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예수를 보고자 했으나 무리들이 앞을 가려 볼 수 없게 되자, 삭개오는 예수가 지나가게 될 곳에 위치한 돌무화과나무(συκομορέα)를 행해 달려가 그 위를 오른다.[1]“이러한 품위 없는 행동은 그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닌 그 무언가에서 비롯되었음을 보여준다.[2] 삭개오의 예상치 못한 행동에 담긴 의미는 단어 배열을 통해서도 강조된다. εἰς τὸ ἔμπροσθεν은 중복적인 표현이지만,[3]προδραμὼν의 의미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4]즉 중복적인 표현을 통해서 삭개오의 행동을 부각시킨다. 무리에 의해 예수를 볼 수 없었다고 해서, 삭개오는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행동한다. 이러한 삭개오의 행동은 앞 단락의 소경을 떠오르게 한다. 소경은 예수께서 지나가신다는 말을 듣고, 고침을 받기 위해 “다윗의 자손 예수여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라고 외쳤으나, “앞서 가는 자들이 저를 꾸짖어 잠잠하라”고 했다(18:37-39).그러나 소경은 더 크게 외쳤고, 예수께서는 소경에게 소원을 물으셨고, 그의 대답을 들으신 후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느니라”고 말씀하셨다(18:42).소경은 예수께로 나왔고, 앞서 가는 자들의 방해에도 예수를 만나 믿음으로 구원(σῴζω) 받았다. 소경과 마찬가지로, 삭개오 역시 예수께로 나왔고 무리들의 방해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의 행동은 분명 예상 밖이다. 하지만, 이러한 행동에도 그의 믿음이 반영되어 있다.[5]예수께서 앞선 자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자신에게로 나온 소경의 믿음을 보셨듯이, 삭개오의 믿음을 보시고 그를 구원(σῴζω) 시켜주실 것이다(10).


[1] Bock, Luke 9:51-24:53, 1517;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2] Stein, Luke, 467.

[3]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4] Plummer, A Critical and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Gospel According to St. Luke, 433.

[5] Stein, Luke, 467.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9장 6절 주해  (0) 2011.08.16
누가복음 19장 5절 주해  (0) 2011.08.10
누가복음 19장 3절 주해  (0) 2011.08.02
누가복음 19장 2절 주해  (0) 2011.07.26
누가복음 19장 1절 주해  (0) 2011.07.25
,

예수께서 여리고에 오셨다는 소식을 들은 삭개오는 예수가 어떤 사람인지 보려고 했다.[1] 본문에는 삭개오가 예수를 보려고 한 이유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아마도 예수에 대한 소문이 삭개오의 호기심을 자극했을 것이다.[2] 다시 말해, 당시 유명 인사였던 예수에 대해서는 소식들을 통해 익숙히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개인적인 친분은 없었으므로, 호기심이 작용했을 것이다.[3] 다만, 동사 ζητέω 10(ἦλθεν γὰρ ὁυἱὸς τοῦ ἀνθρώπου ζητῆσαι καὶ σῶσαι τὸ ἀπολωλός)에도 사용되었으므로, 누가가 예수의 사역과 관련지어 생각하도록 의도했다고 짐작할 따름이다.[4] 하지만 삭개오는 두 가지 장애물에 부딪힌다: 한 가지는 예수를 둘러싼 무리들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작은 키이다.[5] 삭개오는 몰려든 사람들이 자신의 앞을 가리는 바람에 도저히 예수를 볼 수 없었고, 더 큰 장벽은 그의 키가 보통 사람들 보다 작았다는 것이다.[6]여기서 ἡλικία는 실제적인 키를 의미하지만(참조 눅 2:52),[7]죄인 취급을 받았으므로(7), 삭개오는 “부와 직위에도 불구하고 무리들을 지나 예수 앞에 나올 수 없었던 사회적으로 소외된 작은 자(littleness)[8]였다고 볼 수 있다. 삭개오의 왜소한 체구와 세리라는 직업은, 사람들이 그를 신체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작은 자로 여기도록 작용했다.[9] 삭개오는 예수와의 거리적 간격만큼이나 소외당했던 인물이었다.[10] 그렇다고, 여기에 모인 무리가 예수를 보려는 삭개오의 시도를 의도적으로 차단한 것은 아니었다.[11]예수께서 가시는 곳마다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으므로(5:1, 15, 19; 6:17, 19; 7:9, 11; 8:4, 19, 40, 42, 45; 9:11, 37; 11:14, 27, 29; 12:1; 14:25; 18:36; 19:39; 23:48), 앞에 서있던 사람들이 유난히 키가 작았던 삭개오의 시야를 가리는 건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는 삭개오를 죄인으로 여기고, 그의 집에 머무르시려는 예수님께 불평까지 하는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다(7).



[1] Bock, Luke 9:51-24:53, 1517.

[2]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Stein, Luke, 467.

[3] Bock, Luke 9:51-24:53, 1517.

[4] Johnson, The Gospel of Luke, 285.

[5] Bock, Luke 9:51-24:53, 1517.

[6] Stein, Luke, 467; Norval Geldenhuy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79), 470.

[7]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8] Nolland, Luke 18:35-24:53, 907.

[9] Green, The Gospel of Luke, 670; Nolland, Luke 18:35-24:53, 907.

[10] Bock, Luke 9:51-24:53, 1517.

[11] Green은 의도적이라고 본다(The Gospel of Luke, 670).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9장 5절 주해  (0) 2011.08.10
누가복음 19장 4절 주해  (0) 2011.08.04
누가복음 19장 2절 주해  (0) 2011.07.26
누가복음 19장 1절 주해  (0) 2011.07.25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

καὶ ἰδοὺ는 셈어적 표현으로,[1] 청자/독자의 주의를 끌어들이기 위한 기법이다.[2] 새 글 여는 공식(introduction formula)이기도 하다.[3]καὶ ἰδοὺ ἀνὴρ은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킬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5:12; 9:38; 23:50; 8:27; 10:30).[4] 여기에서는 삭개오를 등장시키며 세리장이자 부자로 소개하고 있다.[5] 누가복음에서는 ὄνομα 혹은 καλέω + 이름으로 사람을 언급하는데,[6]두 단어를 같이 쓰는 경우는 누가복음 1:13καλέσεις τὸ ὄνομα αὐτοῦ Ἰωάννην와 같이 이름을 지어줄 때이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사람을 소개하는데 ὀνόματι καλούμενος라는 표현을 사용했으므로, 중복적인 표현(pleonastic)이라 할 수 있다.[7]이러한 중복적인 표현은 “삭개오의 이름에 특별한 주의를 끌려는데 목적이 있을 것이다.[8] Ζακχαῖος는 의로운 자(Righteous One)라는 의미의זַכַּי에서 유래되었고,[9]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대인이다.[10]직업은 세리장(ἀρχιτελώνης)으로 세리들을 관리하고 여리고 지역의 세금 징수를 책임지는 역할을 맡았을 것이다.[11]그리고 삭개오는 부자이다. 인칭대명사의 주격은 대조 혹은 강조를 위해 사용되므로,[12]여기에서 αὐτὸς는 삭개오가 세리장이자 부자라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참조 17:16).[13]이러한 진술은 그가 세리장이라는 직업을 통해 부자가 되었음을 암시하려는 듯싶다.[14]여리고는 무역중심지이자 지방세무서였으므로, 세리장이었던 삭개오는 로마정부로부터 막대한 수수료(commission)를 받아 부자가 되었을 것이다.[15]하지만 세리장이자 부자(καὶ αὐτὸς ἦν ἀρχιτελώνης καὶ αὐτὸς πλούσιος)라는 소개는 삭개오가 자신의 직위를 악용하여 부자가 된 인물로 그려지도록 한다.[16] 실제로 그는 죄인 취급을 받았다(7). 이러한 소개는 그의 이름의 의미를 무색하게 만든다.[17]하지만 세리장인 삭개오의 등장은 청자/독자들로 하여금 예수의 반응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18]예수는 세리들의 친구이기 때문이다(7:34).[19] 더구나 삭개오는 부자였으므로 부자 관원에서 제기되었던 질문이 떠오르도록 한다: “그런즉 누가 구원을 얻을 수 있나이까”(18:26).[20]사실 삭개오에 대한 소개는 긍정적인 동시에 부정적이다. 당시 사람들과는 정반대되는 평가이지만, 누가는 세리를 긍정적으로(3:12; 5:27; 7:29; 15:1; 18:10),[21]부자는 부정적으로 본다(16:22-23; 18:23). 일례로 부자 관원은 어려서부터 계명을 다 지켜왔다고 했으나, 예수의 요청에는 근심할 따름이다(18:21-23).부자 관원에게 있어 부는 예수의 명령에 순종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인 것이다.[22]또한 부자 관원의 태도(18:21)는 바리새인과 세리의 비유(18:9-14)에서의 바리새인과 평행된다.[23] 이 비유에서 바리새인은 자신을 의롭게 여기지만(18:11-12), 예수께서는 이러한 바리새인들의 태도를 비난하셨다(16:14-15; 18:9-14).[24] 부자 관원은 예수께서 언급하신 계명은 어려서부터 지켜왔다고 답하지만, 그에게 부족한 것이 있다(18:20-22). 그래서 예수께서는 다음과 같이 명령하신다: “네게 있는 것을 다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눠 주라”(18:22). 하지만 부자 관원은 예수의 말씀에 근심하였다(18:23). 비록 예수께서 언급한 계명은 다 지켰다고 대답했지만, 재물에 대한 탐욕은 버리지 못한 자이다(18:23). 그래서 예수께서 부자는 천국에 들어가기 어렵다고 말씀하셨다(18;24-25). 그렇다면 세리장이자 부자인 삭개오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BDF §442.

[2]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3] Francois Bovon, Luke 1: A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1:1-9:50, trans. Christine M. Thomas, Hermeneia (Minneapolis, MN: Augsburg Fortress, 2002), 173.

[4] 이 밖에 καὶ ἰδοὺ ἄνδρες5:18; 9:30; 24:4; 1:10

[5] Bock, Luke 9:51-24:53, 1516.

[6] ὄνομα 8(1:5, 27; 2:25; 5:27; 8:41; 10:38; 16:20; 23:50), καλέω 2(1:60; 10:39) 사용되었다.

[7] Nolland, Luke 18:35-24:53, 907; O Hanlon, The Story of Zacchaeus and the Lukan Ethic, 12.

[8]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O Hanlon, The Story of Zacchaeus and the Lukan Ethic, 12.

[9] Bock, Luke 9:51-24:53, 1516; Godet,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216;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Stein, Luke, 468; OHanlon, The Story of Zacchaeus and the Lukan Ethic, 12; Christopher F. Evans, Saint Luke, TPI New Testament Commentaries (London: SCM Press, 1990), 661.

[10] Bock, Luke 9:51-24:53, 1517; Godet,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216;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O Hanlon, The Story of Zacchaeus and the Lukan Ethic,12.

[11]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12] BDF §277.

[13] 17:16에서 누가는 한센병을 치유 받은 열 사람 중에서 예수님 앞에 엎드려 경배한 자가 이방인 취급을 받는 사마리아인이었다고 밝힌다.

[14] Bock, Luke 9:51-24:53, 1516; Evans, Luke, 282; Fitzmyer,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X-XXIV, 1223;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OHanlon, The Story of Zacchaeus and the Lukan Ethic, 12.

[15] Bock, Luke 9:51-24:53, 1516.

[16]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O Hanlon, The Story of Zacchaeus and the Lukan Ethic, 12.

[17] Bock, Luke 9:51-24:53, 1516.

[18]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19]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6.

[20] Frederick W. Danker, Jesus and the New Age: A Commentary on St. Lukes Gospel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8), 304.

[21] Bock, Luke 9:51-24:53, 1513 n.2.

[22] Bock, Luke 9:51-24:53, 1483; Danker, Jesus and the New Age, 304.

[23] Bock, Luke 9:51-24:53, 1473.

[24] Bock, Luke 9:51-24:53, 1473.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9장 4절 주해  (0) 2011.08.04
누가복음 19장 3절 주해  (0) 2011.08.02
누가복음 19장 1절 주해  (0) 2011.07.25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

예수께서 여리고에 들어가 예루살렘을 향해 지나가시고 계셨다.[1]여리고는 예루살렘을 향해 가는 길목이다.[2] 따라서 여리고는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여행 에피소드의 절정에 해당한다.[3] 또한 누가는 여리고라는 지형을 중심으로 맹인 이야기(18:35-43)와 삭개오 이야기(19:1-10)를 연결 짓는다.[4] 맹인 이야기는 삭개오 이야기를 위한 도입부 역할을 하므로,[5] 서로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더욱이 이 이야기는 누가복음에만 나타나는 고유한 자료이므로,[6]누가의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1]Bock, Luke 9:51-24:53, 1516.

[2] Bock, Luke 9:51-24:53, 1516.

[3] Joel B. Green, The Gospel of Luke,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97), 668.

[4] Marshall, The Gospel of Luke, 695; Johnson, The Gospel of Luke, 285.

[5] Johnson, The Gospel of Luke, 283.

[6] Johnson, The Gospel of Luke, 285.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9장 3절 주해  (0) 2011.08.02
누가복음 19장 2절 주해  (0) 2011.07.26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예수 시대의 여리고  (0) 2008.08.08
,

James J. Tissot, detail from "Zacchaeus in the Sycamore Awaiting the Passage of Jesus" (1886-1896), watercolor, Brooklyn Museum, New York.

누가복음 주석서들을 읽다보면, 삭개오 이야기(19:1-10)에서 동사 δίδωμιἀποδίδωμι를 미래적 현재로 해석하는 경향이 발견된다. 이러한 경향을 보이는 학자들은 본문에 사용된 형태에 따라 습관적 현재로 해석해야 하지만, 그렇게 할 경우에 부딪히게 되는 해석의 어려움을 이유로 미래적 현재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자신의 경향을 정당화한다.[1]

이 동사는 예수를 만난 결과 삭개오의 회개와 믿음을 반영하기 때문에 동사는 현재 결심의 뜻으로 이해하는 게 더 적당해 보인다. 행동이 구체적인 표현에서 믿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믿음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행동이 믿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며,이러한 행동은 죄인인 한 여인(7:36-50)의 경우만큼이나 세례 요한의 가르침이 생각나도록 한다. 사실, 19:9-10에서 구원과 잃어버린 자에 대한 구원에 대한 예수의 언급은 사실상 그들이 마음을 바꾸었다고 간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동사들을 현재의 행위가 아닌 미래의 결심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삭개오의 예수와의 만남은 그의 돈을 처리하는 방식을 바꿨다⏤사람들에게서 이익을 챙기는 것에서부터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까지.[2]


8절은 세리장으로서 세금을 토색해온 과오를 반성하고,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는데 자신의 재물의 절반을 내놓으며, 앞으로 토색하는 일이 발생할 경우에는 네 배로 갚아주겠다는 고백이라는 것이다. 본문에서도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는 듯이 보인다.세리장인 동시에 부자라는 소개는 삭개오가 세리장이라는 지위를 남용하여 부자가 되었고(2),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은 삭개오를 죄인으로 여긴다(7). 무엇보다, 10절에서 예수께서 잃어버린 양을 위해 오셨다는 말씀은 15:1-7를 연상시키서 회개하는 죄인으로 해석하도록 만든다. 이렇든 미래적 현재로의 번역은 해석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며, 결국에는 삭개오의 회심으로 초점을 맞추게 된다.

하지만, Crag A. Evans는 본문에 삭개오의 회개에 대한 단서가 없으며, 무엇보다 원문은 습관적 현재로 해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며 미래적 현재의 해석에 의문을 제기한다.[3] Evans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습관적 현재에 따른 해석도 제시한다.

8절에 더욱 적절한 해석은 “죄인”인 세리에게 청하시고 그와 식사하려는 예수의 의도에 불평하는 군중(7)을 향한 삭개오의 진술을 즉각적인 변론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삭개오는 무런 이유 없이 단지 그의 직업 때문에 죄인이라 불리는 비꼼(sting)에 대한 반응이다. 사실상 그는 다른 세리들이 시민들을 속이고 착취한다지만, 삭개오 자신은 정기적으로 가난한 자들에게 기부를 하고 있고 (뜻하지 않게) 더 많은 돈을 걷었을 때 마다 (반드시 “토색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항상 네 배로 갚아주고 있다고 변론한다.

9절에서 예수께서는 삭개오가 진정한 아브라함의 아들이라고 선언하신다. 그 이유는 그의 공정한 행동(3:12-13에 기록된 세례 요한의 세리들을 향한 충고를 떠오르게 한다) 때문으로 이러한 행위는 신실한 마음을 암시하며, 이러한 마음은 하나님 나라의 초대에 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는 아브라함의 아들이기 때문에, 그가 예수를 환영하는 모습이 입증하듯이,구원이 그의 집에 이르렀다 (경멸 받는 세리의 집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다시 우리는 추방된 자들과 부당한 전제와 종교적인 위선 때문에 해를 당하는 자들을 옹호하는 역할을 맡은 예수를 보게 된다.[4]


이렇듯 습관적 현재에 따른 해석은 모든 사람들이 삭개오를 죄인으로 취급한 이유(7)와 예수께서 삭개오를 아브라함의 자손이라고 말씀하신 이유(9) 그리고 잃어버린 양 비유(10)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보아야 한다. 즉 이러한 해석을 따를 경우 삭개오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완전히 새롭게 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동사 δίδωμιἀποδίδωμι를 미래적 현재냐 습관적 현재냐 하는 사소해 보이는 문제에서 시작하지만, 주해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대단하다.

여기서 해석자는 두 가지 해석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하지만, 어떤 선택을 하든 해석자의 선택이 저자의 의도에 부합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는 없다. 그래서 이 연구의 목적은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에 나타난 누가의 동사δίδωμιἀποδίδωμι의 용례를 분석하여 두 동사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 연구하고, 그에 따른 본문의 해석을 제시하는데 있다.


[1] 대다수의 학자들이 이러한 견해를 따르며, 대표적인 인물로는, Darrell L. Bock, I. H. Marshall, Robert H. Stein 등이 있다.

[2] Darrell L. Bock, Luke 9:51-24:53,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Baker Books, 1996), 1520.

[3] Craig A. Evans,Luke,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Vol. 3 (Peabody: Hendrickson Publishers, 1990), 280.

[4] Evans, Luke, 280. Evans의 강조.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9장 2절 주해  (0) 2011.07.26
누가복음 19장 1절 주해  (0) 2011.07.25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예수 시대의 여리고  (0) 2008.08.08
삭개오 연구의 목적  (0) 2008.07.31
,

19:1-10

한 세리의 회개

19:1-2 여리고는 국경 도시였기 때문에 세관이 있었다. 또한 유대에서 가장 비옥한 지역 안에 헤롯의 왕궁이 자리하고 있는, 팔레스틴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 중 하나였으므로, 다른 세입 역시 매우 많았을 것이다. 세리은 판매세 및 관세를 청부 맡고 자기 밑에 세리들을 고용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삭개오는 이러한 지위에 있었으므로, 부정을 저지르지 않아도 부자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어쨌든지 부정을 저질렀던 것 같다(19:8)

19:3-4 삭개오가 고대 지중해의 기준으로 보아 키가 작다는 것은 아마도 150센티미터 이하였다는 의미일 것이다. 연중 쾌적한 기후였던 여리고는 특별히 종려나무로 유명했으나, 뽕나무를 포함해서 다른 나무도 많이 자라고 있었다. 여기에 묘사된 뽕나무는 무화과나무의 일종으로, 올라가기가 쉬웠다. 이것은 북미의 뽕나무나 유럽-아시아의 단풍나무가 아니다. 구약에 나오는 여리고에는 다닥닥닥 붙은 집이 많이 있었으나, 신약 시대의 번창하던 도시 여리고에는 널찍한 교외 주택과 공원이 있었으며, 지붕보다 나무 위에 올라가는 것이 더 쉬웠다.

19:5 아무리 지위가 높은 사람이라 해도 보통 스스로 다른 사람의 집에 들어가겠다고 하지 않았다. 또한 경건한 유대인은 세리의 집에 들어가거나 그의 음식을 먹는 것(예수의 말에는 이것 역시 암시되어 있다)을 몹시 싫어했을 것이다. 세금을 거둘 정도로 불경건한 사람이라면 자신이 먹는 음식에 대한 십일조를 드리는 일에 신중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바리새인은 그가 제공하는 음식을 신뢰하지 않았을 것이다. 유대인은 보통 선지자만이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사람의 이름을 부를 수 있는 능력 — 예수님이 여기에서 삭개오에게 하셨듯이 — 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다.

19:6-8 삭개오가 은혜를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받은 은혜에 대한 반응으로 배상을 한다는 사실은 예수님의 사역과는 조화를 이루지만 당시의 일반적인 견해와는(그리고 사실상 우리 시대의 견해와도) 달랐다. 배상을 하겠다는 약속은 그의 지능적인 범죄 역시 다른 종류의 도둑질과 마찬가지로 중한 죄임을 인정하는 것이다(22:1-4). 그가 약속한 배상은 바리새인의 율법에서 규정한 양보다 훨씬 많았다. 팔레스틴 법은 단지 훔친 소와 양을 죽이거나 판 경우 그리고 충분한 수의 사람들이 그 행동을 증거할 때에만 네 배나 다섯 배의 배상을 하도록 요구한다. 제자도에대한 고대의 기사를 보면 소유에 대해 급진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교사에 대한 분명한 헌신의 표시였다.

19:9-10 대부분의 유대인은,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 아브라함의 자손이기 때문에 극악한 범죄로 말미암아 스스로 배제된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구원받는다고 믿었다. 에스겔 34:6, 11에서 하나님은 잃어버린 양을 찾아나서는 임무를 대신 수행하셨다. 유대인 지도자들이 그 일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참고. 솔로몬의 지혜서 6:16)


* IVP 성경배경주석 신약 p. 278-279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복음 19장 1절 주해  (0) 2011.07.25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예수 시대의 여리고  (0) 2008.08.08
삭개오 연구의 목적  (0) 2008.07.31
교부들이 본 삭개오  (0) 2008.07.30
,
삭개오가 속한 여리고는 세리로서 고수익이 보장되는 곳이다. 또한  비옥한 발삼(balsam) 과수원들이 셀 수 없이 많은 데다가 왕국의 겨울 수도이기도 하다.

Kelso, J. L. Jericho. In The Interpreters Dictionary of the Bible: An Illustrated Encyclopedia
. Vol. 2. Nashville: Abingdon, 1962. 839

헤롯 1세가 통치하기 이전에 이미 야자수와 장원 등을 갖춘 작은 파라다이스였다. 헤롯 대왕과 그의 아들 아르케라우스는 이 도시를 더욱 아름답게 만들었다. 웅장한 겨울 궁전을 여기에 지었고, 극장, 경마 전차 경주 경기장도 갖추었다. 몇몇 거리에는 돌무화과나무들이 줄지어있었다. 기후는 적절했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에게 이 도시를 애정의 표시로 주지 않았을까?

 

William Hendriksen, Gospel of Luke, New Testament Commentary (Edinburgh: Banner of Truth Trust, 1979), 853

여리고는 가이사랴, 가버나움과 함께 팔레스틴 지역의 3 대 주요 세무서이다. 여리고는 발삼 나무에서 재배되는 발삼으로 유명하다. 요세푸스(Antiquities ⅩⅤ.96)가 발삼을 그 곳에서 가장 귀중한 것이라고 할 정도이다. 로마 정부에서는 이 상품과 그 여리고 지역에 풍부한 상품들을 거래에 높은 세금을 내도록 했다. 게다가, 여리고는 광대한 무역로의 심장이나 중심지이다. 이 도시는 다마스쿠스, 두레, 그리고 시돈에서 북쪽까지, 가이사랴와 요파에서 서쪽까지, 그리고 이집트에서 남쪽까지, 그외 많은 도시와 국가들을 포함하여 사방이 무역로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삭개오는 중요한 인물이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세리들 (세리장도 포함)은 매국노요 사기꾼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이 사람의 이름은 의로운 자라는 의미이다.

 

William Hendriksen, Gospel of Luke, New Testament Commentary (Edinburgh: Banner of Truth Trust, 1979), 855

 

그 당시 여리고는 부요하고 번성하고 있는 도시로, 엘리사와 다른 수원(水源).들로 관개 시설을 갖추었고, 푸른 잎과 꽃이 가득한 오아시스였으며, 발삼과 자두대목(myrobalanum), 꿀 등이 풍부한 향수의 도시이자, 장미빛 도시이며, 하나님의 천국이었다. 여기에 제사장들이 모여 살았는데, 이들은 아론의 후손 가운데 다윗의 자손이 나오기를 기대했다.

 

R. C. H. Lenski, The Interpretation of St. Lukes Gospe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Hendrickson, 2001), 936

여리고에는 중요한 세관(custom house) 가운데 하나가 위치하고 있다. 오아시스이고 향유를 열방에 수출했으며, 요르단 강과 사해 동쪽지역에서 유대 지역과 이집트에 이르는 경로에 위치하고 있었기에 상당한 왕래가 있었다.

 

Frederick Louis Godet,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Classic Commentary Library (Grand Rapids: Zondervan, 1887), 216

 

여리고는 트랜스 요르단(Trans-Jordan, 요르단 왕국의 옛 이름)에서 예루살렘까지 이르는 주요 도로에 위치하고 있어서, 관세를 걷는 세리들이 많이 있었다. 이들 가운데 세리장인 삭개오는 이미 스스로 부자가 되었다(아마도 합법적인 방법과 불법적인 방법 모두 사용하여).

 

Norval Geldenhuy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79), 469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삭개오 연구의 목적  (0) 2008.07.31
교부들이 본 삭개오  (0) 2008.07.30
삭개오의 정체  (0) 2008.07.21
,

필자는 삭개오 이야기(눅 19:1-10)를 연구하여 다음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연구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도록 하겠다.

1. 삭개오는 과연 죄인인가?
2. 8절의 di,dwmiavpodi,dwmi는 습관적 현재인가 미래적 현재인가?
3. 예수께서 선포하신 구원의 의미는 무엇인가?


1. 삭개오는 과연 죄인인가?
삭개오는 세리장이고, 부자이다. 세리장이 부자라면 어떻게 생각하게 될까? 세리는 로마 법에 따라 세금을 징수하는 사람들로 자신의 부 축적을 위해 정해진 세금 외에도 갖가지 명목으로 토색하곤 했으니, 삭개오가 세리장이고 부자라는 설명은 그가 실제로 어떠한 사람이든 상관 없이 부정적으로 인식되도록 한다. 로마 치하에서 세리장이라는 직분을 갖었고, 대부분의 세리들이 재산 증식을 위해 동족들을 탄압했으니,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있어 삭개오는 한국인들에게 친일파가 주는 인상과 비슷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 때문에 삭개오 이야기는 회심과 구원으로 해석된다. 삭개오는 죄인이며(7절), 예수께서는 잃어 버린 것을 찾아 구원하러 오셨기 때문이다(10절).

하지만, 이러한 견해가 단지 우리들의 선입견(혹은 편견)으로 인해 왜곡되어 버린 해석이라면? 이번에는 세리에 대한 일반적인 선입견을 버리고 삭개오가 어떻게 부자가 되었을지 생각해보도록 하자. 본문이 제공하는 정보(여리고, 세리장)에 따르면, 다음 세 가지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1) 토색
2) 상납
3) 세금 수수료

대체로 토색을 생각한다. 세리는 탐욕자이며, 동족들의 재산을 착취한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요세푸스의 유대전쟁사에 따르면, 가이사랴의 세리였던 요한은 뇌물을 주고 회당에 들어가려고 한 플로루스를 유대 공동체의 지도자들과 함께 저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분명 요한은 복음서에 기록된 세리들처럼 공동체로부터 배척 당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가 돈을 벌게 되자 더 이상 공동체에 기여할 수 없게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은 중요한 정보를 준다. 로마 치하에서 세리라는 직업은 명예스럽진 않지만, 유대 공동체 일원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는 점, 그리고 부자가 되면 배척당한다는 점이 아주 중요하다. 세리들이 부자가 되면 자연스레 토색 행위로 돈을 모았다고 짐작하고, 율법에 의하면 토색 행위는 동족을 해치므로 공동체에서 배척당하게 된다. 문제는 정당하게 돈을 번 세리라도 동일한 취급을 당한다는 사실이다.
상납으로 부자가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삭개오는 세리장이었으므로, 여러 세리들로부터 상납을 받았다면 충분히 부자가 될 수 있다. 삭개오가 비록 토색행위를 하지 않았다 할지라도, 부하들은 상납을 위해 토색행위를 할 수 밖에 없다. 상납을 받았다는 건 그가 토색행위를 했든 않했든 암묵적으로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세금 수수료만으로 부자가 되었을 가능성이다. 많은 학자들이 놓치고 있지만, 여리고는 그 당시 3대 무역 도시였다. 이 사실이 중요한 이유는, 세금 수수료만으로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활발한 무역이 행해지는 도시인 여리고에서 세금 수수료만으로 부자가 될 가능성은 충분하다. 그것도 삭개오는 세리장이 아닌가. 때문에 필자는 이러한 견해를 제시한다. 삭개오는 정당하게 돈을 벌어 부자가 되었을 것이다. 무리들이 그를 죄인이라고 한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요한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세리가 부자되었을 때는 토색을 했을 것이라는 편견 때문이다.

여기서 삭개오가 “만약 누군가의 것을 토색하였다면 네 배로 갚아주고 있습니다.”라고 말이 자신이 과거에 토색했음을 암시한다고 보는 견해에 대해 언급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삭개오의 조건은 자신의 행위을 암시적으로 시인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 삭개오의 말은 문자 그대로 조건일 따름이다. 자신이 토색 행위에 대한 암묵적인 고백이 아니라 (다소 껄끄럽게 들리겠지만) 자신의 정당성을 표현하는 말이다. 즉 자신은 토색하지 않았다는 항변이다. 그렇다면 왜 네 배인가? 여기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지만, 필자는 다윗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으로 보고 있다(참조 삼하 12:6).


2. 8절의 di,dwmiavpodi,dwmi는 습관적 현재인가 미래적 현재인가?
이 문제는 통계로 접근해야 한다. 누가는 현재를 습관적 현재로 사용하는지, 미래적 현재로 사용하는지 통계를 내야 한다. 짐작하기로는 습관적 현재로 사용한다고 보고 있다. 사실, 미래적 현재로 해석하는 학자들 조차도 문자적으로는 습관적 현재로 본다. 다만,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미래적 현재로 번역할 따름이다. 삭개오의 행위를 규명하려면 통계로 접근하는 게 가장 확실하다.


3. 예수께서 선포하신 구원의 의미는 무엇인가?
예수께서는 삭개오를 구원하신다. 하지만, 여기서 구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고민해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듯이, 예수를 주라고 시인할 때 받는 구원을 의미하고 있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비록 이러한 해석이 지배적이긴 하지만, 여기에서 구원은 공동체로의 복귀를 의미할 가능성이 있다. 이스라엘에서 죄인들은 공동체에서 배척 당했다. 율법에 의해 병든 자, 창녀, 세리 등이  죄인으로 정죄했는데, 이는 매우 극심한 형벌이다. 삭개오는 유대인이지만, 세리장이라는 직업 때문에 죄인으로 분류되고 공동체에서 추방되었다. 여러 차례 강조했듯이 부자가 된 세리이기 때문에.


필자가 제시한 견해에 따르면, 삭개오는 의인이다. 그는 정당하게 부자가 되었다. 또한, 다윗의 사례를 언급할 만큼 구약에 대해서도 해박하다. 하지만, 그 당시 편견으로 인해 죄인으로 취급 받았다. 예수께서는 부당하게 취급 받고 있는 삭개오를 회복시켜주신다. 죄인라고 멸시 받고 공동체에서 추방 당한 삭개오를 회복시켜 주신다.

문제는 이러한 견해를 뒷받침할 근거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치밀하게 설득하는 작업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다. 자료들을 읽으면서, 많은 학자들이 전통적인 해석에 손을 들어준 이유를 알듯 싶다. 편견도 문제지만, 본문 자체가 서로 엇갈리는 해석을 가져오기 때문에 삭개오의 정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쉽지 않기에, 좀더 그럴듯한 결론에 도달하도록 해석했을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그럴듯한 해석이 아니라 본문이 의도한 해석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앞으로 쉽진 않겠지만, 열심을 다해 준비하고자 한다.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예수 시대의 여리고  (0) 2008.08.08
교부들이 본 삭개오  (0) 2008.07.30
삭개오의 정체  (0) 2008.07.21
,

삭개오는 세리들의 우두머리로, 유일한 목표가 재산 증식이었던 탐욕을 완전히 포기한 사람이다.
- 알렉산드리아의 시릴(Cyril of Alexandria)

"모든 부자들은 악한 자 이거나 악한 자들의 후손이다."라는 철학자의 말은 진리이다. 그래서 주와 구원자는 부자가 하늘 나라에 들어가기 어렵다고 말했다. 누군가가 "부자인 삭개오가 어떻게 하늘 나라에 들어갑니까?"라고 의문을 제기할 것이다. 그는 자신의 재산을 포기했고 즉시 하늘 나라의 부로 대체했다. 주와 구원자는 부자가 하늘 나라에 들어갈 수 없다고 말하지 않고 들어가기 어렵다고 말했다.
- 제롬(Jerome)


참고문헌
Just, Arthur. A., Luke, Ancient Christian Commentary on Scripture NT, Vol. 3,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2005.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예수 시대의 여리고  (0) 2008.08.08
삭개오 연구의 목적  (0) 2008.07.31
삭개오의 정체  (0) 2008.07.21
,

1. 이름의 유래와 의미

Zakcai/oj는 히브리어 זַכַּי (Zakkai):에서 유래되었다. 이 사람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히브리어로는 의로운 자(Righteous One)라는 의미이다.

 

2. 현재형 용법에 따른 해석문제

삭개오는 통념대로 민족을 배신하고 자신의 이익만 챙겨온 자인가? 아니면 편견에 시달린 의인인가? 이렇듯 서로 엇갈리는 평가는 동사 di,dwmi(주다)avpodi,dwmi(돌려주다)습관적 현재(customary present) 용법인지, 아니면 미래적 현재(futuristic present) 용법으로 쓰였는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용법에 따른 번역

1) 습관적 현재: 제 재산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고 있으며, 만약 누군가의 것을 토색하였다면 네 배로 갚아주고 있습니다.

2) 미래적 현재: 제 재산의 절반을 주고 만약 누군가의 것을 토색했다면 네 배로 갚아주겠습니다.

 

습관적 현재일 경우, 9절에 기록된 예수의 말씀은 삭개오의 회심을 진술한다기 보다는 그의 신앙을 입증으로 해석된다. 반면에, 미래적 현재일 경우에는 예수와의 만남으로 회심하여 결단하는 내용으로 해석된다.

 

3. 대립되는 의견들

 

1. 습관적 현재로 해석

Alfred A. Plummer, Craig A. Evans, Frederick L. Godet, Joseph A. Fitzmyer 등이 습관적 현재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운데 Evans의 견해를 살펴보도록 하자.

 

Evans
이전 에피소드에서는 이스라엘에서 종교적으로 배척당한 자들의 시력과 믿음을 회복시키시는 예수의 치유하시는 손길을 보았다. 이 에피소드에서는 물리적인 문제가 아닌 직업으로 인한 죄 때문에 배척 당하는 자를 회복하는 또 다른 예를 다루게 된다. 여리고를 지나가기는 동안, 예수께서는 부자이면서 세리장삭개오라는 자를 만나신다. 그는 (자신에게는 품위가 떨어지는 행동이지만) 뽕나무에 오를 만큼 예수를 보고자 했다. 놀라게도 예수께서는 군중 중에서 자신을 대접할 사람으로 삭개오를 지목하신다. 이러한 선택에 대한 반응으로 사람들불평하기 시작하는데, 그들이 보기에 예수는 죄인의 집에 머물고자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매우 순간적인 것으로 간주되거나, 아니면 아마도 저녁 식사 후에 예수님과의 대화 중에, 삭개오가 서서 8절에 기록된 대로 말한다: 이제 저는 제 재산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고, 만약 누군가의 것을 토색했다면, 네 배로 갚아주겠습니다. NIV는 삭개오가 마음의 변화를 겪었다는 인상을 준다: 더 이상 사람들을 속이지 않으며, 더 이상 가난한 사람들을 무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번역은 이 에피소드의 전통적인 해석을 확실하게 반영한다 (이러한 해석은 Marshall, pp. 694-99; Ellis, pp.220-21; Tannehill, pp.123-25). 이러한 관점은 삭개오 이야기를 회심 이야기로 본다. 부유한 세리는 그의 방식(물질주의, 부정직, 탐욕)이 잘못되었다고 보고 이제는 뉘우쳤다; 그리고 자신의 재산의 절반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고 상당수를 이전에 속인 자들에게 돌려주겠다는 약속은 그가 회개했다는 증거이다.

하지만, 전통적인 해석은 정확하지 않다. NIV에서 동사 givehere and now로 변경되었는데, 그리스 본문에는 없는 단어들이다. 이 단어들은 삭개오의 진술이 그가 말한 순간 효과가 발생하리라는 인상을 준다. 이제 현재형 진술은 삭개오의 습관으로 이해된다. 관계 없는 단어들이 번역에 추가되었을 뿐 아니라 동사 will pay back은 전혀 미래가 아니다; 현재형이다. 이 동사의 더욱 문자적인 표현은 보십시요, 주님, 제 재산의 절반을 가난한 자들에게 주고, 만약 누군가를 토색했다면 네 배로 갚아줍니다이다. 문자적인 번역은 삭개오의 진술이 반드시 새로운 행동을 나타낸다는 인상을 주지 않는다. 더구나, 삭개오의 진술이 저녁식사 이후에 말한 것으로 이해한다고 가리키지 않으며, 예수와 대화 동안 발생했다고 봐야 한다. 게다가, 삭개오가 죄를 자백했다는 단서가 없다(18:9-14의 세리의 경우처럼). 8절에 더욱 적절한 해석은 죄인인 세리에게 청하시고 그와 식사하려는 예수의 의도에 불평하는 군중(7)을 향한 삭개오의 진술을 즉각적인 변론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삭개오는 아무런 이유 없이 단지 그의 직업 때문에 죄인이라 불리는 비꼼(sting)에 대한 반응이다. 사실상 그는 다른 세리들이 시민들을 속이고 착취한다지만, 삭개오 자신은 정기적으로 가난한 자들에게 기부를 하고 있고 (뜻하지 않게) 더 많은 돈을 걷었을 때 마다 (반드시 토색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항상 네 배로 갚아주고 있다고 변론한다. 이러한 해석이 실제 그리스 본문 대로 가장 잘 이해하는 것이다 (참조 Fitzmyer, pp.1220-22).

9절에서 예수께서는 삭개오가 진정한 아브라함의 아들이라고 선언하신다. 그 이유는 그의 공정한 행동(3:12-13에 기록된 세례 요한의 세리들을 향한 충고를 떠오르게 한다) 때문으로 이러한 행위는 신실한 마음을 암시하며, 이러한 마음은 하나님 나라의 초대에 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 그는 아브라함의 아들이기 때문에, 그가 예수를 환영하는 모습이 입증하듯이, 구원이 그의 집에 이르렀다 (경멸 받는 세리의 집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서 다시 우리는 추방된 자들과 부당한 전제와 종교적인 위선 때문에 해를 당하는 자들을 옹호하는 역할을 맡은 예수를 보게 된다.

10절에서 예수님의 말씀은 단순히 삭개오 에피소드를 요약하는 것이 아닌 여행 내러티브의 절정에 도달하도록 하고 마무리 짓도록 하는 주제적 진술(thematic statement)로 이해해야 한다. (Fitzmyer [p. 1218]는 눅 19:10 15장 전체를 반복한다고 지적한다.) 종교적으로 비난하는 많은 사람들과 달리, 예수께서는 읽어버린 자들을 비난하지 않으시고, 외모(outward appearances)로 판단하지 않으신다. 예수께서는 종교인 사람과 비종교적인 사람, 건강한 사람과 병든 사람, 부자와 가난한 자 모두 회개하도록 부르신다.

 

2. 미래적 현재로 해석

Darrell L. Bock, Robert H. Stein 등이 미래적 현재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운데 Bock Stein의 견해를 살펴보도록 하자.

 

Bock
현재 시제는 삭개오의 현재 행실을 묘사한다(Godet 1875: 2.217; Fitzmyer 1985: 1220, 1225).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삭개오는 선량하고 공정하게 보이므로 죄인으로 취급하길 거부한다. Fitzmyer는 믿음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고 네 배로 되돌려주겠다는 언급 때문에 삭개오가 막 회개했다고 여긴다면, 장래의 토색 행위에 대한 보상을 분명히 예상하고 있었다는 결과를 가져오는 뜻밖의 장면이 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Plummer (1896: 435)는 삭개오가 예수께 자신에 대해 자랑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 견해는 παρχόντων (hyparchontōn)자산의 이례적인 기능으로 이해한다. 더욱이, 19:8b에 대한 Fitzmyer의 접근은 과거 행위를 되돌아보게 하는 토색 행위를 무시한다(물론 부정과거 συκοφάντησα, esykophantēsa, 내가 토색했다; 신약에서는 오직 이 구절과 3:14; BAGD 776 §2; BAA 1549 §2; Prov. 14:31; 22:16; 28:3; Nestle 1903). 부정과거를 완료 시제(만약 제가 누군가의 것을 토색하였다면)로 이해하고 Fitzmyer의 견해를 지지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 동사의 문맥이 더 어색해진다. 완료 동사는 Fitzmyer의 접근을 보다 설득력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Danker (1988: 305)는 군중은 삭개오를 죄인으로 여긴다고 언급했다. 만약 과거에 관용적으로 대했다면, 군중은 그에 대해 수군거리지 않았어야 한다. 그래서, Fitzmyer의 견해는 군중이 틀렸고, 세리의 관행대로 해오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예수를 만난 결과로 삭개오의 회개와 믿음을 반영하기 때문에 동사는 현재 결심의 뜻으로 이해하는 게 더욱 적당해 보인다(참조. 3:8; Plummer 1896: 435; Arndt 1956: 389; Klostermann 1929: 185; Marshall 1978: 69798; Creed 1930: 231; Nolland 1993b: 906). 행동이 구체적인 표현에서 믿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믿음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행동이 믿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러한 행동은 죄인인 한 여인(7:3650)의 경우만큼이나 세례 요한의 가르침이 생각나도록 한다. 사실, 19:9-10에서 구원과 잃어 버린 자에 대한 구원에 대한 예수의 언급은 사실상 그들이 마음을 바꾸었다고 간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동사들을 현재의 행위가 아닌 미래의 결심으로 받아들이도록 한다. 삭개오의 예수와의 만남은 그의 돈을 처리하는 방식을 바꿨다 사람들에게서 이익을 챙기는 것에서부터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까지.

문화적 배경은 삭개오의 약속의 한도를 보여준다. 유대사회에서는, 개인 소유의 20 퍼센트를 취하는 게 관례이다. 그 이상은 현명한 처사가 아니다(SB 4:54647; Danker 1988: 306; b. Ketub. 50a; Lachs 1987: 331 n. 6; 18:22의 주해 참조). 토색에 대한 법적 변상은 20%이지만( 5:16; 5:7), 삭개오는 모세의 율법이 도둑에게 부과한 형벌 보다 두 배나 가혹하다( 22:1 [21:37 MT]; 삼하12:6 [이 구절의 70인경은 일곱 배]; 비교 m. Ketub. 3.9). 이러한 의무는, 삭개오의 변화된 마음에 대해 감사한 마음의 표현을 보여준다(Ellis 1974: 221). 또한 네 배로 갚는 관습은 쿰란과 로마 법 관례이다(Mur 19.10, 이혼 서류 일자 a.d. 111 [DJD 2:105]; Creed 1930: 231; SB 2:250; Michel, TDNT 8:105 n. 154; Kerr 198687).

삭개오는 자신의 재산의 절반(μίσια, hēmisia)을 준다(BAGD 348; BAA 705; 이밖에 신약에서는 막 6:23; 11:9, 11; 12:14; 그리고 마카비서 상 3:34, 37; 토비서 10:10; BDF §164.5; BDR §164.5). 다른 기준들에 의하면 이러한 행동은 후하다. 부자 관원의 반응( 18:23)과는 완전히 대조적으로, 이러한 반응은 가난한 자들의 필요에 관심을 기울이는 누가의 경향을 반영한다(Arndt 1956: 388: 예수의 사랑은 두드러진 승리를 이룬다). 하지만 삭개오 역시 자신의 잘못에 대한 변상을 해야 한다: 만약 그가 누군가의 것을 토색했다면, 그는 네 배(τετραπλον, tetraploun; 신약에서는 여기에서만 쓰였다; BAGD 813; BAA 1622)로 갚아야 한다. 첫 번째 조건은 삭개오가 자신이 무언가를 토색했음을 깨달았음을 시사한다(Ellis 1974: 221; Plummer 1896: 435; 문법 참조 롬 5:17; 2:20; 3:1). 삭개오는 토색한 자들에게 변상하는 과제와 세리에 대한 거대한 과제를 꾀한다. 예수께서는 하나님에 대한 진정한 믿음의 증거인 그의 마음의 변화를 인정하시고 칭찬하신다. 그의 변화된 상태에서, 삭개오는 돈을 아낌 없이 다루는 방법에 대한 예를 보여주게 된다( 16:913; 딤전 6:610, 1718). 그의 행동은 눅 12:33에서의 권고를 생각나게 한다.

이러한 다짐을 결정하는 어려움은 많은 이들로 하여금 19:8을 삽입으로 여기도록 한다. 이들은 군중의 불평과 선생의 응답 사이의 강요에 주목하여 접근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또한 κύριος (kyrios, ), σταθείς (statheis, 서다), επεν πρός (eipen pros, 그에게 말하다), 그리고 παρχόντων (hyparchontōn, 재산)과 같은 누가 용어의 사용을 지적한다. 게다가, 동사가 누가의 주제인 회개를 강조하고 이야기의 원래 흐름를 방해한다고 주장한다(Leaney 1958: 241; Fitzmyer 1985: 1219). 하지만 법적 세부사항들의 중요성과 정확성은 이러한 반대들 보다 더 중요하다. Derrett (1970: 27885)은 법적 세부사항들이 이 이야기의 핵심이라고 지적한다. 이러한 문화에서, 부정한 수단으로 이득을 얻은 사람과의 식사는 그를 공범자로 만든다. 이러한 인물들을 향한 사회적인 배척은 그들을 방해물로 보기 때문이며(Nolland 1993b: 905), 이러한 사회적인 배척에 힘쓰는 것조차 허용한다(m. Ned. 3.4). 변상은 목자, 세리, 삯을 받는 농부(revenue farmer)들에게 강요된다. 회개에 이르기 쉽지 않음에도 불구에고 목자, 세리, 삯을 받는 농부(Restitution)들도 회복되어야 한다(b. B. Qam. 94b). 세리는 자신들이 다른 방식으로 증명하지 않으면(m. ohar. 7.6), 돈을 부당하게 취했다고 간주되어 부정한 자로 취급 받는다(m. B. Qam. 10.12). (세리에 대해서는 3:12의 주해를 참조하라.) 배상에 대해 약속을 선언하는 19:8이 없다면 왜 예수께서 삭개오의 집에 구원을 선포하는 이유가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이 구절은 원 내러티브(original narrative)에 속한 것이지 삽입이 아니다.

 

Stein

(1) 19 8절에서 두 동사가 미래적 현재로 해석되지 않으면, 삭개오의 자랑으로 표현되어 버린다.

(2) 내 소유(tw/n u`parco,ntwn)내 수입 보다는 줄곧 가지고 있는 소유( 8:3; 11:21; 12:15, 33, 44; 14:33; 16:1; 4:32의 경우)로 해석된다.

(3) 저는 항상 사취한 걸 되돌려준다 보다는 되돌려주겠다로 이해해야 가장 바람직하다.

(4) 누가복음에서 부유한 사람이 예수를 만났을 때 자포자기하지 않고 구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가 있는가?(참조. 6:24; 12:1621; 16:1931; 18:1825.)

(5) 오늘 구원이 이 집에 이르렀다라는 말 그대로라면 삭개오에게 그 날 구원이 임한 듯한 감이 있다. 만약 동사가 미래적 현재라면, 삭개오의 회개와 개종의 표지가 된다. 만약 습관적 현재라면, 오늘 구원이 임했는지를 이해할 이유가 없다.

(6) 이전 인용문(18:914, 1517, 1830, 3543)은 모두 한 사람이 등장하며 구원 받음과 관련되어 있다.

(7) 마지막 주장은 19 10절을 포함한다. 이 주장은 이 이야기뿐만 아니라 18:919:10의 요약을 다룬다. 19:910에서 예수의 진술은 삭개오의 개종을 보았다고 이해해야 한다. 예수께서는 의인 삭개오의 결백을 입증하시기 위해서가 아니라 잃은 자 삭개오를 구원하시기 위해 여리고에 오셨다. 삭개오의 회개가 개별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누가는 그의 독자들에게 19:8의 기록을 회개의 열매(3:8)로 보도록 의도하였으며, 그의 믿음에 대해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지만 19:4, 6, 8에서는 그의 믿음이 존재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4. 해석 경향과 과제

(설교자들을 비롯한) 대다수의 학자들은 di,dwmiavpodi,dwmi를 미래적 현재로 해석하여, 이 이야기를 삭개오의 회심과 잃어버린 양을 찾아 구원하는 목자이신 예수의 사역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해석은 이미 오래 전부터 널리 받아들여져 왔는데, 이제는 세밀한 연구를 통해 삭개오의 정체를 규명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Bock, Darrell L., Luke 9:51-24:53, Baker Exegetic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Vol. 2, Grand Rapids: Baker Books, 1996

Evans, Craig A., Luke, New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Vol.3, Peabody: Hendrickson, 1990

Stein, Robert H., Luke, The New American Commentary, Vol. 24, Nashville: Broadman & Holman, 1992


** 최종 업데이트 2008년 7월 23일.

'개인논문 > 삭개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삭개오 이야기 연구의 서론  (0) 2011.07.19
한 세리의 회개  (0) 2008.08.13
예수 시대의 여리고  (0) 2008.08.08
삭개오 연구의 목적  (0) 2008.07.31
교부들이 본 삭개오  (0) 2008.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