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미가서의 마지막은 하나님의 개입을 요청하는 미가의 기도(8-20절)가 자리하고 있다. 여기서 미가의 네 번째 목자 은유(14-17절)가 나타난다.

미가의 기도는 대적을 향한 심판으로 시작한다 (8-13절). 하나님의 대적을 향한 논쟁과 심판은 곧 이스라엘에게는 광명에 이르는 길이요 공의의 실현이다 (11절).

성벽 건축은 이스라엘의 회복으로 볼 수 있다 (11절). 예루살렘 성벽이 재건될 때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본국으로 돌아온다 (12절). 반면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머물렀던 타지는 심판으로 인해 황폐하다 (13절).

이제 미가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목자 은유가 시작된다.

14 원하건대 주는 주의 지팡이로 주의 백성 곧 갈멜 속 삼림에 홀로 거주하는 주의 기업의 양 떼를 먹이시되 그들을 옛날 같이 바산과 길르앗에서 먹이시옵소서

주의 백성은 "갈멜 속 삼림에 홀로 거주하는 주의 기업의 양 떼"와 같다. 

갈멜은 풍요로운 지역의 상징으로, 목자들에게는 최상의 목초지로 여겨졌다. 이 사실은 갈멜에서 목축을 생업으로 했던 한 사람의 예에서 명백해진다.

삼상 25:2 마온에 한 사람이 있는데 그의 생업이 갈멜에 있고 심히 부하여 양이 삼천 마리요 염소가 천 마리이므로 그가 갈멜에서 그의 양 털을 깎고 있었으니

심판 선포에서 갈멜이 등장하는 이유는 역설적으로 그 지역의 풍요로움을 보여준다.

훔 1:4 그는 바다를 꾸짖어 그것을 말리시며 모든 강을 말리시나니 바산과 갈멜이 쇠하며 레바논의 꽃이 시드는도다

암 1:2 그가 이르되 여호와께서 시온에서부터 부르짖으시며 예루살렘에서부터 소리를 내시리니 목자의 초장이 마르고 갈멜 산 꼭대기가 마르리로다

사 33:9 땅이 슬퍼하고 쇠잔하며 레바논은 부끄러워하고 마르며 사론은 사막과 같고 바산과 갈멜은 나뭇잎을 떨어뜨리는도다

반대로 회복 선포에 갈멜이 등장하는 이유 역시 그 지역이 갖는 풍요로움이라는 상징성 때문으로 보인다.

사 35:2 무성하게 피어 기쁜 노래로 즐거워하며 레바논의 영광과 갈멜과 사론의 아름다움을 얻을 것이라 그것들이 여호와의 영광 곧 우리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보리로다

또한 양 떼가 홀로 갈멜에 있는 이유는 그 지역이 안전지대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암 9:3 갈멜 산 꼭대기에 숨을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찾아낼 것이요 내 눈을 피하여 바다 밑에 숨을지라도 내가 거기에서 뱀을 명령하여 물게 할 것이요

미가의 기도에서 갈멜이 중요한 이유는, 아마도 그가 예레미야의 선포를 인용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렘 50:19 이스라엘을 다시 그의 목장으로 돌아가게 하리니 그가 갈멜과 바산에서 양을 기를 것이며 그의 마음이 에브라임과 길르앗 산에서 만족하리라

갈멜은 양 떼에게 최상의 목초지이자 안전지대이지만, 중요한 사실은 삼림에 홀로 거주하고 있다. 즉 양 떼에게는 목자가 없다. 그래서 미가는 "주의 기업의 양 떼를 먹이시되 그들을 옛날 같이 바산과 길르앗에서 먹이시옵소서"라고 간청한다.

미가는 이 양 떼를 "주의 기업의 양 떼"라고 하여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상시시킨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목자이시고,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양이다. "옛날 같이"는 이러한 사실을 강조한다. 미가는 목자 은유를 통해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 회복을 간청하고 있다.

미가의 네 번째 목자 은유의 또 다른 특징은 출애굽 모티프와 결합에 있다.

15 이르시되 네가 애굽 땅에서 나오던 날과 같이 내가 그들에게 이적을 보이리라 하셨느니라

목자 은유와 출애굽 모티프의 결합은 목자의 '인도'와 '보호'라는 역할과 출애굽의 '구원'이라는 상징이 잘 결합한다.

,

나는 미가서가 8 세기 이전에, 즉 앗수르 제국의 침공 이전에, 기록되었다고 전제한다. 그리고 후대 편집자에 의한 수정을 감안하더라도, 미가가 예언의 전체적인 그림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다고 본다. 따라서 후대 편집자의 입장에서 미가서를 해석하는 경향에 대해서는 불편함을 느낀다. 가령, 미가의 목자 은유는 이스라엘의 심판과 회복과 관련되어 있는데, 그 의도는 회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미가가 국제정세에 대한 이해와 국가적 위기를 인지하고 있었고 하나님의 계시를 받았다면, 그는 충분히 현 상태의 미가서를 예언할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학자들은 후대 편집자의 역할을 염두에 둔 탓에 앗수르 제국의 침공과 포로기, 그리고 포로 귀환 등 특정 역사적 사건을 연상시키는 구절들을 해석할 때, 후대 편집의 관점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There are no concrete indications of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lament was composed other than the metaphorical description of severely restricted territory and the implied subjection to the nations. These clues point to the post-exilic community, perhaps in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 James L. Mays, Micah, Old Testament Library (London: SCM Press, 1976), 163.


엄격하게 제한된 영토에 대한 은유적 묘사와 주변 국가들에 대한 암시적 복종 이외에 애도가 구성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징후는 없다. 이 단서는 아마도 5 세기 전반기 포로 귀환 이후 공동체를 가리킨다.

,

The chapter is thoroughly eschatological but not in the least apocalyptic; it is prophetic, but not oracular; it is liturgical but not cultic. - Francis I. Andersen and David Noel Freedman, Micah: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nchor Bible, Vol. 24E (New York: Doubleday, 2000), 562.


이 장은 철저하게 종말론적이지만 전혀 묵시적이지는 않다. 이것은 예언적이지만 신탁은 아니다. 이것은 전례적이지만 제례는 아니다.

,

아직 분석 중이라 단언할 수 없지만, 미가서의 특징이 보이는듯 하다.


1. 선지자 미가는 다윗 전승을 두드러지게 사용하지 않는다.

2. 목자 은유와 다윗 전승의 연관성이 약하다.

'연구주제 > 미가서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제의 차이에 따른 해석의 차이  (0) 2018.11.25
미가서 7장의 성격  (0) 2018.11.24
미가와 스가랴  (0) 2018.11.09
선지자 미가와 다윗 전승  (0) 2018.11.07
시온 전승의 출현 시기  (0) 2018.11.06
,

어제 미가서 4장 1-6절을 읽으면서, 스가랴서와 연관성이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한 주석을 발견했다. 내 구상에서 미가서의 위치와 가치가 어느 정도나 될지 애매했었는데, 뭔가 기여점을 찾은 느낌이다.


* 미국 미시간 주 기준 11월 6일 오후 4시 50분 경

,

미가서에서 다윗 전승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본문은 5:1-5이다.


Now it becomes clearer that the to bring back kingly rule to Jerusalem is also intended to include a Davidic figure. David himself is not named, but who else could it be? The associations of Bethlehem, especially the use of the old name Ephratha along with other allusive language, could have no other intention. - Francis I. Andersen and David Noel Freedman, Micah: A New Translation with Introduction and Commentary, Anchor Bible, Vol. 24E (New York: Doubleday, 2000), 431.


이제 예루살렘에 왕의 통치를 되돌려 놓는 것 역시 다윗과 같은 인물을 포함하도록 의도 되었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다윗이라는 이름은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그가 아니면 누구란 말인가? 베들레헴의 연관성들, 특히 다른 암시적인 언어와 함께 옛 이름 에브라다의 사용은 다른 의도를 가질 수 없다.

'연구주제 > 미가서의 목자 은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가서의 목자 은유와 다윗 전승  (0) 2018.11.09
미가와 스가랴  (0) 2018.11.09
시온 전승의 출현 시기  (0) 2018.11.06
요셉의 목자 되시는 하나님  (0) 2018.09.26
선지자 미가의 특징  (0) 2018.09.25
,

특정 신학들이 바벨론 유수 이후에 생성되었다는 주장하는 학자들이 제법 많다. 이런 견해는 대체로 특정 역사적 사건 이후에야 고유한 신학적 개념이 생성/발전한다는 편견에 기반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시온 전승이다. 이에 대해 Delbert R. Hillers는 얼빠진 제안이라고 평가한다.


A history of Zion theology whereby Micah 4:1-4 would fit only in an exilic or post-exilic phase is only one possible writing of that history. recent restudy of this question, especially by j. J. M. Roberts has made it probable that the major elements of the Zion tradition were developed long before the eighth century, under the United Monarchy. - Delbert R. Hillers, Micah, Hermeneia: A Critical and Historical Commentary on the Bibl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4), 52.

미가서 4:1-4가 오직 바벨론 유수 혹은 그 이후 단계라는 시온 신학의 역사는 단지 역사의 가능성 있는 진술 중 하나일 뿐이다. 이 질문에 대한 최근의 재조명, 특히 J.J.M. Roberts는 시온 전승의 주요 요소들이 8 세기 이전 보다 훨씬 앞선 통합왕국 시대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
23 활쏘는 자가 그를 학대하며 적개심을 가지고 그를 쏘았으나

24 요셉의 활은 도리어 굳세며 그의 팔은 힘이 있으니 이는 야곱의 전능자 이스라엘의 반석인 목자의 손을 힘입음이라

- 창세기 49장 23-24절


Appealing though this image is, there is no intimation in Genesis of Joseph’s agile verbal self-defense against false accusation. Rather, he appears as the sufferer whose appeals go unheeded. 

- Gordon Wenham, Genesis 16–50, Word Biblical Commentary, Vol. 2 (Dallas: Word, 2002), 485.


[번역] 이같은 심상이 매력적이지만, 창세기에는 잘못된 비난에 대한 요셉의 기만한 언어적 자기 방어에 대한 암시는 없다. 오히려, 그는 호소가 무시 당하는 피해자처럼 보인다.


적대자의 공격에 요셉의 반응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문맥상 요셉은 피해를 입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힘이 더 강해진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그와 함께 하시기 때문이다.

,

*미가서를 읽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특이점들이 있다. 아직 내 견해를 뒷받침해줄 자료는 찾지 못해서, 지금은 개인적인 느낌에 지나지 않는다.


1. 북이스라엘과 남유다를 하나의 국가로 인식한다. 비록 분열왕국 시대를 살고 있지만, 두 왕국은 여전히 이스라엘 자손이라는 인식이 있다.


2. 남왕국의 정통성을 전제하고 있다. 미가 자신이 유다 지역 출신이라서 그런지 예루살렘 중심적 사고가 나타난다.


3. 다윗 왕조의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비록 미가는 다윗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지만, 미래에 다윗 왕조의 회복된다고 선포한다.


4. 언약을 언급하지 않는다. 이스라엘의 회복을 간구할 때 보통 기도자는 언약에 기대는 성향이 있다. 하지만 미가는 아브라함과 야곱의 이름을 언급하는 정도에 머무른다.

,

조셉 블렌킨소프(Joseph Blenkinsopp)는 『David Remembered』 128–30쪽에서 미가서를 다룬다. 주된 내용은 베들레헴에서 태어날 이스라엘의 지도자에 대한 예언이다. 그는 장차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가 "선한 목자 은유"와 비슷한 역할을 감당한다고 지적한다. 아쉽게도 내 관심사인 "새로운 다윗 계열의 왕의 등장"과 "목자 은유"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