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그대들에게.


도서정보
제목: God and History in the Book of Revelation
저자: Michael Gilbertson


구매링크
라비블
아마존









이번 3월부터 심화독서 할 책입니다. 이 책 내용에 대한 의견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
도서정보
제목: The People of God in the Apocalypse
저자: Stephen Pattemore


구매링크
라비블
아마존









이번 3월부터 심화독서 할 책입니다. 이 책 내용에 대한 의견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

도서정보
제목: Apocalyptic in History and Tradition
저자: Christopher C. Rowland, John Barton


구매링크
라비블
아마존











이번 3월부터 심화독서 할 책입니다. 이 책 내용에 대한 의견은 언제든 환영입니다.

,

29요한의 제자들이 듣고 와서 시체를 가져다가 장사하니라

 

요한의 제자들은 2:18에서 언급되는데, 이 구절에서는 금식규례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의 발단이 된다.[각주:1] 분명 이들은 요한이 구속 된 이후에도 계속 활동하고 있었다.[각주:2] 그러나 요한의 구속(1:14)은 죽음으로 끝난다.[각주:3] 그러므로 요한의 시체매장은 그의 사역이 종결을 의미한다.[각주:4] 하지만 예수의 매장(15:42-46)에서 알 수 있듯이 죽음이 끝은 아니다.[각주:5]

사실 세례 요한의 순교 이야기는 다소 어색하게 마무리되는데
, 그 이유는 이 이야기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
.[각주:6] 본문에서 요한은 대부분 헤롯과 헤로디아, 살로메, 심지어 시위병의 대상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18절에서만 주체로 등장할 정도로 배역의 비중이 매우 낮다.[각주:7] 무엇보다 다른 순교자들의 기록과는 다르게 요한에게는 박해자들과의 대면과 심판예언에 대한 언급이 없다(18).[각주:8] 요한은 무대 뒤에서 살해 당하고 제자들에 의해 매장된다.[각주:9] 그래서
유대인들은 이 전쟁에 패배한 이유가 헤롯이 세례 요한을 살해했기 때문이라고 여긴다(Josephus, Ant. 18.5.***). 그 이유가 무엇이든 요한의 모욕적인 죽음에 독자들은 당황스러울 터이다.[각주:10]

세례 요한은 사역의 대가로 보복을 당한다
.[각주:11] 요한의 가르침은 간과되고 잔인한 죽음으로 이어지는데, 이러한 전개는 예수의 죽음과 평행이 된다.[각주:12] 우선, 청중들은 두 사람의 가르침을 열심히 들었고(20; 12:37) 그 영향력은 지도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할 정도였다(6:12; cf. 15:9-10, 14-15).[각주:13] 하지만 이 지도자들은 이들을 구해주지 못한다(6:20; cf. 15:4, 9-14).[각주:14] 대적들의 살해모의는 실패로 돌아가지만(6:19; cf. 3:6; 14:1 ), 체포되어(6:17; cf. 14:46; 15:1) 죽음 당하고 매장된다(6:27-29; cf. 15:16-47).[각주:15] 여기서 마가의 의도가 드러난다.[각주:16] 예수는 십자가에서 죽었으나,
하나님께서는 그를 머릿돌로 삼으셨다(12:10).[각주:17] 그러므로 요한의 죽음 역시 헛되지 않다. 실제로 제자들의 매장은 요한이 사람들의 존경과 하나님의 사랑을 받았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15:42-46).[각주:18] 사울과 요나단을 매장한 길르앗 야베스 주민들(삼상 31:11-13)과 예수의 시체를 매장한 아리마대 사람 요셉(15:42-47)과 마찬가지로, 요한의 제자들은 적대자들의 보복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만큼 스승 요한을 존경했다.[각주:19] 그래서 예수께서는 사람들이 요한을 함부로 대했다고 가르치셨다(9:12-13).[각주:20] 이러한 경향은 헤로디아와 살로메의 요구에도 반영되어 있다(특히, 27).


결국 이 이야기는 헤롯이 세례 요한과 예수의 유사성을 인식하는 장면에서 시작하여
(6:14-16), 예수의 최후를 암시하는 요한의 죽음으로 마무리 된다
.[각주:21] 그러므로 마가복음에서 요한의 구속은 예수의 사역과 연결하여(1:14), 요한의 순교는 예수의 메시야 사역과 연결하여 해석해야 한다.[각주:22]
  1. Collins, Mark, 31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200 [본문으로]
  2. France, The Gospel of Mark, 259 [본문으로]
  3. Collins, Mark, 314 [본문으로]
  4. France, The Gospel of Mark, 259 [본문으로]
  5. France, The Gospel of Mark, 259 [본문으로]
  6.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7. Marcus, Mark 1-8, 403-404 [본문으로]
  8.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9.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0.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1.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2. Marcus, Mark 1-8, 404. 11:32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요한을 진정한 선지자로 인정한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본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본문으로]
  13.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4.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5.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6. 참조.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7.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18. Edwards,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89;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200 [본문으로]
  19. Edwards, The Gospel according to Mark, 189 [본문으로]
  20. Guelich, Mark 1-8:26, 333 [본문으로]
  21. Marcus, Mark 1-8, 404 [본문으로]
  22. France, The Gospel of Mark, 358 [본문으로]

'연구주제 > 실패한 지도자, 헤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6장 28절 주해  (0) 2011.01.24
마가복음 6장 27절 주해  (0) 2011.01.17
마가복음 6장 26절 주해  (0) 2011.01.10
마가복음 6장 25절 주해  (0) 2011.01.03
마가복음 6장 24절 주해  (0) 2010.12.27
,

28그 머리를 소반에 얹어다가 소녀에게 주니 소녀가 이것을 그 어머니에게 주니라

 

이 시위병은 살로메의 요구를 그대로 실행한다.[각주:1] 살로메는 요한의 머리가 담긴 소반을 헤로디아에게 건네준다.[각주:2] 헤롯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연회장은 끔찍한 광경으로 마무리 되고 말았다.[각주:3] 여기에서 헤롯이 그 머리를 보았다거나 헤로디아의 반응에 대한 언급은 없다.[각주:4] 헤로디아의 입장에서 보면 요한의 구속으로 시작한 이야기가 자신의 승리로 끝난 셈이다.[각주:5]
  1. Collins, Mark, 314 [본문으로]
  2. Guelich, Mark 1-8:26, 333;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3.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200 [본문으로]
  5. Guelich, Mark 1-8:26, 333 [본문으로]

'연구주제 > 실패한 지도자, 헤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6장 29절 주해  (0) 2011.01.31
마가복음 6장 27절 주해  (0) 2011.01.17
마가복음 6장 26절 주해  (0) 2011.01.10
마가복음 6장 25절 주해  (0) 2011.01.03
마가복음 6장 24절 주해  (0) 2010.12.27
,

27왕이 곧 시위병 하나를 보내어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 명하니 그 사람이 나가 옥에서 요한을 목 베어

살로메의 요구만큼이나 헤롯의 명령 역시 즉각적이다. 명사 spekoula,twr간첩혹은 정찰병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각주:1] 이 시위병은 헤롯의 신변 보호를 위해 연회장 부근에 머물렀기 때문에,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는 명령을 즉시 실행할 수 있었다.[각주:2] 헤롯은 시위병을 보내 자신의 고민을 해결한다.[각주:3] 여기서 시위병의 등장은 연회장의 분위기를 더욱 섬뜩하게 만든다.[각주:4] 마가가 사용한 목을 베다라는 의미의 동사 avpokefali,zw는 생소한 단어로, 동사 peleki,zw가 더 보편적으로 사용된다.[각주:5] 요세푸스에 따르면, 안토니는 안티고누스의 목을 베어 유대인들의 지지를 누그러뜨리려고 했다(Ant. 15.9-10).[각주:6] 참수가 십자가 처형에 비견되는 경우도 있는데(War 2.241), 이러한 처벌은 처벌 받는 사람을 비방하고 모욕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각주:7]

  1. Collins, Mark, 31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Cranfield, The Gospel according to Saint Mark, 212 [본문으로]
  2.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3. Collins, Mark, 314 [본문으로]
  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5.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6.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7.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200 [본문으로]

'연구주제 > 실패한 지도자, 헤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6장 29절 주해  (0) 2011.01.31
마가복음 6장 28절 주해  (0) 2011.01.24
마가복음 6장 26절 주해  (0) 2011.01.10
마가복음 6장 25절 주해  (0) 2011.01.03
마가복음 6장 24절 주해  (0) 2010.12.27
,

26왕이 심히 근심하나 자기가 맹세한 것과 그 앉은 자들로 인하여 그를 거절할 수 없는지라

이 장면은 헤롯의 진심이 밝혀지는 순간이자 이 이야기의 절정에 도달하는 순간이다
.[각주:1] 살로메의 요구를 들은 헤롯은 매우 슬펐다.[각주:2] 형용사 peri,lupoj
매우 슬픈이라는 의미로, 헤롯의 슬픈 감정의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각주:3] 또한 이 단어는 예수께서 세 명의 제자에게 하신 당부에도 사용되었다(“내 마음이 심히 고민하여 죽게 되었으니”, 14:34).[각주:4] 부자 청년은 예수의 가르침에 이와 비슷한 반응을 보인다(“이 말씀으로 인하여 슬픈 기색을 띠고 근심하며”, 10:22).[각주:5] 헤롯은 살로메가 자신의 입장과 상반하는 요구를 하리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참조. 19-20).[각주:6] 사실 살로메의 요구는 그녀의 갑작스러운 등장만큼이나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 그래서 헤롯은 자신의 맹세가 끔찍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사실에 뒤늦은 후회를 하게 된다.[각주:7] 그렇다고 약속을 취소하거나 다른 요구를 하라고 말할 수 없다. 헤롯은 자신의 체면을 살려야 하는가 아니면 요한의 목숨을 살려야 하는가, 즉 자신의 약속을 지키리라고 기대하는 왕실후원자들의 기대와 요한에 대한 두려움 사이에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 처해졌다.[각주:8] 문제는 어떤 선택을 하든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다. 살로메의 요구를 거절하면 정치적 입지가 좁아질 터이고, 수락하면 유대인 사회에 크나큰 파장을 가져올 터이다.[각주:9] 이러한 상황에서 헤롯은 현실적 이해에 따른 선택을 하고 만다. 자신의 맹세와 연회장에 초대된 사람들 때문에 살로메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었던 그는 명목상 에 지나지 않았다.[각주:10] 예전에는 요한의 목숨을 건지고자 노력했지만 이제는 사형을 선고한다.[각주:11] 살로메의 섬뜩한 요청에 매우 슬퍼하면서도, 주위 시선을 의식한 나머지 동의하고 말았다.[각주:12] 이러한 감정은 요한의 말에 대한 그의 태도를 떠오르게 한다(20).[각주:13] 여기에서도 돌밭에 뿌려진 씨앗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을 연상시킨다(4:16-17).[각주:14] 또한 이러한 선택의 배경을 고려한다면 가시떨기에 뿌려진 씨앗과도 같다(세상의 염려와 재물의 유혹과 기타 욕심이 들어와 말씀을 막아 결실하지 못하게 되는 자요, 4:19).[각주:15] 더구나 이 선택은 세상이냐 영혼이냐는 문제로 이어진다(8:36).[각주:16] 요한의 죽음에는 헤로디아의 원한이 직접적으로 작용했지만, 그럼에도 그 책임은 헤롯에게 있다.[각주:17] 여기서 헤롯의 어리석은 맹세는 입다의 서원을 떠오르게 한다.[각주:18]

 

입다가 이를 보고 자기 옷을 찢으며 이르되 어찌할꼬 내 딸이여 너는 나를 참담하게 하는 자요 너는 나를 괴롭게 하는 자 중의 하나로다 내가 여호와를 향하여 입을 열었으니 능히 돌이키지 못하리로다 하니(11:35)

 

그의 경솔한 서원은 되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낳았다. 이스라엘 백성은 구했지만 정작 자신의 딸은 죽음으로 몰아내고 말았다. 이 사건을 통해 입다는 우둔하고 잔인하며 야심적이고 이기주의적인 인물로 남게 된다.[각주:19] 전투의 승패가 달려 있는 다급한 상황이었더라도 감당하지 못할 서원은 하지 않았어야 했다. 비록 자신의 서원이 비극적인 결과를 가져오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할지라도 섣부른 판단을 해서는 안 되었다(“너는 하나님 앞에서 함부로 입을 열지 말며 급한 마음으로 말을 내지 말라”, 5:2). 헤롯 역시 허세에 지나지 않은 맹세로 인해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 예비했던 세례 요한을 죽인 왕이라는 오명을 역사에 남기게 된다.

  1.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2. Collins, Mark, 313; Hooker,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161 [본문으로]
  3.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5.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6. Glancy, “Unveiling Masculinity,” 40 [본문으로]
  7. Guelich, Mark 1-8:26, 333; Collins, Mark, 313; Hooker,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161; Glancy, “Unveiling Masculinity,” 40 [본문으로]
  8. Guelich, Mark 1-8:26, 333;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9. Collins, Mark, 313-314 [본문으로]
  10. Marcus, Mark 1-8, 403. 맹세에 대해서는 23절 주해를 읽어보라. [본문으로]
  11. Marcus, Mark 1-8, 403; Collins, Mark, 313-314 [본문으로]
  12.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13.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14.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15.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16.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17.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Glancy, “Unveiling Masculinity,” 40 [본문으로]
  18. Collins, Mark, 314 [본문으로]
  19. Block, Judges, 372 [본문으로]

'연구주제 > 실패한 지도자, 헤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6장 28절 주해  (0) 2011.01.24
마가복음 6장 27절 주해  (0) 2011.01.17
마가복음 6장 25절 주해  (0) 2011.01.03
마가복음 6장 24절 주해  (0) 2010.12.27
마가복음 6장 23절 주해  (0) 2010.12.20
,
도서링크
아마존

 
 










이 책의 제목은 <예수 이전의 메시아>이며 부제는 "사해사본에 나타난 고난 받는 종"이다. 내용은 전혀 읽어보지 않은 상태에서 표지만 보고 예수 이전의 메시아 사상에 대한 연구인 줄 알았다. 그리고 사해사본이 새로운 메시아 사상을 정립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줄로 여겼다. 이러한 짐작은 목차를 봐도 이상할게 없었다(1장 "메시야의 비밀",  2장 "삼 일 이후에", 3장 "또 다른 성령(Another Paraclete)")이다. 어쩌면 예수를 메시아로 고백하는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보면 지극히 당연한 선이해였을지 모른다. 하지만 내용은 이러한 선이해를 처절하게 허물어 뜨린다.
 
1장에서 저자는 예수는 자신을 메시아로 여기지 않았다는 신약본문을 근거로 삼고 문자 그대로 적용하여 해석한다. 그리고는 예수 스스로가 메시야가 아니라고 가르쳤는데, 왜 예수를 메시아로 여기는 기독교라는 종교가 형성되었는지 모르겠다는 의문을 넌지시 내비친다. 그리고는 "인자(son of man)"와 이사야 53장의 "고난 받는 종"을 근거로 쿰란공동체의 메시야에 대해 언급한다.

2장에서 저자는 요한계시록을 주요근거로 삼는다. 공관복음에서 메시아에 대한 예수의 가르침은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예수가의 메시아라는 신앙고백은 부정하면서, 요한계시록의 가치는 높게 평가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인다. 그리고는 요한계시록 11:4의 "두 감람나무"와 "두 촛대"가 두 명의 메시아를 지칭하며, 그 두 명이 바로 쿰란공동체 지도자와 예수라고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에는 역사적 유비라는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3장에서 저자는 쿰란공동체 지도자 메나헴(Menahem)이 죽자 예수가 그의 정신을 계승하였다고 주장한다. 즉 메나헴이야 말로 고난 받는 종으로 예언된 메시야이고, 예수는 "또 다른 보혜사(Another Paraclete)"라고 해석한다. 메나헴은 로마제국에 저항한 쿰란지도자였으므로, 이스라엘 백성들의 메시아관에 적합한 인물이다. 그리고 예수는 "또 다른 보혜사"를 언급하여 쿰란공동체의 사상을 이어 받고 있다고 여긴다. 이러한 해석은 요한복음을 근거로 삼았다.

저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목차를 보면 구성 자체가 예수의 메시야로 고백하는 기독교 신앙에 대한 허구를 지적하는데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비록 저자가 여러 가지 근거들을 제시하여 주장을 개진하지만, 해석의 타당성을 갖추지 못했다. 저자는 예수의 메시아관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자신은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듯 하지만, 중요한 신약본문은 문자적으로 해석하여 이면에 담긴 의미를 제거해 버리고 만다. 예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갖고 있었던 정치적 군사적 메시아관을 부정하셨으며, 고난 당하는 종으로서의 메시아로 오셨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저자는 근거로 제시한 요한계시록을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요한계시록은 역사적 유비를 통해 해석해서는 안 되며, 철저하게 요한의 의도에 맞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또 다른 보혜사"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즉 성령에 대한 이해가 없다.

지금도 유대인들은 이방인의 압제에서 구원해줄 메시야를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유대인들에게 정치적 군사적 메시아관은 신앙과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메시아관에 의하면, 결코 예수는 메시아가 아니다. 그리고 이스라엘 놀 역시 이러한 메시아관을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유대인이다.


업데이트 2011.04.14

'추천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예수 그리스도  (0) 2012.10.01
고대 이스라엘  (0) 2011.08.09
예언자적 상상력  (0) 2010.04.08
포로시대의 이스라엘  (0) 2010.03.13
예수와 종교개혁  (0) 2009.07.29
,
25그가 곧 왕에게 급히 들어가 구하여 이르되 세례 요한의 머리를 소반에 얹어 곧 내게 주기를 원하옵나이다 하니


살로메의 재등장은 이 이야기를 절정에 달하게 한다
.[각주:1] 원문에서는 즉시(euvqu.j
)”, “서둘러서(spoudh/j)”, “지금(evxauth/j)”과 같이 성급함과 화급(urgency)을 표현하는 단어들이 사용되었다.[각주:2] 이러한 표현들은 살로메의 신속한 반응을 보여주고, 이야기가 재빠르게 전개되도록 한다. 이러한 표현을 통해 살로메는 헤로디아의 연장선이자 어머니의 소원이 이루어지길 간절히 원하는 소녀로 묘사된다”.[각주:3] 실제로 살로메의 요구는 헤로디아의 소원을 반영하고 있다. 헤로디아를 대신하여 소원을 성취해주는 살로메는 헤로디아의 분신이나 다름 없다. 하지만 살로메의 요구에는 소반에 담아달라는 엽기적인 주문이 추가되어 있다.[각주:4] 12세 남짓한 어린 소녀가 마치 요한의 머리를 음식을 다루듯이 소반에 담아 달라고 요청한다.[각주:5] 이런 즉흥적인 요구는 섬뜩할 정도로 가학적이며, 이런 성격은 헤로디아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여겨진다.[각주:6] 헤로디아와 마찬가지로 살로메 역시 세례 요한의 존재가치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으며, 오로지 어머니의 소원을 들어주고 싶을 따름이다.[각주:7] 이와 반대로, 살로메의 지체된 반응은 긴장감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각주:8] 살로메가 헤로디아에게 소원을 묻는 순간 독자/청자들은 요한의 끔찍한 결말을 예상하게 되고, 헤롯은 살로메의 예상 밖의 행동으로 마음을 졸이게 된다.[각주:9] 또한 이 장면은 헤롯과 살로메가 거래를 하는듯하다.[각주:10] 살로메는 헤롯과 주요 참석자들을 기쁘게 한 대가를 정당하게 요구한다.[각주:11] 즐거움의 대상이었던 어린 소녀가 단 한 번의 섬뜩한 요구로 인해 두려움의 대상으로 바뀌게 된다.[각주:12] 후기 Esther Rabbah에 따르면, 아하수에로 왕의 명령을 거절한 와스디 왕후는 참수 당하게 되고, 그녀의 머리는 소반에 담겨 왕에게 바쳐지는데 이러한 내용은 본문과 평행을 이룬다.[각주:13] 물론 에스더와 마가복음에는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각주:14]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차이점으로는, 헤롯과 헤로디아는 부정적인 인물인 반면 아하수에로 왕과 에스더는 긍정적으로 서술되어 있다.[각주:15] 또한 에스더는 아하수에로 왕을 만족시켜서 하만의 유대인학살계획으로부터 이스라엘 백성을 구해내지만, 살로메는 헤롯을 만족시켜서 세례 요한을 죽음에 몰아넣는다(J. Anderson, “Dancing Daughter,” 128).[각주:16]

이러한 연회장 장면은 에스더와 상당히 유사하며
, 이러한 묘사는 다른 자료에서도 나타난다
.[각주:17] 예를 들어, 외경 유딧(Judith)에서 유딧은 자신의 매력을 아시리아군의 총사령관인 홀로페르네스를 유혹하고 그의 목을 베는데 사용했다.[각주:18] 이 사건을 통해 유딧은 아시리아와의 전쟁으로 멸망할 위기에 처한 민족을 구해낸다.[각주:19] 이러한 전개는 에스더와 매우 유사하다. 페르시아에서 왕은 왕실연회장에서 나온 요구들을 수용해야 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크세르크세스 왕의 아내인 아메스트리스는 시누이를 굴복시키려고 계속해서 고문하고 불구로 만들었다(Herodotus, Histories 9.108-13).[각주:20] 이는 마치 헤롯의 연회를 자신의 적을 제거하는 기회로 사용한 헤로디아를 떠오르도록 한다(참조. Gnilka, “Martyrium,” 88).[각주:21] 칼리굴라 황제의 총애를 받았던 아그리파1세는 예루살렘 성전에 황제 상을 세우려던 계획을 취소해달라고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은 황제의 기대에 어긋나는 일이지만, 유대인들의 반란을 방지하기 위해 수락하고 만다(Josephus, Ant. 18.289-304). 칼리굴라 역시 헤롯과 마찬가지로,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말을 번복하고 싶지 않았다(26).[각주:22]

  1.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2. Guelich, Mark 1-8:26, 333; Hooker, The Gospel according to St. Mark, 161; Donahue and Harrington, The Gospel of Mark, 199 [본문으로]
  3. Collins, Mark, 313 [본문으로]
  4. Guelich, Mark 1-8:26, 333; Marcus, Mark 1-8, 402; Collins, Mark, 313 [본문으로]
  5. Collins, Mark, 313 [본문으로]
  6.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7. Guelich, Mark 1-8:26, 333 [본문으로]
  8.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9.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10. Marcus, Mark 1-8, 403 [본문으로]
  11.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12. Glancy, “Unveiling Masculinity,” ** [본문으로]
  13. Guelich, Mark 1-8:26, 333; Marcus, Mark 1-8, 401 [본문으로]
  14. Marcus, Mark 1-8, 401 [본문으로]
  15. Marcus, Mark 1-8, 401-402. 엄밀히 말해 아하스에로 왕을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성경에서 아하스에로 왕은 권력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주위사람들에게 쉽게 설득 당하는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 무능하지만 사악하지는 않은 인물이다(Berlin, Esther, 5). 하지만, 헤롯과는 대조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므로 이러한 견해도 가능하다. [본문으로]
  16.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17.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18. Marcus, Mark 1-8, 402. 이러한 내용은 유딧 12:10-13:10에서 기록되어 있으며, 한글성경에서는 공동번역성서에서 읽을 수 있다. [본문으로]
  19. Berlin, Esther, xxxiii [본문으로]
  20.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21.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22. Marcus, Mark 1-8, 402 [본문으로]

'연구주제 > 실패한 지도자, 헤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복음 6장 27절 주해  (0) 2011.01.17
마가복음 6장 26절 주해  (0) 2011.01.10
마가복음 6장 24절 주해  (0) 2010.12.27
마가복음 6장 23절 주해  (0) 2010.12.20
마가복음 6장 22절 주해  (0) 2010.12.13
,
예일대학교에서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History and Literature>라는 강의를 공개하고 있다. 신약성경의 역사와 문학에 관심 있으면 좋은 강의가 될 듯.

1. Introduction: Why Study the New Testament? 
2. From Stories to Canon
3. The Greco-Roman World
4. Judaism in the First Century
5. The New Testament as History
6. The Gospel of Mark
7. The Gospel of Matthew
8. The Gospel of Thomas
9. The Gospel of Luke
10. The Acts of the Apostles
11. Johannine Christianity: the Gospel
12. Johannine Christianity: the Letters
13. The Historical Jesus
14. Paul as Missionary
15. Paul as Pastor
16. Paul as Jewish Theologian
17. Paul's Disciples
18. Arguing with Paul?
19. The "Household" Paul: the Pastorals
20. The "Anti-household" Paul: Thecla
21. Interpreting Scripture: Hebrews
22. Interpreting Scripture: Medieval Interpretations
23. Apocalyptic and Resistance
24. Apocalyptic and Accommodation
25. Ecclesiastical Institutions: Unity, Martyrs, and Bishops
26. The "Afterlife" of the New Testament and Postmodern Interpretation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History and Literature


,