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못 한 질문

끄적 2023. 11. 4. 23:41

오늘 국제학술대회에서 질문하려고 적어두었으나 필기구가 없어서 전달하지 못했다. 기록 저장용으로 남겨둔다.

#1
요한계시록을 1세기 수신자의 입장에서 읽어야 한다는 전제에 동의한다. 그러나 요한계시록을 저작/편집 연대로 한정한다면, 후대 기독교인들이 그 기록에서 교훈을 얻는 수준에 그칠 수 있다. 즉 현대 사회와 1세기 상황 사이의 동일시에서 얻는 유익이 거세된다. 이런 한계에서 후대 기독교인의 성경 읽기는 어떠해야 하나?

#2
바벨론을 로마로 해석할 수 있고 바벨론의 정신을 현대에 적용할 수 있다면, 현대적 적용의 바른 예를 제시해 줄 수 있나?

#3
로마 제국의 통치는 실재이고, 하나님 나라는 경험하지 못한 이상적인 실체이다. 요한계시록의 수신자에게 하나님의 나라는 어떻게 그려졌을까?

#4
요한계시록에서 출애굽 모티프를 적용하는 독법이 있다. 바벨론 혹은 로마 제국에 대한 저항을 출애굽 모티프로 볼 수 있는가?

#5
요한계시록 17-18장의 바벨론이 로마가 아니라면 미래에 등장할 바벨론을 예시한다는 의미인가?

#6
바울은 로마 문화에 타인을 위한 죽음이 있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그러한 전통을 활용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내가 아는 한도 내에서, 특히 요한복음에서는 예수의 죽음과 로마 문헌의 타인을 위한 죽음을 동일시할 수 없다. 과연 바울이 두 죽음을 동일시했다고 볼 수 있는가?

'끄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년 발표 활동 계획  (0) 2023.11.20
설교자와 청중  (0) 2023.11.16
학술대회의 다른 쓸모  (0) 2023.11.04
공간 활용과 디테일  (0) 2023.11.02
목자-양 비유의 역사 연구에 관한 지도 교수의 답장  (0)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