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세미나 후기] Catrin Williams, “Sign(s) and Scripture in the Gospel of John”

카트린 윌리엄 교수는 요한복음 전문가로 유대 경전과 전승 수용사에 특별히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2016년부터 SBL의 ‘John, Jesus, and History Group’에서 Craig Koester 교수와 함께 공동의장을 맡고 있으며, 근래 SNTS Johannine Seminar에서 Jörg Frey 교수와 Christina Hoegen-Rohls 교수와 함께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오늘 세미나 주제의 본문은 요한복음 6:16-21이다. 카트린 교수는 요한복음이 마가복음을 재작성(rewriting)했다고 전제한다. 이러한 전제에 의거해 요한복음 6:16-21은 마가복음 6:45-52을 토대로 하다고 본다. 이와 별개로 공관복음과 요한복음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뜨거운 관심사이다. 이 부분은 아래 책을 참고하라.

John's Transformation of Mark
https://www.amazon.co.uk/dp/0567691896/

요한은 공관복음과 경전 사용에 있어 자신만의 원칙이 있다. 그 중 하나는 요한이 자신의 의도대로 여러 자료들을 병합해 사용한다는 것이다. 요한의 원칙에 관해서는 Wendy E.S. North의 『What John Knew and What John Wrote: A Study in John and the Synoptics』, 용례 연구에 관해서는 "Composite Citations in the Gospel of John" in 『Composite Citations in Antiquity: Volume Two』를 보라.

마가복음 6:45-52과 요한복음 6:16-21를 비교하면, 요한이 마가의 자료를 어떻게 활용했는지 그의 강조점이 무엇인지 드러난다. 카트린 교수의 주장에 의하면, 요한은 예수께서 바다 위를 걸으신 사건이 출애굽 모티프를 두 차례나 나타나며, 제자들과 함께하시는 예수를 그린다.

카트린 교수는 대중들과 제자들 간의 반응이 대조된다고 간주한다. 대중들은 떡과 물고기 사건에 이어 이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반면 제자들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고 본다. 이 지점에서 "나는 제자들의 반응은 사건의 중요성을 알았다거나 그 의미를 이해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그저 예수를 향한 환영에 지나지 않는다"고 질문했다. 그러나 카트린 교수는 문자 그대로 긍정적으로 봐야 한다는 답했다. 내가 무리들과 제자들에게 사용한 단어에 따른 의미적 차이를 부여하는 해석은 무리라고 본다.

요한은 대중들이 갖고 있는 모세에 관한 인식들을 의식해 예수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마가복음을 재작성했다고 결론짓는다.

내가 요한복음 10장 선한 목자 담론으로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하고 있고, 강연자의 주제와 접근 방식이 흥미로워서 유익한 시간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