다 보니 교수와 학생들 사이에서 "xxx파"(좌파, 우파 아님)라고 분류되었다. 당시에는 신경을 안 써서 그러려니 했는데, 세월이 지나갈 수록 내가 교수님들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논문 지도 교수의 영향력은 남다르다 싶다.
 
영국 학교 인문학 박사 과정에서는 입학 후 바로 논문을 쓴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Probationary Review는 학생이 박사 과정을 진행할 역량이 있는지 점검하는 과정인 동시에 논문 초기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몇 개월 간 지도 교수와 교류하면서, 이전까지 경험한 교수와 학생 사이의 관계를 넘어서는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있다. 수업이든 자율 연구(independent study)든 교수의 평가가 압도적으로 중요했다. 그 중요성은 박사 과정에도 적용되지만, 학생의 의견이 상당히 중요해진다.
 
내 경험에 의하면, 지도 교수는 학생에게 정답을 알려 주지 않는다. 최대한 학생의 주장과 근거를 존중하면서, 자신의 반론이나 생각을 남긴다. 그에 대한 수용 여부는 전적으로 학생의 몫이다.
 
내 생각에 지도 교수와 의견 차이가 발생했을 때 해결 과정이 중요해 보인다.
 
자신의 주장을 끝까지 견지해서 지도 교수와 심사 위원들을 설득할 수 있다면 그 길을 선택해도 된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현격히 낮을 것이다. 보통 이 길을 선택할 경우 박사 학위를 마치지 못하는 사례가 많았다.
 
지도 교수의 견해를 전적으로 수용해도 한다. 안전한 길이지만, 학생이 스스로 답을 찾는 과정을 갖지 않고, 지도 교수의 의견을 수용하는 수동적 태도는 좋은 평가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자신과 지도 교수의 견해 차이를 인지하고, 자신 스스로 둘 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방법이 있다. 학생에게는 의견 차이만큼이나 긴 고민의 시간을 가져야겠지만, 아마도 지도 교수는 학생을 높게 평가하지 않을까 싶다.
 
영국 학교에서는 지도 교수를 조언자(advisor)라고 지칭한다. 학생은 연구자로 대우한다. 이전까지는 교수들의 수업을 이해하면서 희열을 느꼈다면, 지금은 내 연구를 가지고 지도 교수와 협업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성취감을 느낀다.
 
왜 영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분들이 지도 교수에 대한 각별한 애정과 충성도를 보이는지 조금 알 듯하다.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택  (0) 2021.11.26
토론 보다 독해와 글쓰기가 중요한 이유  (0) 2021.11.24
완벽한 글은 없다  (0) 2021.11.14
고레스 예언과 전복적 믿음  (0) 2021.11.07
선생의 중요성  (0) 2021.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