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엘상에서 매년제(annual sacrifice)는 총 세 번(1:3, 21; 2:19) 사용된다. 초막절이 이 매년제의 정체라는 주장이 꽤 있다. 다윗이 사울을 피하려의 매년제의 정체(20:6, 29)도 규명되어야 하는데, 앞 세 용례와 달리 초막절이라는 주장은 없다. 대표적으로 수잔 애커만(Susan Ackerman)은 앞 세 용례는 초막절이고, 마지막 용례는 씨족 제사(clan festival)라고 주장한다.
애커만이 꼽은 초막절의 주요 특징은 매년 순례 절기(annual pilgrimage feast)와 여성 참여이다. 그녀는 다른 매년 순례 절기는 남자만 의무적으로 지켜야 하는 절기인 반면 초막절은 여성도 참여하는 절기라고 본다. 그래서 그녀는 사무엘상 1-2장의 매년제는 엘가나와 그의 가족이 참여한 매년 순례 절기라는 특징을 고려해 초막절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또한, 한나의 기도가 찬양이라는 해석을 통해 초막절에서 여성 참여로 구별되는 특징 중 하나인 춤과 연결한다.
애커만의 방대하고 치밀한 배경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사무엘상의 매년제가 초막절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상당히 빈약하다. 반박을 위해 내가 제시하는 첫 번째 근거는, 매년제가 매년 순례 절기라는 등식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애커만의 연구에 따르면, 엘가나 가족의 거주지와 실로 사이의 거리는 하루 여행길이다. 사사 시대 실로의 종교적 중요성을 인정하더라도, 군주제 이전과 이후 현실적인 이유로 거주지에서 하루 이동 거리 이내에 지역 성소가 존재했다면, 엘가나 가족의 이동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며, 매년제를 순례 절기로 단정 지을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더하여 순례 절기가 실제로 시작되는 시점이 언제냐는 의문이 제기되는데, 나는 솔로몬이 초막절을 집행한 이후라는 잠정 결론을 갖고 있다. 엘가나 가족의 매년제는 가족 단위의 제사일 수 있다. 다윗은 사울과 동석해야 하는 초하루 식사에 결석하는 이유로, 매년제를 위해 자신의 가족이 거주하는 베들레헴으로 이동했다는 변명을 제시하는데, 이 말은 주거지를 중심으로 즉 실로 이외의 장소에서 매년제를 실시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두 번째 근거는, 초막절만이 여성이 참여하는 매년 순례 절기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매년 순례 절기 명령은 남성에게 요구되는 절기이지만,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은 가족을 대표할 뿐이며, 남성은 자신은 물론 가족 전체가 절기를 지키도록 해야 할 의무를 갖는다. 초막절에서 유독 여성의 참여가 부각되는 이유는 사사기 21:19-23에 나타난 대로 "춤추는 여자들" 때문인데, "즐거움"이 강조되는 추수감사제 성격의 초막절 고유의 특징 중 하나일 뿐, 이 절기만이 여성이 참여하는 절기라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 다윗의 매년제도 가족을 위한 제사라고 부연한다.
무엇보다, 한나의 기도는 노래라는 주장으로, 사사기 21장의 "춤추는 여자들"처럼, 한나를 노래하는 여인으로 초막절의 주요 특징을 드러낸다는 해석의 허점이다. 한나의 기도가 노래라는 주장은 차치하고, 개인의 노래가 집단 축제의 춤과 동일시 될 수 있다는 해석은 초막절의 여성 참여라는 전제을 위한 과도한 주입식 해석이라 할 수 있다.
사무엘상은 매년제의 정체를 규정할 만한 단서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 매년제를 통해 엘가나 가문과 엘리 가문의 대조, 그리고 엘리 가문에서 사무엘에게 정치적 종교적 지도력 이양을 서술한다. 이같은 특징을 고려한다면, 매년제는 가족 중심 제사로 결론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