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오늘 신약학 세미나는 최근 UStA에서 학위를 수여한 Dr Tyler Hoagland의 “Restoring the Kingdom to the Holy Ones: The Use of Daniel in Acts 1”란 주제로 열렸다. 제목에 반영되어 있듯이, 발표자는 사도행전 1장은 다니엘서를 사용하여 성령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회복을 선포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예시로 제시한 본문은 크게 다니엘 4:36과 7장이다. 다니엘 4장은 느부갓네살 왕의 직위 박탈과 회복을 진술한다. 다니엘 7장은 인자(a son of man)의 통치와 세상 권세를 향한 심판을 선포한다.

내 관심사는 다니엘 4:36과 사도행전 1장을 연결하는 해석이다. 내가 알기로 다니엘서는 느부갓네살 왕을 부정적으로 묘사한다. 그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우상숭배이다. 다니엘서는 현실의 패권자 이방 제국을 넘어서는 하나님 나라를 선포한다. 따라서 느부갓네살 왕의 왕권 회복과 성령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통치를 연결하려는 시도는 다소 무리라고 보인다. 나는 두 본문 사이에 "왕국의 회복"이라는 공통점은 인정하지만, 여전히 다니엘서에서 느부갓네살 왕에 대한 부정적 묘사가 사도행전에서 성령 세례를 통한 하나님 나라의 통치라는 긍정적인 묘사로 치환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내 질문에 발표자는 사도행전의 저자가 다니엘서를 본문 그대로 가져오지 않고 자신의 목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취했다고 답하였다.

내가 느부갓네살 왕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그에 대한 상반된 평가 때문이다. 이사야와 예레미야는 느부갓네살 왕을 하나님이 목자와 종으로 묘사한다. 하지만 에스겔과 다니엘은 앞 두 선지자와 달리 느부갓네살 왕을 제국의 통치자, 그 이상으로 묘사하지 않으며, 도리어 그의 우상숭배를 지적한다. 나는 이러한 상반된 묘사를 강조할 내 학위 논문에 반영할 예정이다.

,

에스라 4서에서 '아들'은 총 네 번(13:32, 37, 52; 14:9) 사용된다. 이 글에서 아들에 관해 다루기 전에, '인자'(the Son of Man)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 본서에서 인자는 단 한 번(6:1) 등장한다. 

6:1 And HE said to me, "At the beginning of the circle of the earth, at first by the Son of Man, and afterwards I MYSELF. For the earth and the lands were created, and before the portals of the world were in place, and before the assembled winds blew,

이 구절에서 인자는 지상 창조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 인자는 지상적 존재가 아닌 천상적 존재로 창조 사역에 개입할 수 있는 초월적 존재이다. 이로써 인자는 아들과 다른 존재라는 판단이 가능하다.

아들이 가장 먼저 등장하는 장면은 세 번째 환상이며, 그는 메시아로 묘사된다 (7:28, 29). 그는 하나님의 심판과 이스라엘의 회복에 관여하나 죽음을 맞이한다. 그는 인간이다. 아들과 다윗이 가진 공통점이라면, 그 둘 다 열국 심판이라는 동일한 과업을 시행한다.

7:28 For MY Son the MessiYah shall be revealed with those that be with Him, and they that remain shall rejoice within four hundred years.
7:29 After these years shall MY son MessiYah die, and all men that have life.

아들이 등장하는 두 번째 장면은 여섯 번째 환상이며, 그곳에서 세 번(13:32, 37, 52) 발생한다. 첫 번째 구절에서 아들은 앞서 본 '한 남자'(a Man)와 연결하고 있다.

13:32 And the time shall be when these things shall come to pass, and the signs shall happen which I showed you before, and then shall MY Son be revealed, whom you saw as a Man ascending.

일단 여기에서 두 존재를 동일 인물로 가정하고,  그 남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사람과 같은 형상'(the figure of a Man)을 하고 있으며, 바다의 중심에서 등장한다 (13:2). 그는 등장 이후 줄곧 '그 사람'(the Man)으로 지칭된다 (13:3, 5, 12).

13:2 And I looked, and behold, this wind made something like the figure of a Man come up out of the heart of the sea.

그는 수많은 무리(a multitude of men)와 전쟁을 치르는데, 그의 무기는 일반적인 전쟁 도구가 아닌 입에서 뿜어져 나오는 불이다 (13:5~11). 대결 이후 수 많은 사람이 그에게로 나오는데 그 모습은 제각각이다 (13:13).

13:13 And there came many people to Him, whereof some joyful, some sorry, and some of them bound, and some were bringing others as offerings.

새로운 존재의 등장은 마치 그를 인자와 같은 천상적 존재로 묘사하려는 의도가 담긴 듯하다. 만약 이 단락이 묵시적 표현이라면, '그 사람'과 '인자'는 다른 존재이며, 다만 그 사람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읽을 수 있다. 그의 업적은 수많은 무리와 전쟁을 통해 평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 환상에서 그의 죽음은 언급하지 않는다.

다시 아들로 화제로 돌아가자. 여섯 번째 환상에 나오는 아들의 두 번째 언급은 사악한 열국의 심판에 대한 내용이다.

13:37 And He, MY Son shall rebuke the wicked inventions of those nations, which for their wicked checedlessness life which have fallen into the tempest; (this was symbolized by the storm)

마지막 사례는 그 사람이 어떻게 바다 가운데서 등장할 수 있냐는 에스라의 질문(13:52)에 대한 하나님의 답변에서 아들이 언급된다.

13:52 And HE said to me, Like as you can neither seek out nor know the things that are in the deep of the sea: even so can no man upon earth see MY Son, or those that are with Him, except in the time of His day.

이 구절에서 '그 사람'과 '아들'은 동일한 존재를 가리킨다.

아들이 등장하는 세 번째 장면은 일곱 번째 환상이며, 그곳에서 한 번(14:9) 나타난다.

14:9 For you shall be taken away from all, and from henceforth you shall remain with MY Son, and with those such as be like you, until the times are ended.

이 구절에서 아들은 남은 자들과 함께한다. 다만 그 기간은 시간이 끝날 때까지이다.

이제 도달한 결론적으로 아들은 메시아이며, 죽음을 경험하는 지상적 존재이다. 그의 사역은 다윗과 동일하다. 본서에서 아들과 다윗을 연결하지 않지만, 둘 사이의 유사성은 둘이 동일 인물이라고 짐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이 시편의 표제는 저작배경을 다윗이 왕정에 있을 때로 설정하도록 한다. 


다윗은 인자(헤세드)와 공의를 노래하겠다고 말한다. 인자(헤세드)는 다윗을 향한 하나님의 언약을 지칭하며, 시편기자는 하나님의 언약에 비추어 노래하고 있다. 또한 하나님과의 관계만이 아니라 정의도 노래하겠다고 말한다. 다윗은 하나님을 향해 인자와 정의를 노래하고 있다(1절).


다윗은 완전한 길에 주목하고자 한다. 다만 "주께서  어느 때나 내게 임하시겠나이까"라는 질문을 통해 그가 정치적 위기에 놓여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윗은 어려운 상황에 놓여져 있고, 하나님의 도우심을 바라고 있다. 그는 완전한 마음으로  자신의 집에서 행동하리라고 다짐한다(2절).


이러한 다짐은 개인에게 적용할 뿐만 아니라(3-4절), 자신이 통치하고 있는 이스라엘(6절에는 "땅", 8절에서는 "여호와의 성")도 포함된다.


다윗은 곤란에 처했을 때에 그는 자신의 권력과 술수가 아니라 하나님의 인자와 정의를 기억해낸다. 다윗은 자신만이 아니라 통치자로서 인자와 정의를 노래함으로서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편은 통치자로서 곤란에 처할 때 어떤 마음가짐으로 하나님께 나아가야 할 지를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 한국교회와 사회 전반에 위기가 가득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도자들의 대처방안을 보고 있노라니 한숨이 절로 나온다.



참고문헌
Allen, Leslie C. Psalms 101-150. WBC 21. Revised. Dallas: Word, 2002.
Gerstenberger, Erhard S. Psalms, Part 2, and LamentationsThe Forms of the Old Testament Literature,  Vol. 15. Grand Rapids: Eerdmans, 2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